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8. [Outlook] 0x8004011D 에러 - "Exchange over the Internet" 환경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464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6월 9일 저녁부터였던 것 같습니다.
제 컴퓨터에 설치된 "Outlook 2003"이 "Exchange Server" 측과 통신이 되지 않았습니다.
다음날까지도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고 있다가. Exchange 서버가 설치된 컴퓨터를 재부팅했는데도 여전히 클라이언트 측에서의 접속이 되질 않는 것입니다.

어허... ^^;

Outlook 2003으로 "보내기 받기"를 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Task 'Microsoft Exchange Server' reported error (0x8004011D) : 'The server is not availble.
Contact your administrator if this condition persists.'

Task 'Microsoft Exchange Server - Sending and Receiving' reported error (0x80040115) :
'The connection to the 'Microsoft Exchange Server is unavailble. 
Outlook must be online or connected to complete this action.'

Task 'Microsoft Exchange Server' reported error (0x8004011D) : 'The server is not
availble. Contact your administrator if this condition persists.'

"관리자"라... ^^ 조그마한 소규모 회사에서 누가 관리자이겠습니까. ^^

Outlook Web Access로 접근을 했더니, 정상적으로 사용자 메일 박스는 동작하고 있었고 정상적으로 메일 수신/발신도 되었습니다. 음... 그럼 무엇이 문제였을까요? ^^

가만 보니, "https://"로 접속할 때마다 인증서 만료 메시지 창을 띄워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Exchange over the Internet" 설정을 통해서 외부 인터넷에서 내부 Exchange 서버를 접근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SSL 인증서를 사용하는데, 아무래도 그것이 만료된 듯 싶다는 결론이 내려졌습니다.

해결 방법은... ^^ 간단합니다.
Exchange Server가 설치된 웹 서버에 터미널 서비스로 접속한 다음, IIS 관리자를 실행시키고 해당 웹 사이트의 속성창을 누르면 "등록 정보" 창이 나오게 됩니다. "디렉터리 보안" 탭을 누르고 "서버 인증서" 버튼을 누르면 "웹 서버 인증서 마법사" 대화창이 나옵니다. 그럼, "현재 인증서 할당 수정" 패널이 나오고 그중에서 "현재 인증서를 갱신합니다"를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인증서 갱신

그렇게 인증서를 갱신한 다음부터는, 정상적으로 Outlook에서 서버 접속을 하실 수 있습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31/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63정성태2/11/202215634.NET Framework: 1152. C# -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ffmpeg(FFmpeg.AutoGen)로 동영상 처리 (저해상도 현상 해결)파일 다운로드1
12962정성태2/9/202215011오류 유형: 793.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 제품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재고가 없는 것일 수 있습니다.
12961정성태2/8/202215132.NET Framework: 115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7]파일 다운로드1
12960정성태2/8/202214347개발 환경 구성: 637.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세 번째 이야기
12959정성태2/7/202215447.NET Framework: 115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두 번째 이야기 [2]파일 다운로드1
12958정성태2/6/202216245.NET Framework: 1149. C# - ffmpeg(FFmpeg.AutoGen) - 비디오 프레임 디코딩 [2]파일 다운로드1
12957정성태2/6/202215201개발 환경 구성: 636. ffmpeg.exe를 이용해 planar 포맷의 데이터를 packed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 [2]
12956정성태2/4/202214740.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 - decoding 과정 [2]파일 다운로드1
12955정성태2/4/202214118개발 환경 구성: 635.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2)
12954정성태2/4/202213392VS.NET IDE: 173. 비주얼 스튜디오 - Output 창에 색상이 지정된 출력 결과가 "[39m[22m" 식의 문자로 나오는 문제
12953정성태2/2/202213437Linux: 48. Windows 11 + WSL 우분투 GUI 환경에서 한글 출력
12952정성태2/2/202214334.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 예제(filter_audio.c)파일 다운로드1
12951정성태2/2/202213793.NET Framework: 114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링 예제(filtering_audio.c)파일 다운로드1
12950정성태2/1/202214051.NET Framework: 1146. .NET 6에 추가되지 않은 Generic Math (예: INumber<T>)
12949정성태2/1/202213379.NET Framework: 1145. C# - ffmpeg(FFmpeg.AutoGen) - Codec 정보 열람 및 사용 준비파일 다운로드1
12948정성태1/30/202214059.NET Framework: 1144. C# - ffmpeg(FFmpeg.AutoGen) AVFormatContext를 이용해 ffprobe처럼 정보 출력파일 다운로드1
12947정성태1/30/202215271개발 환경 구성: 634. ffmpeg.exe - 기존 동영상 컨테이너에 다중 스트림을 추가하는 방법
12946정성태1/28/202213932오류 유형: 792. .NET Core - 로컬 개발 중에 docker 호스팅으로 바꾸는 경우 SQL 서버 접근 방법
12945정성태1/28/202214048오류 유형: 791. SQL 서버 로그인 시 localhost는 되고, 127.0.0.1로는 안 되는 문제
12944정성태1/28/202217445.NET Framework: 1143. C# - Entity Framework Core 6 개요
12943정성태1/27/202216718.NET Framework: 1142. .NET 5+로 포팅 시 플랫폼 호환성 경고 메시지(SYSLIB0006, SYSLIB0011, CA1416) [1]파일 다운로드1
12942정성태1/27/202216173.NET Framework: 1141. XmlSerializer와 Dictionary 타입파일 다운로드1
12941정성태1/26/202217414오류 유형: 790. AKS/k8s - pod 상태가 Pending으로 지속되는 경우
12940정성태1/26/202213864오류 유형: 789. AKS에서 hpa에 따른 autoscale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다면?
12939정성태1/25/202214993.NET Framework: 114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3 오디오 파일 인코딩/디코딩하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2938정성태1/24/202218190개발 환경 구성: 633. Docker Desktop + k8s 환경에서 local 이미지를 사용하는 방법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