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윈도우 8.1에서 방화벽과 함께 FTP 서버 여는 (하지만, 권장하지 않는) 방법

지난 글에서 방화벽과 함께 FTP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는데요.

윈도우 8.1에서 방화벽과 함께 FTP 서버 여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2870

그런데, 이와 관련해서 검색해 보면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는 글이 종종 눈에 띕니다.

How to Allow FTP Traffic Through Windows 8, 8.1 and Windows 7 Firewall
; http://www.sysprobs.com/how-to-allow-ftp-traffic-through-windows-8-8-1-windows-7-firewall

위의 글에 설명된 방법을 직접 명령행으로 구성해 보면 이렇게 되는데요. (Passive 모드에서는 20번 포트가 필요없으므로 21번만 설정했습니다.)

netsh advfirewall firewall add rule name="FTP Service" action=allow localport=21 protocol=TCP dir=in

이 명령어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cmd.exe'에서 수행시키면 "Inbound Rules" 방화벽 설정에 21번 포트가 열리도록 설정이 됩니다.

그리고, FTP로 연결해 보면 이렇게 잘 됩니다. ^^

C:\temp>ftp 192.168.0.22
Connected to 192.168.0.22.
220 Microsoft FTP Service
User (192.168.0.22:(none)): testuser
331 Password required
Password:
230 User logged in.

ftp> ls
200 PORT command successful.
150 Opening ASCII mode data connection.
myfile.txt
226 Transfer complete.
ftp: 15 bytes received in 0.00Seconds 15000.00Kbytes/sec.
ftp>

아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FTP 클라이언트(ftp.exe) 프로그램은 '액티브(Active: 능동형)' 연결 모드만 지원합니다. 즉, 위의 연결은 액티브 모드로 접속이 된 것입니다.

'패시브(Passive: 수동형)' 모드로 접속 테스트를 해보려면 '알드라이브'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연결 정보의 "고급" 탭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수동형"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기본값이 수동형입니다. 요즘의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능동형은 인트라넷 사이트를 제외하고는 현실성이 없습니다.)

ftp_nat_4.png

이렇게 하고, 연결을 해보면 알드라이브의 경우 다음과 같이 "시간 초과 했습니다. (Error: Connection time-out)"라는 오류를 냅니다.

ftp_nat_5.png

왜냐하면, 수동형 모드는 FTP 서버 측에서 동적할당한 포트로 클라이언트가 데이터 채널 용 연결을 시도하는 방식이므로, 21번 포트만 허용한 경우 자연스럽게 연결 시간 초과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다시 말해, 위의 경우는 컨트롤 채널인 21번 포트 연결은 정상적으로 된 것입니다. 이 때문에 화면에는 접속은 했지만 목록을 못 가져오는 것처럼 보입니다.) 따라서, 패시브 연결을 허용하고 싶다면 동적 포트 범위의 연결을 허용하도록 다음과 같이 명령을 주어야 합니다.

netsh advfirewall firewall add rule name="FTP Service" action=allow localport=21,1024-65535 protocol=TCP dir=in

이렇게 설정하고 연결을 해보면 정상적으로 알드라이브에서도 패시브 모드로 연결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위의 설정 방법이 좀 이상하다고 느껴지지 않나요?

netsh 명령에 보면 포트를 지정하고 모든 프로그램에 허용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즉, 시스템 전체에서 21번 포트와 1024~65535 범위의 모든 포트를 열도록 만든 것입니다. 결국 21번을 제외한 1023번 포트 이내의 포트만 막혔을 뿐 사실상 거의 방화벽이 해제되어 있다고 봐도 좋을 수준인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방법이 권장되지 않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전에 제가 설명한 방식(윈도우 8.1에서 방화벽과 함께 FTP 서버 여는 방법)과 어떤 면에서 틀린 걸까요?

이전 글에서 열었던 "FTP Server (FTP Traffic-In)"과 "FTP Server Passive (FTP Passive Traffic-In)" 방식은 마찬가지로 21번 포트와 1024~65535 범위의 포트를 열지만 그 대상을 svchost.exe에서 실행중인 FTP 서비스에 한해서만 허용하는 옵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ftp_nat_6.png

대응되는 명령어로 보면, "service" 옵션이 지정되어 더욱 명확하게 포트 관리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netsh advfirewall firewall add rule name="FTP Service" action=allow localport=21,1024-65535 service=FTPSVC protocol=TCP dir=in

방화벽을 설정할 정도로 보안에 공을 들이기 때문에 이 글을 읽고 계실텐데요. 그러하니, 부디 "How to Allow FTP Traffic Through Windows 8, 8.1 and Windows 7 Firewall" 글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포트를 열지 마시고, 반드시 제가 쓴 글에서 설명한 방식(윈도우 8.1에서 방화벽과 함께 FTP 서버 여는 방법)으로 열기 바랍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4/201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5-02-24 06시56분
[spowner] 감사합니다~
[gues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917정성태4/30/202570VS.NET IDE: 199. Directory.Build.props에 정의한 속성에 대해 Condition 제약으로 값을 변경하는 방법
13916정성태4/23/2025477디버깅 기술: 221. WinDbg 분석 사례 - ASP.NET HttpCookieCollection을 다중 스레드에서 사용할 경우 무한 루프 현상 - 두 번째 이야기
13915정성태4/13/20251686닷넷: 2331.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9)파일 다운로드1
13914정성태4/11/20251998디버깅 기술: 220. windbg 분석 사례 - x86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의 CPU 100% 현상 (4)
13913정성태4/10/20251216오류 유형: 950. Process Explorer - 64비트 윈도우에서 32비트 프로세스의 덤프를 뜰 때 "Error writing dump file: Access is denied." 오류
13912정성태4/9/2025876닷넷: 2330.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5 ~ .NET 8)파일 다운로드1
13911정성태4/8/20251117오류 유형: 949. WinDbg - .NET Core/5+ 응용 프로그램 디버깅 시 sos 확장을 자동으로 로드하지 못하는 문제
13910정성태4/8/20251267디버깅 기술: 219. WinDbg - 명령어 내에서 환경 변수 사용법
13909정성태4/7/20251777닷넷: 2329.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Framework 4.8)파일 다운로드1
13908정성태4/2/20252186닷넷: 2328. C# - MailKit: SMTP, POP3, IMAP 지원 라이브러리
13907정성태3/29/20252004VS.NET IDE: 198. (OneDrive, Dropbox 등의 공유 디렉터리에 있는) C# 프로젝트의 출력 경로 변경하기
13906정성태3/27/20252281닷넷: 2327. C# - 초기화되지 않은 메모리에 접근하는 버그?파일 다운로드1
13905정성태3/26/20252325Windows: 281. C++ - Windows / Critical Section의 안정화를 위해 도입된 "Keyed Event"파일 다운로드1
13904정성태3/25/20251918디버깅 기술: 218. Windbg로 살펴보는 Win32 Critical Section파일 다운로드1
13903정성태3/24/20251537VS.NET IDE: 197. (OneDrive, Dropbox 등의 공유 디렉터리에 있는) C++ 프로젝트의 출력 경로 변경하기
13902정성태3/24/20251751개발 환경 구성: 742. Oracle - 테스트용 hr 계정 및 데이터 생성파일 다운로드1
13901정성태3/9/20252139Windows: 280. Hyper-V의 3가지 Thread Scheduler (Classic, Core, Root)
13900정성태3/8/20252364스크립트: 72. 파이썬 - SQLAlchemy + oracledb 연동
13899정성태3/7/20251836스크립트: 71. 파이썬 - asyncio의 ContextVar 전달
13898정성태3/5/20252160오류 유형: 948. Visual Studio - Proxy Authentication Required: dotnetfeed.blob.core.windows.net
13897정성태3/5/20252391닷넷: 2326.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3896정성태3/5/20252213Windows: 279. Hyper-V Manager - VM 목록의 CPU Usage 항목이 항상 0%로 나오는 문제
13895정성태3/4/20252249Linux: 117. eBPF / bpf2go - Map에 추가된 요소의 개수를 확인하는 방법
13894정성태2/28/20252288Linux: 116. eBPF / bpf2go - BTF Style Maps 정의 구문과 데이터 정렬 문제
13893정성태2/27/20252234Linux: 115. eBPF (bpf2go) - ARRAY / HASH map 기본 사용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