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314. C++의 inline asm 사용을 .NET으로 포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67

개발 환경 구성: 240. Visual C++ / x64 환경에서 inline-assembly를 매크로 어셈블리로 대체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59

.NET Framework: 543. C++의 inline asm 사용을 .NET으로 포팅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0889

VS.NET IDE: 127. Visual C++ / x64 환경에서 inline-assembly를 매크로 어셈블리로 대체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1691




Visual C++ / x64 환경에서 inline-assembly를 매크로 어셈블리로 대체하는 방법

다음과 같은 질문이 있었군요.

AVX2 div (나누기)가 오류를 발생합니다.
; http://social.msdn.microsoft.com/Forums/ko-KR/7b4ea39d-ba0b-4fe6-82a0-3664678f81d2/avx2-div-?forum=vsko

다들 아시는 것처럼 inline assembly 구문은,

#include "stdafx.h"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_asm
    {
        mov rax, 1111111111
        mov ebx, 100
        div ebx
    }

    return 0;
}

x64 Visual C++ 환경에서는 더 이상 지원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런데, 위의 코드에서는 rax 레지스터(eax 레지스터의 64비트 버전)를 사용하고 있는데 당연히 컴파일되지 않습니다. 우선, 매크로 어셈블리를 이야기하기 전에 위의 문제를 짚고 넘어가죠. ^^

위의 코드를 빌드하려면 rax를 eax로 바꾸고 x86 타겟으로 Visual C++로 컴파일하면 됩니다. 그런데, 나눗셈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부가적인 코드를 더 추가한 후 실행해 보면,

#include "stdafx.h"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int a = 0;

    _asm
    {
        mov eax, 1111111111
        mov ebx, 100
        div ebx

        mov a, eax
    }

    printf("%d\n", a);
    printf("%d\n", 1111111111 / 100);

    return 0;
}

출력 결과는 이렇습니다.

54060784
11111111

오호~~~ 2개의 결과가 같아야 하는데, 다르군요. 왜냐하면 div 어셈블리 명령어는,

The DIV/IDIV Instructions
; http://www.tutorialspoint.com/assembly_programming/assembly_arithmetic_instructions.htm

위의 문서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divisor (이 코드에서는 ebx)의 크기가 32비트이면 피젯수(dividend)가 64비트여야 하고 상위 32비트는 EDX 레지스터에, 하위 32비트는 EAX 레지스터에 담겨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위의 div 연산을 제대로 하려면 edx 레지스터 값을 제대로 초기화해야 합니다.

_asm
{
    mov edx, 0
    mov eax, 1111111111
    mov ebx, 100
    div ebx

    // ... [생략] ...
}

이렇게 하고 출력해 보면 2개의 값 모두 "11111111"로 일치합니다.

기존에 54060784 결과값이 나왔던 것은 edx 레지스터에 임의의 값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Visual C++의 경우 _tmain 함수에 전달하는 인자의 수를 보관하기 위한 임시 변수로 edx가 사용되는데,

#ifdef WPRFLAG
            __winitenv = envp;
009F73A2  mov         ecx,dword ptr ds:[0A040F4h]  
009F73A8  mov         edx,dword ptr ds:[0A03B9Ch]  
009F73AE  mov         dword ptr [ecx],edx  
            mainret = wmain(argc, argv, envp);
009F73B0  mov         eax,dword ptr ds:[00A03B9Ch]  
009F73B5  push        eax  
009F73B6  mov         ecx,dword ptr ds:[0A03B98h]  
009F73BC  push        ecx  
009F73BD  mov         edx,dword ptr ds:[0A03B94h]  
009F73C3  push        edx  
009F73C4  call        _wmain (09F1028h)  
009F73C9  add         esp,0Ch  
009F73CC  mov         dword ptr ds:[00A03B8Ch],eax  
#else  /* WPRFLAG */
            __initenv = envp;
            mainret = main(argc, argv, envp);

보시는 바와 같이 edx에 argc 인자에 해당하는 1이 들어 있었기 때문에 결과는 다음과 같았던 것입니다.

__int64 num = (1111111111 | ((__int64)1 << 32));
printf("%d\n", num / 100); // 출력 결과: 54060784

물론, 위의 예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명령행에 인자를 하나 더 주면 edx값은 2가 되고 결과는 97010457로 바뀝니다.




이 테스트를 x64에서 하고 싶으면 더 이상 C++ 소스 코드에서 할 수는 없고 별도로 매크로 어셈블러를 이용해서 연동해야 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에서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Using Assembly routines in Visual C++
; http://www.codeproject.com/Articles/11037/Using-Assembly-routines-in-Visual-C

매크로 어셈블리 컴파일러는 Visual Studio를 설치했으면 다음의 경로에 이미 32/64비트용이 있기 때문에 별도로 구하지 않아도 됩니다.

32비트 컴파일러: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2.0\VC\bin\ml.exe"
64비트 컴파일러: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0.0\VC\bin\amd64\ml64.exe"

x64의 경우 4개 이하의 파라미터는 레지스터를 통해서 전달하므로 제수/피제수로 넘어올 파라미터를 각각 rdx, rcx로부터 받아서 처리하게 바꿔야 합니다.

.code

    DivInt64 PROC

	    mov rax, rcx  ; dividend
	    mov rbx, rdx  ; divisor
        xor rdx, rdx

	    div rbx

	    ret

    DivInt64 ENDP

END

이제 컴파일 해주면 DivInt64.obj 파일이 생기고,

ml64.exe /c DivInt64.asm

생성된 DivInt64.obj 파일을 Visual Studio의 "솔루션 탐색기(Solution Explorer)"에 있는 Visual C++ 프로젝트에 (파일 탐색기로부터 끌어다 놓는 등의 방법을 이용해) 추가하고, 원래의 C++ 코드를 다음과 같이 바꿔줍니다.

#include "stdafx.h"

extern "C" int DivInt64(__int64 dividend, __int64 divider);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int a = 0;

    a = DivInt64(1111111111, 100);
    
    printf("%d\n", a);
    printf("%d\n", 1111111111 / 100);

    return 0;
}

이번에도 동일하게 "11111111" 출력값을 볼 수 있습니다 대신 64비트로 레지스터 값이 바뀌었기 때문에 128비트 나눗셈까지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해당 소스 코드를 x86/x64에 따라 동일하게 컴파일 되도록 preprocessor를 이용해 주면 끝!

#include "stdafx.h"

extern "C" int DivInt64(__int64 dividend, __int64 divider);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int a = 0;

#if _M_AMD64
    a = DivInt64(1111111111, 100);
#else
    _asm
    {
        mov edx, 0
        mov eax, 1111111111
        mov ebx, 100
        div ebx

        mov a, eax
    }
#endif

    printf("%d\n", a);
    printf("%d\n", 1111111111 / 100);

    return 0;
}

(첨부 파일은 위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5/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00정성태9/10/201721136.NET Framework: 681. dotnet.exe - run, exec, build, restore, publish 차이점 [3]
11299정성태9/9/201719797개발 환경 구성: 330. Hyper-V VM의 Internal Network를 Private 유형으로 만드는 방법
11298정성태9/8/201723134VC++: 119. EnumProcesses / EnumProcessModules API 사용 시 주의점 [1]
11297정성태9/8/201719791디버깅 기술: 96. windbg - 풀 덤프에 포함된 모든 닷넷 모듈을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
11296정성태9/8/201722929웹: 36. Edge - "이 웹 사이트는 이전 기술에서 실행되며 Internet Explorer에서만 작동합니다." 끄는 방법
11295정성태9/7/201720414디버깅 기술: 95. Windbg - .foreach 사용법
11294정성태9/4/201720080개발 환경 구성: 329.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 빌드 방법 [1]
11293정성태9/4/201720669개발 환경 구성: 328. Visual Studio(devenv.exe)를 배치 파일(.bat)을 통해 실행하는 방법
11292정성태9/4/201718881오류 유형: 419. Cannot connect to WMI provider - Invalid class [0x80041010]
11291정성태9/3/201720709개발 환경 구성: 327. 아파치 서버 2.4를 위한 mod_aspdotnet 마이그레이션
11290정성태9/3/201723956개발 환경 구성: 326. 아파치 서버에서 ASP.NET을 실행하는 mod_aspdotnet 모듈 [2]
11289정성태9/3/201721619개발 환경 구성: 325. GAC에 어셈블리 등록을 위해 gacutil.exe을 사용하는 경우 주의 사항
11288정성태9/3/201718400개발 환경 구성: 324. 윈도우용 XAMPP의 아파치 서버 구성 방법
11287정성태9/1/201727589.NET Framework: 680. C# - 작업자(Worker) 스레드와 UI 스레드 [11]
11286정성태8/28/201714969기타: 67. App Privacy Policy
11285정성태8/28/201723507.NET Framework: 679. C# - 개인 키 보안의 SFTP를 이용한 파일 업로드파일 다운로드1
11284정성태8/27/201721530.NET Framework: 678. 데스크톱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서 UWP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비디오 장치 열람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283정성태8/27/201717310오류 유형: 418. CSS3117: @font-face failed cross-origin request. Resource access is restricted.
11282정성태8/26/201719749Math: 22. 행렬로 바라보는 피보나치 수열
11281정성태8/26/201721567.NET Framework: 677. Visual Studio 2017 - NuGet 패키지를 직접 참조하는 PackageReference 지원 [2]
11280정성태8/24/201718579디버깅 기술: 94. windbg - 풀 덤프에 포함된 모든 모듈을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
11279정성태8/23/201730181.NET Framework: 676. C# Thread가 Running 상태인지 아는 방법
11278정성태8/23/201718386오류 유형: 417. TFS - Warning - Unable to refresh ... because you have a pending edit. [1]
11277정성태8/23/201719635오류 유형: 416. msbuild - error MSB4062: The "TransformXml" task could not be loaded from the assembly
11276정성태8/23/201723918.NET Framework: 675. C# - (파일) 확장자와 연결된 실행 파일 경로 찾기 [2]파일 다운로드1
11275정성태8/23/201732927개발 환경 구성: 323. Visual Studio 설치 없이 빌드 환경 구성 - Visual Studio 2017용 Build Tools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