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456. C# - CAS를 이용한 Lock 래퍼 클래스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198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 CAS를 이용한 Lock 래퍼 클래스

기왕 lock-free를 통해 CAS(Compare-And-Swap)을 다뤄본 김에,

[부연] Lock-Free 알고리즘은 과연 빠른가?
; https://www.sysnet.pe.kr/2/0/1736

lock-free 방식이 과연 성능에 얼마나 도움이 될까요?
; https://www.sysnet.pe.kr/2/0/1458

간단하게 클래스로 래핑해 볼까요? ^^ 대충 다음과 같은 정도로 만들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CASLock : IDisposable // .NET IDisposable 처리 정리
                                    // ; https://www.sysnet.pe.kr/2/0/347
{
    int _lockVariable = 0;
    bool _disposed = true;

    public IDisposable Lock()
    {
        while (Interlocked.CompareExchange(ref _lockVariable, 1, 0) != 0) { }
        _disposed = false;
        return this;
    }

    void Free(bool disposing)
    {
        _lockVariable = 0;
        _disposed = true;
    }

    public void Dispose()
    {
        Free(true);
        GC.SuppressFinalize(this);
    }

    ~CASLock()
    {
#if DEBUG
        if (false == _disposed)
        {
            throw new ApplicationException("CASLock.Dispose() was not called!");
        }
#endif

        Free(false);
    }
}

사용법은 using을 통해 기존의 lock문과 거의 유사하게 쓸 수 있습니다.

CASLock lockA = new CASLock();

using (lockA.Lock())
{
    Console.WriteLine("locked");
}

전형적인 dead-lock 상황을 연출해 볼까요? ^^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ConsoleApplication2
{
    class Program
    {
        CASLock lockA = new CASLock();
        CASLock lockB = new CASLock();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ogram p = new Program();

            Thread t1 = new Thread(p.t1);
            Thread t2 = new Thread(p.t2);

            t1.Name = "lockAB";
            t2.Name = "lockBA";

            t1.Start();
            t2.Start();

            t1.Join(); // t1 스레드는 절대로 종료하지 않으므로 Join문은 반환하지 않음.
            t2.Join();
        }

        // Thread 1 
        void t1()
        {
            using (lockA.Lock())
            {
                Thread.Sleep(2000);
                using (lockB.Lock()) // Thread2의 t2메서드에서 이미 lock을 소유하고 있으므로 block
                {
                    Console.WriteLine("lockA -> lockB");
                }
            }
        }

        // Thread 2 
        void t2()
        {
            using (lockB.Lock())
            {
                Thread.Sleep(2000);
                using (lockA.Lock()) // Thread1의 t1메서드에서 이미 lock을 소유하고 있으므로 block
                {
                    Console.WriteLine("lockB -> lockA");
                }
            }
        }
    }
}

여기서, Thread.Abort 메서드로 특정 스레드를 강제 종료하는 것으로 우리가 만든 CASLock 클래스의 안정성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ogram p = new Program();

    Thread t1 = new Thread(p.t1);
    Thread t2 = new Thread(p.t2);

    t1.Name = "lockAB";
    t2.Name = "lockBA";

    t1.Start();
    t2.Start();

    int retryCount = 5;
    while (retryCount-- > 0)
    {
        Console.Write(".");
        Thread.Sleep(1000);
    }

    t1.Abort(); // Thread1 강제 종료

    t1.Join();
    t2.Join();
}

테스트 코드를 실행시켜 보면 5초 후에 t1.Abort가 호출되고 이는 해당 스레드에 ThreadAbortException 예외를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t1 메서드 내부의 using 문에서 IDisposable.Dispose 메서드가 실행되고 이로 인해 lockA의 잠금이 해제됩니다.

그런데, Native Win32 API인 TerminateThread를 호출하면 어떻게 될까요?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ConsoleApplication2
{
    class Program
    {
        [DllImport("kernel32.dll")]
        static extern bool TerminateThread(IntPtr hThread, uint dwExitCode);

        [Flags]
        public enum ThreadAccess : int
        {
            TERMINATE = (0x0001),
        }

        [DllImport("kernel32.dll", SetLastError = true)]
        static extern IntPtr OpenThread(ThreadAccess dwDesiredAccess, bool bInheritHandle, int dwThreadId);

        static IntPtr _threadAHandle = IntPtr.Zero;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ogram p = new Program();

            Thread t1 = new Thread(p.t1);
            Thread t2 = new Thread(p.t2);

            t1.Name = "lockAB";
            t2.Name = "lockBA";

            t1.Start();
            t2.Start();

            int retryCount = 5;
            while (retryCount-- > 0)
            {
                Console.Write(".");
                Thread.Sleep(1000);
            }

            Console.WriteLine("Terminating...: " + Process.GetCurrentProcess().Threads.Count);
            TerminateThread(_threadAHandle, 100);
            Console.WriteLine("Terminated.: " + Process.GetCurrentProcess().Threads.Count);

            t1.Join();
            t2.Join();
        }

        CASLock lockA = new CASLock();
        CASLock lockB = new CASLock();


        // Thread 1 
        void t1()
        {
            _threadAHandle = OpenThread(ThreadAccess.TERMINATE, false, AppDomain.GetCurrentThreadId());
            using (lockA.Lock())
            {
                Thread.Sleep(2000);
                using (lockB.Lock())
                {
                    Console.WriteLine("lockA -> lockB");
                }
            }
        }

        // Thread 2 
        void t2()
        {
            using (lockB.Lock())
            {
                Thread.Sleep(2000);
                using (lockA.Lock())
                {
                    Console.WriteLine("lockB -> lockA");
                }
            }
        }
    }
}

이런 경우, Thread1이 종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lock은 여전히 잠김상태로 남게 됩니다. (기존의 Monitor.Enter/Exit를 해도 동일하게 문제가 나타납니다.) 이는 LockFree 클래스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고 TerminateThread API는 때로 이렇게 위험한 상황을 연출하기 때문에 문서에는 다음과 같이 주의 사항이 나옵니다.

TerminateThread function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processthreadsapi/nf-processthreadsapi-terminatethread

TerminateThread is a dangerous function that should only be used in the most extreme cases. You should call TerminateThread only if you know exactly what the target thread is doing, and you control all of the code that the target thread could possibly be running at the time of the termination. For example, TerminateThread can result in the following problems:
  • If the target thread owns a critical section, the critical section will not be released.
  • If the target thread is allocating memory from the heap, the heap lock will not be released.
  • If the target thread is executing certain kernel32 calls when it is terminated, the kernel32 state for the thread's process could be inconsistent.
  • If the target thread is manipulating the global state of a shared DLL, the state of the DLL could be destroyed, affecting other users of the DLL.
A thread cannot protect itself against TerminateThread, ...

보시는 것처럼, .NET 세계에서뿐만 아니라 Win32 SDK 세계에서도 TerminateThread API를 잘못 사용하면 저렇게 많은 문제를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한마디로, 모든 상황을 잘 이해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절대 써서는 안될 API입니다.

(첨부한 프로젝트는 위의 예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16/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44정성태11/11/201031547VC++: 43. C++/CLI 컴파일 오류 - error C2872: 'IServiceProvider' : ambiguous symbol could be ...
943정성태11/8/201030667디버깅 기술: 30. windbg ".loadby sos" 명령어 [2]
942정성태11/7/201042277.NET Framework: 18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7]파일 다운로드3
941정성태11/6/201025174.NET Framework: 186. windbg로 확인하는 .NET CLR LCG 메서드(DynamicMethod) [1]파일 다운로드1
940정성태11/6/201026038.NET Framework: 185. windbg로 확인하는 .NET CLR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939정성태10/24/201033022Windows: 51. RDP로 접속한 Windows Server 2008 R2 환경에서 Aero Glass 활성화 [1]
938정성태10/23/201024791디버깅 기술: 29. Windbg - Hyper-V 윈도우 7 원격 디버깅 구성 [1]
937정성태10/22/201030920DDK: 5. NT Legacy 드라이버: 프로세스(EXE) 생성/제거 모니터링 [3]파일 다운로드1
936정성태10/21/201029917DDK: 4. Device Driver 응용 프로그램의 빌드 스크립트 - 두 번째 이야기 [2]파일 다운로드1
935정성태10/17/201030532디버깅 기술: 28. Windbg - 윈도우 핸들 테이블 [3]
934정성태10/11/201033541디버깅 기술: 27. Windbg - Local Kernel Debug 모드 [2]
933정성태10/10/201025712.NET Framework: 184. 닷넷에서 호출 스택의 메서드에 대한 인자 값 확인이 가능할까? [2]파일 다운로드1
932정성태10/10/201028937DDK: 3. NT Legacy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C#에서 Port 입출력파일 다운로드1
931정성태9/30/201023509오류 유형: 108. Net.Tcp Listener Adapter 서비스 시작 실패
930정성태9/30/201022797웹: 16.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 일시 정지/시작을 스크립트에서 감지
929정성태9/17/201024061웹: 15. IE 9 - 작업 표시줄의 웹 사이트 바로가기 사용자 정의 - JumpLists [3]파일 다운로드1
928정성태9/16/201028233VC++: 42. 쓰기 전용 파일(예: 로그 파일)의 동기화 방법파일 다운로드1
927정성태9/14/201038115VC++: 41. UTF-8 포맷의 INI 파일에 대한 GetPrivateProfile... API 사용 불가 [2]
926정성태9/9/201027379Team Foundation Server: 41. 빌드 스크립트에 Code Coverage 추가 [1]파일 다운로드1
925정성태9/8/201031302Team Foundation Server: 40. Visual Studio 2010 - Code Coverage 결과를 외부 XML 파일로 출력하는 명령행 도구 제작 [1]파일 다운로드1
924정성태9/6/201021558개발 환경 구성: 88. SCVMM이 설치된 도메인에 참여하지 않은 Hyper-V 호스트 추가
923정성태9/5/201027545오류 유형: 107. SCVMM Agent 설치 오류 - Failed to configure the WS-Management service.
922정성태9/4/201036192오류 유형: 106. Hyper-V 가상 머신의 네트워크 끊김 현상
921정성태9/2/201030216DDK: 2. Device Driver 응용 프로그램의 빌드 스크립트 [2]파일 다운로드1
920정성태9/1/201034678오류 유형: 105. WMI - The RPC server is unavailable [2]
919정성태8/30/201040740DDK: 1. Visual Studio 2010 - Device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3]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