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3.1. Interface를 사용하면.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618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부모글 보이기/감추기


.NET Class를 Native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목적으로는 Interface를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래야 vtable의 순서 등을 정확하게 유지하는 contract를 보장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방법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해당 클래스를 Interface로부터 상속받도록 하고, ClassInterfaceType.None을 지정해 주시면 됩니다.

다음은 그에 대한 코드입니다.

namespace ClassLibrary1
{

    [ComVisible(true)]
    [Guid("23172f2f-a3d3-4180-97ae-7805f74a5a46")]
    [InterfaceType(ComInterfaceType.InterfaceIsDual)]
    public interface ISecure
    {
        bool CheckLicense();
    }

    [ComVisible(true)]
    [Guid("23172f2f-a3d3-4180-97ae-7805f74a5a45")]
    [ClassInterface(ClassInterfaceType.None)]
    public class SecureWrap : ISecure
    {
        public bool CheckLicense()
        {
            MessageBox.Show("1111111111", "222222222222", MessageBoxButtons.OK);
            return true;
        }
    }
}

이에 대한 TLB 파일을 Visual C++에서 import 시키면 다음과 같이 간결한 구조의 TLH 파일이 생성됩니다.

#pragma once
#pragma pack(push, 8)

#include <comdef.h>

struct __declspec(uuid("23172f2e-a3d3-4180-97ae-7805f74a5a49"))
/* LIBID */ __ClassLibrary1;
struct __declspec(uuid("23172f2f-a3d3-4180-97ae-7805f74a5a46"))
/* dual interface */ ISecure;
struct /* coclass */ SecureWrap;

_COM_SMARTPTR_TYPEDEF(ISecure, __uuidof(ISecure));

struct __declspec(uuid("23172f2f-a3d3-4180-97ae-7805f74a5a46"))
ISecure : IDispatch
{
    VARIANT_BOOL CheckLicense ( );
    virtual HRESULT __stdcall raw_CheckLicense (
        /*[out,retval]*/ VARIANT_BOOL * pRetVal ) = 0;
};

struct __declspec(uuid("23172f2f-a3d3-4180-97ae-7805f74a5a45"))
SecureWrap;

#include "d:\temp2\consolecpp\debug\classlibrary1.tli"

#pragma pack(pop)

_TypePtr 등의 Smart Pointer 정의도 필요 없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직접 사용하게 되는 Visual C++ 코드 역시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이뤄집니다.

#include "stdafx.h"
#import "..\ClassLibrary1\bin\Debug\ClassLibrary1.tlb" no_namespace

void _tmain(int argc, _TCHAR* argv[])
{
	CoInitialize( NULL );

	{	
		ISecurePtr ptr = ISecurePtr( __uuidof( SecureWrap ) );
		ptr->CheckLicense();
	}

	CoUninitialize();
}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10-22 06시50분
CoInitialize 없이 C# COM 개체를 생성하는 경우, Visual Studio 출력 창에 다음과 같은 디버그 메시지가 나올 수 있습니다.

First-chance exception at 0x7561b9bc in [...].exe: Microsoft C++ exception: _com_error at memory location 0x002be9f4..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688정성태7/21/202410351닷넷: 2281. C# - Lock / Wait 상태에서도 일부 Win32 메시지 처리파일 다운로드1
13687정성태7/19/202411919닷넷: 2280. C# - PostThreadMessage로 보낸 메시지를 Windows Forms에서 수신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86정성태7/19/202411197오류 유형: 918. Visual Studio - ATL Simple Object 추가 시 error C2065: 'IDR_...': undeclared identifier
13685정성태7/19/202410628스크립트: 66. Windows 디렉터리 경로를 WSL의 /mnt 포맷으로 구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3684정성태7/19/202411872닷넷: 2279. C# - 문자열 보간식 사례 (예: 조건 연산자 사용)
13683정성태7/18/202410326오류 유형: 917. ClrMD - Linux 환경의 .NET 5 덤프 분석 시 hang 현상
13682정성태7/18/202410784닷넷: 2278. WPF - 스레드에 종속되는 DependencyObject파일 다운로드1
13681정성태7/17/202410279닷넷: 2277. C# 13 - (2) 메서드 그룹의 자연 타입 개선 (메서드 추론 개선)파일 다운로드1
13680정성태7/16/202412248닷넷: 2276. C# - Method Group, Natural Type, function_type파일 다운로드1
13679정성태7/16/20249242Linux: 76. Linux - C++ (getaddrinfo 등을 담고 있는) libnss 정적 링크
13678정성태7/15/202410506VS.NET IDE: 191. Visual Studio 2022 - .NET 5 프로젝트를 Docker Support로 실행했을 때 오류
13677정성태7/15/202411577오류 유형: 916. MSBuild - CheckEolTargetFramework (warning NETSDK1138)
13676정성태7/14/202410674Linux: 75. gdb에서 glibc의 함수에 Breakpoint 걸기
13675정성태7/13/202414107C/C++: 166. C/C++ - DLL에서 template 함수를 export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3674정성태7/13/202412161오류 유형: 915. Unhandled Exception: Microsoft.Diagnostics.NETCore.Client.ServerNotAvailableException: Unable to connect to Process
13673정성태7/11/202414519닷넷: 2275. C# 13 - (1) 신규 이스케이프 시퀀스 '\e'파일 다운로드1
13672정성태7/10/202410172닷넷: 2274. IIS - (프로세스 종료 없는) AppDomain Recycle
13671정성태7/10/202410570오류 유형: 914. Package ca-certificates is not installed.
13669정성태7/9/202410474오류 유형: 913. C# - AOT StaticExecutable 정적 링킹 시 빌드 오류
13668정성태7/8/202411096개발 환경 구성: 716. Hyper-V - Ubuntu 22.04 Generation 2 유형의 VM 설치
13667정성태7/7/20248809닷넷: 2273. C# - 리눅스 환경에서의 Hyper-V Socket 연동 (AF_VSOCK)파일 다운로드1
13666정성태7/7/202411535Linux: 74. C++ - Vsock 예제 (Hyper-V Socket 연동)파일 다운로드1
13665정성태7/6/202411878Linux: 73. Linux 측의 socat을 이용한 Hyper-V 호스트와의 vsock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3663정성태7/5/202410761닷넷: 2272.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의 VMID Wildcards 유형파일 다운로드1
13662정성태7/4/202410281닷넷: 2271. C# - WSL 2 VM의 VM ID를 알아내는 방법 - Host Compute System API파일 다운로드1
13661정성태7/3/202410340Linux: 72. g++ - 다른 버전의 GLIBC로 소스코드 빌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