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GetModuleHandleEx로 알아보는 .NET 메서드의 DLL 모듈 관계

한국 마이크로소프트의 김명신 부장님이 번역하신 ^^ 책에서,

제프리 리처의 Windows via C/C++
; http://www.yes24.com/24/Goods/3205340

아래의 GetModuleHandle / GetModuleHandleEx 코드를 봤습니다.

#include "stdafx.h"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HMODULE hModule = GetModuleHandle(NULL);
    wprintf(L"with GetModuleHandle(NULL) = 0x%x\r\n", hModule);

    wprintf(L"with __ImageBase = 0x%x\r\n", (HINSTANCE)&__ImageBase);

    hModule = NULL;
    GetModuleHandleEx(GET_MODULE_HANDLE_EX_FLAG_FROM_ADDRESS, (PCTSTR)_tmain,
        &hModule);

    wprintf(L"with GetModuleHandleEx = 0x%x\r\n", hModule);

    return 0;
}

이를 실행시키면 대충 다음과 같은 출력 결과를 얻습니다. (윈도우 8.1 + x86 타겟)

with GetModuleHandle(NULL) = 0xf80000
with __ImageBase = 0xf80000
with GetModuleHandleEx = 0xf80000

EXE 콘솔 실행 모듈에 담긴 코드에서 실행된 것이므로 모두 EXE 파일이 메모리에 로드된 주소(여기서는 0xf80000)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이 코드를 DLL에서 실행해 보면 어떨까요?

WIN32DLL_API void fnWin32Dll(void)
{
    HMODULE hModule = GetModuleHandle(NULL);
    wprintf(L"with GetModuleHandle(NULL) = 0x%x\r\n", hModule);

    wprintf(L"with __ImageBase = 0x%x\r\n", (HINSTANCE)&__ImageBase);

    hModule = NULL;
    GetModuleHandleEx(GET_MODULE_HANDLE_EX_FLAG_FROM_ADDRESS, (PCTSTR)fnWin32Dll,
        &hModule);

    wprintf(L"with GetModuleHandleEx = 0x%x\r\n", hModule);
}

GetModuleHandle(NULL)은 여전히 EXE 모듈의 로드 주소를 출력하는 반면 __ImageBase와 fnWin32Dll 함수 주소로 호출한 GetModuleHandleEx의 결과는 DLL 모듈의 로드 주소를 출력합니다.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with GetModuleHandle(NULL) = 0xf80000
with __ImageBase = 0x56e90000
with GetModuleHandleEx = 0x56e90000

디버깅 상태에서 "DEBUG" / "Windows" / "Modules" 메뉴(단축키: Ctrl + Alt + U)를 선택해 확인해 보면 실제로 해당 모듈들이 로드된 주소와 일치합니다.

get_module_handle_1.png




문득 닷넷에서 이 함수들을 호출하면 어떻게 될까 궁금했습니다. 이론상으로 보면, 닷넷은 일단 GetModuleHandle(null)은 동일하게 EXE 파일의 로드 주소를 반환할 것입니다. 하지만, GetModuleHandleEx의 경우에는 모듈 주소를 찾지 못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JIT 컴파일될 것이므로 모듈 영역이 아닌 데이터 영역에서 코드로써 실행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한번 테스트를 해볼까요? ^^

// x86 타겟으로 빌드
using System;
using System.Reflection;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namespace CSharpConsole
{
    class Program
    {
        [DllImport("kernel32.dll", CharSet = CharSet.Auto, SetLastError = true)]
        public static extern IntPtr GetModuleHandle(string lpModuleName);

        [DllImport("kernel32.dll", CharSet = CharSet.Auto, SetLastError = true)]
        public static extern int GetModuleHandleEx(int dwFlags, int funcAddress, out IntPtr phModule);

        const int GET_MODULE_HANDLE_EX_FLAG_FROM_ADDRESS = 0x4;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Ptr pModule = GetModuleHandle(null);
            Console.WriteLine("GetModuleHandle(null) == 0x" + pModule.ToInt64().ToString("x"));

            //Action t = () => { };
            //IntPtr tAddress = Marshal.GetFunctionPointerForDelegate(t);

            MethodInfo mainMethod = typeof(Program).GetMethod("Main", BindingFlags.Static | BindingFlags.NonPublic);
            OutputModuleAddress(mainMethod);
        }

        private static void OutputModuleAddress(MethodInfo mi)
        {
            IntPtr tAddress = mi.MethodHandle.GetFunctionPointer();
            IntPtr pModule = IntPtr.Zero;

            int result = GetModuleHandleEx(GET_MODULE_HANDLE_EX_FLAG_FROM_ADDRESS, tAddress.ToInt32(), out pModule);
            int lastError = Marshal.GetLastWin32Error();

            if (lastError != 0 && lastError != 127)
            {
                Console.WriteLine(mi.Name + ": No Result(0x" + tAddress.ToInt32().ToString("x") + "), lastError = " + lastError + ", return = " + pModule.ToInt32().ToString("x"));
                return;
            }

            Console.WriteLine(mi.Name + " in 0x" + pModule.ToInt32().ToString("x"));
        }
    }
}

출력 결과는 예상했던 대로입니다.

GetModuleHandle(null) == 0xd40000
Main: No Result(0x1060050), lastError = 126, return = 0

당연히 Modules 창을 통해 확인해 보면 Main 메서드의 0x1060050 위치에 해당하는 모듈이 없습니다.

그런데, 이 값이 나올 수 있는 조건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NGen시켜 보관한 GAC의 모듈들입니다. 그것들은 이미 JIT 컴파일되어 모듈로 보관되어 있기 때문에 GetModuleHandleEx로도 구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를 위해 mscorlib.ni.dll에 있을 AppDomain.GetCurrentThreadId 메서드를 대상으로 코드를 작성하면,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생략]...

    MethodInfo getCurrentThreadIdMethod = typeof(AppDomain).GetMethod("GetCurrentThreadId", BindingFlags.Static | BindingFlags.Public);
    OutputModuleAddress(getCurrentThreadIdMethod);
}

출력 결과는 이렇고,

GetModuleHandle(null) == 0xb20000
Main: No Result(0xefc078), lastError = 126, return = 0
GetCurrentThreadId in 0x72cb0000

이 시점에 Modules 창을 통해 확인하면 0x72cb0000에는 mscorlib.ni.dll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et_module_handle_2.png

그냥... 심심해서 ^^ 한번 테스트 해봤습니다.

(첨부 파일은 위의 테스트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7/201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299정성태9/9/201719688개발 환경 구성: 330. Hyper-V VM의 Internal Network를 Private 유형으로 만드는 방법
11298정성태9/8/201723007VC++: 119. EnumProcesses / EnumProcessModules API 사용 시 주의점 [1]
11297정성태9/8/201719654디버깅 기술: 96. windbg - 풀 덤프에 포함된 모든 닷넷 모듈을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
11296정성태9/8/201722871웹: 36. Edge - "이 웹 사이트는 이전 기술에서 실행되며 Internet Explorer에서만 작동합니다." 끄는 방법
11295정성태9/7/201720256디버깅 기술: 95. Windbg - .foreach 사용법
11294정성태9/4/201720015개발 환경 구성: 329.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 빌드 방법 [1]
11293정성태9/4/201720551개발 환경 구성: 328. Visual Studio(devenv.exe)를 배치 파일(.bat)을 통해 실행하는 방법
11292정성태9/4/201718819오류 유형: 419. Cannot connect to WMI provider - Invalid class [0x80041010]
11291정성태9/3/201720693개발 환경 구성: 327. 아파치 서버 2.4를 위한 mod_aspdotnet 마이그레이션
11290정성태9/3/201723909개발 환경 구성: 326. 아파치 서버에서 ASP.NET을 실행하는 mod_aspdotnet 모듈 [2]
11289정성태9/3/201721558개발 환경 구성: 325. GAC에 어셈블리 등록을 위해 gacutil.exe을 사용하는 경우 주의 사항
11288정성태9/3/201718258개발 환경 구성: 324. 윈도우용 XAMPP의 아파치 서버 구성 방법
11287정성태9/1/201727492.NET Framework: 680. C# - 작업자(Worker) 스레드와 UI 스레드 [11]
11286정성태8/28/201714822기타: 67. App Privacy Policy
11285정성태8/28/201723419.NET Framework: 679. C# - 개인 키 보안의 SFTP를 이용한 파일 업로드파일 다운로드1
11284정성태8/27/201721439.NET Framework: 678. 데스크톱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서 UWP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비디오 장치 열람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283정성태8/27/201717220오류 유형: 418. CSS3117: @font-face failed cross-origin request. Resource access is restricted.
11282정성태8/26/201719683Math: 22. 행렬로 바라보는 피보나치 수열
11281정성태8/26/201721472.NET Framework: 677. Visual Studio 2017 - NuGet 패키지를 직접 참조하는 PackageReference 지원 [2]
11280정성태8/24/201718520디버깅 기술: 94. windbg - 풀 덤프에 포함된 모든 모듈을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
11279정성태8/23/201730167.NET Framework: 676. C# Thread가 Running 상태인지 아는 방법
11278정성태8/23/201718270오류 유형: 417. TFS - Warning - Unable to refresh ... because you have a pending edit. [1]
11277정성태8/23/201719517오류 유형: 416. msbuild - error MSB4062: The "TransformXml" task could not be loaded from the assembly
11276정성태8/23/201723820.NET Framework: 675. C# - (파일) 확장자와 연결된 실행 파일 경로 찾기 [2]파일 다운로드1
11275정성태8/23/201732811개발 환경 구성: 323. Visual Studio 설치 없이 빌드 환경 구성 - Visual Studio 2017용 Build Tools [1]
11274정성태8/22/201719374.NET Framework: 674. Thread 타입의 Suspend/Resume/Join 사용 관련 예외 처리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