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7개 있습니다.)

실행된 프로세스(EXE)의 명령행 인자를 확인하고 싶다면 - Sysmon

근래에 나온 sysinternals의 새로운 도구가 바로 Sysmon입니다. ^^

Sysinternals New Tool Sysmon (System Monitor)
; http://www.darkoperator.com/blog/2014/8/8/sysinternals-sysmon

물론, 마이크로소프트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고.

Sysmon v1.0
; https://learn.microsoft.com/en-us/sysinternals/downloads/sysmon

명령행 도움말이 제공되지만,

Usage:

Install:    Sysmon.exe -i [-h [sha1|md5|sha256]] [-n]
Configure:  Sysmon.exe -c [[-h [sha1|md5|sha256]] [-n]|--]
Uninstall:  Sysmon.exe -u

-c Update configuration of an installed Sysmon driver or dump the current configuration if no other argument is provided. 
-h Specify the hash algorithm used for image identification (default is SHA1). 
-i Install service and driver. 
-m Install the event manifest (done on service install as well). 
-n Log network connections. 
-u Uninstall service and driver. 

그냥 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실행해서 서비스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sysmon -i -accepteula

그럼 NT 서비스로 늘 실행하는 형태로 등록됩니다.

sysmon_test_1.png

이후로 실행되는 모든 EXE 프로세스는 명령행 정보와 함께 이벤트 로그의 "Event Viewer" / "Applications and Services Logs" / "Microsoft" / "Windows" 하위에 있는 "Sysmon" 폴더에 기록됩니다.

가령, 다음은 그 한 예입니다.

Log Name:      Microsoft-Windows-Sysmon/Operational
Source:        Microsoft-Windows-Sysmon
Date:          2014-08-16 오후 4:46:35
Event ID:      1
Task Category: (1)
Level:         Information
Keywords:      
User:          SYSTEM
Computer:      TESTPC2
Description:
Process Create
Event Xml:
<Event xmlns="http://schemas.microsoft.com/win/2004/08/events/event">
  <System>
    <Provider Name="Microsoft-Windows-Sysmon" Guid="{5770385F-C22A-43E0-BF4C-06F5698FFBD9}" />
    <EventID>1</EventID>
    <Version>2</Version>
    <Level>4</Level>
    <Task>1</Task>
    <Opcode>0</Opcode>
    <Keywords>0x8000000000000000</Keywords>
    <TimeCreated SystemTime="2014-08-16T07:46:35.553829500Z" />
    <EventRecordID>21</EventRecordID>
    <Correlation />
    <Execution ProcessID="14896" ThreadID="10820" />
    <Channel>Microsoft-Windows-Sysmon/Operational</Channel>
    <Computer>TESTPC2</Computer>
    <Security UserID="S-1-5-18" />
  </System>
  <EventData>
    <Data Name="UtcTime">2014-08-16 오전 7:46</Data>
    <Data Name="ProcessGuid">{00000000-695B-53EC-0000-0010F8037708}</Data>
    <Data Name="ProcessId">9264</Data>
    <Data Name="Image">C:\Program Files (x86)\Microsoft SDKs\Windows\v7.1A\bin\rc.exe</Data>
    <Data Name="CommandLine">"C:\Program Files (x86)\Microsoft SDKs\Windows\v7.1A\bin\rc.exe" /D _DEBUG /D _WINRES_COMPILE /D _USING_V110_SDK71_ /D _UNICODE /D UNICODE /l0x0409 /IDebug\ /v /foDebug\TestApp.res TestApp.rc</Data>
    <Data Name="User">TESTPC2\TestUser</Data>
    <Data Name="LogonId">0x57389</Data>
    <Data Name="TerminalSessionId">1</Data>
    <Data Name="IntegrityLevel">Medium</Data>
    <Data Name="HashType">SHA1</Data>
    <Data Name="Hash">CA1BE77C3DE643909A8999E3FBFC2EC91EBD07EA</Data>
    <Data Name="ParentProcessGuid">{00000000-695B-53EC-0000-0010C4027708}</Data>
    <Data Name="ParentProcessId">8072</Data>
    <Data Name="ParentImage">C:\Program Files (x86)\MSBuild\12.0\bin\Tracker.exe</Data>
    <Data Name="ParentCommandLine">"C:\Program Files (x86)\MSBuild\12.0\bin\Tracker.exe" @"C:\Users\...\AppData\Local\Temp\tmp05760d77f1134cae8e78bc199ac2e639.tmp" /c "C:\Program Files (x86)\Microsoft SDKs\Windows\v7.1A\bin\rc.exe"  /D _DEBUG /D _WINRES_COMPILE /D _USING_V110_SDK71_ /D _UNICODE /D UNICODE /l"0x0409" /IDebug\ /v /fo"Debug\TestApp.res" TestApp.rc</Data>
  </EventData>
</Event>

보시는 바와 같이, 꽤나 흥미로운 정보가 2가지 있습니다. 바로 해당 프로세스의 명령행과 그것을 실행시킨 부모 프로세스의 명령행 정보입니다.

기존의 "Process Explorer"에서는 현재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명령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sysmon을 이용하면 반짝하고 실행이 금방 종료되는 경우에도 가능해졌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




참고로, 위의 예제에서 든 rc.exe 컴파일의 경우 비주얼 스튜디오의 Output 창에서 명령행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TOOLS" / "Options" 메뉴에서 "Projects and Solutions" / "Build and Run" 범주의 "MSBuild project build output verbosity" 항목을 "Detailed"로 설정해 주고,

sysmon_test_2.png

해당 Visual C++ 프로젝 속성 창에서 역시 "Configuration Properties" / "Resources" / "General" 범주로 이동해 "Show Progress" 옵션을 켜두면,

sysmon_test_2.png

이후의 컴파일에서 rc.exe 실행 및 그것의 명령행 정보까지 모두 Output 창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3/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10-02 05시37분
[유수석] 오... 좋은 정보네요...
굿굿
[guest]
2014-10-03 05시15분
기존 툴 유지/보수하는 것도 바쁠 텐데, 이렇게 새로운 것도 만들어 내는 거 보면 대단한 것 같습니다. ^^
정성태
2022-07-03 10시12분
sysmon 이벤트 로그를 긁어 부모/자식 프로세스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ps1 스크립트입니다. ^^

PSBits/DFIR/GetSysmonTree.ps1
; https://github.com/gtworek/PSBits/blob/master/DFIR/GetSysmonTree.ps1
정성태
2022-08-17 09시02분
정성태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261정성태7/9/202019449VS.NET IDE: 148. 윈도우 10에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리눅스 환경에서 실행하는 2가지 방법 - docker, WSL 2 [5]
12260정성태7/8/202017235.NET Framework: 926. C# - ETW를 이용한 ThreadPool 스레드 감시파일 다운로드1
12259정성태7/8/202016418오류 유형: 627. nvlddmkm.sys의 BAD_POOL_HEADER BSOD 문제 [1]
12258정성태7/8/202020276기타: 77. DataDog APM 간략 소개
12257정성태7/7/202016604.NET Framework: 925. C# - ETW를 이용한 Monitor Enter/Exit 감시파일 다운로드1
12256정성태7/7/202017689.NET Framework: 924. C# - Reflection으로 변경할 수 없는 readonly 정적 필드 [4]
12255정성태7/6/202018465.NET Framework: 923. C# -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Finalizer 실행 감시파일 다운로드1
12254정성태7/2/202016988오류 유형: 626. git -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12253정성태7/2/202019494.NET Framework: 922. C# - .NET ThreadPool의 Local/Global Queue파일 다운로드1
12252정성태7/2/202021261.NET Framework: 921. C# - I/O 스레드를 사용한 비동기 소켓 서버/클라이언트파일 다운로드2
12251정성태7/1/202020023.NET Framework: 920. C# - 파일의 비동기 처리 유무에 따른 스레드 상황 [1]파일 다운로드2
12250정성태6/30/202022181.NET Framework: 919. C# - 닷넷에서의 진정한 비동기 호출을 가능케 하는 I/O 스레드 사용법 [1]파일 다운로드1
12249정성태6/29/202017664오류 유형: 625. Microsoft SQL Server 2019 RC1 Setup - 설치 제거 시 Warning 26003 오류 발생
12248정성태6/29/202015455오류 유형: 624. SQL 서버 오류 - service-specific error code 17051
12247정성태6/29/202017394.NET Framework: 918. C# - 불린 형 상수를 반환값으로 포함하는 3항 연산자 사용 시 단축 표현 권장(IDE0075) [2]파일 다운로드1
12246정성태6/29/202018577.NET Framework: 917. C# - USB 관련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12245정성태6/24/202018992.NET Framework: 916. C# - Task.Yield 사용법 (2) [2]파일 다운로드1
12244정성태6/24/202019033.NET Framework: 915.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닷넷 프로그램의 내부 이벤트 활용 [1]파일 다운로드1
12243정성태6/23/202015414VS.NET IDE: 147. Visual C++ 프로젝트 - .NET Core EXE를 "Debugger Type"으로 지원하는 기능 추가
12242정성태6/23/202017011오류 유형: 623. AADSTS90072 - User account '...' from identity provider 'live.com' does not exist in tenant 'Microsoft Services'
12241정성태6/23/202020177.NET Framework: 914. C# - Task.Yield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2240정성태6/23/202021738오류 유형: 622. 소켓 바인딩 시 "System.Net.Sockets.SocketException: An attempt was made to access a socket in a way forbidden by its access permissions" 오류 발생
12239정성태6/21/202019794Linux: 30. (윈도우라면 DLL에 속하는) .so 파일이 텍스트로 구성된 사례 [1]
12238정성태6/21/202018161.NET Framework: 9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라이브러리
12237정성태6/20/202017695.NET Framework: 912. 리눅스 환경의 .NET Core에서 "test".IndexOf("\0")가 0을 반환
12236정성태6/19/202018395오류 유형: 621. .NET Standard 대상으로 빌드 시 dynamic 예약어에서 컴파일 오류 - error CS0656: Missing compiler required member 'Microsoft.CSharp.RuntimeBinder.CSharpArgumentInfo.Create'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