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Visual Studio는 64비트 버전이 없습니다! 가끔씩, 비주얼 스튜디오 제품에 대해 64비트 버전이 있는지 묻는 글들을 보게 되는데요. Visual Studio 2013 Community 64Bit OS 설치 관련 ; https://social.msdn.microsoft.com/Forums/ko-KR/06c7f151-2f10-4449-a99f-9b6294a826be/visual-studio-2013-community-64bit-os-?forum=vsko 결론부터 말하면, 64비트용 비주얼 스튜디오는 없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마이크로소프트 측 직원이 아주 상세하게 이야기하고 있는데요. Visual Studio: Why is there no 64 bit version? (yet) ; http://blogs.msdn.com/b/ricom/archive/2009/06/10/visual-studio-why-is-there-no-64-bit-version.aspx ; http://web.archive.org/web/20100619130358/http://blogs.msdn.com/b/ricom/archive/2009/06/10/visual-studio-why-is-there-no-64-bit-version.aspx 몇몇 측면에서 봤을 때 (적어도 저 글을 쓰는 2009년 당시에는) 64비트 운영체제에서라도 32비트 비주얼 스튜디오가 적합하다고... 하는 글입니다. 하지만 64비트용 비주얼 스튜디오가 없다는 것이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64비트용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없다는 것은 아닙니다. 현재 마이크로소프트는 32비트용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32/64비트 응용 프로그램을 모두 개발/디버깅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32비트용 비주얼 스튜디오로 인한 제약이 있다면 단 하나! 비주얼 스튜디오의 실행 프로세스인 devenv.exe가 여전히 4GB 메모리 공간만을 가진다는 점입니다. 그 외에는, 32비트용 비주얼 스튜디오를 64비트 용 비주얼 스튜디오라고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그리고, Visual Studio 2015 ~ 2019에서도 그 정책은 변하지 않아 32비트 버전만 출시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오류 유형: 274. CoreFx, CoreCLR 빌드 시 "error CS0518: Predefined type 'System.Object' is not defined or imported" 오류 해결 방법[이전 글] .NET Framework: 506. .NETCore = CoreFX + CoreCLR [최초 등록일: 3/13/2015] [최종 수정일: 3/25/2025]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6-02-02 11시53분 [misspiece] 좋은 글 감사합니다. [guest] 2021-04-20 08시27분 드디어 64비트 버전의 비주얼 스튜디오가 나오는군요. ^^Visual Studio 2022; https://devblogs.microsoft.com/visualstudio/visual-studio-2022/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911정성태5/23/201917502VS.NET IDE: 136.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C/C++ 프로젝트에 인텔리센스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11910정성태5/23/201927123Math: 50. C# - MathNet.Numerics의 Matrix(행렬) 연산 [1]111909정성태5/22/201921216.NET Framework: 837. C# - PLplot 사용 예제 [1]111908정성태5/22/201919953.NET Framework: 836. C# - Python range 함수 구현111907정성태5/22/201916679오류 유형: 541. msbuild - MSB4024 The imported project file "...targets" could not be loaded11906정성태5/21/201916941.NET Framework: 835. .NET Core/C# - 리눅스 syslog에 로그 남기는 방법11905정성태5/21/201917433.NET Framework: 834. C# - 폴더 경로 문자열에서 "..", "." 표기를 고려한 최종 문자열을 얻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11904정성태5/21/201925856.NET Framework: 833. C# - Open Hardware Monitor를 이용한 CPU 온도 정보 [1]111903정성태5/21/201919677오류 유형: 540. .NET Core - System.PlatformNotSupportedException: The named version of this synchronization primitive is not supported on this platform.11902정성태5/21/201917772오류 유형: 539. mstest 실행 시 "The directory name is invalid." 오류 발생11901정성태5/21/201919719오류 유형: 538. msbuild 오류 - Could not find a part of the path '%LOCALAPPDATA%\Temp\2\.NETFramework,Version=v4.0.AssemblyAttributes.cs'11900정성태5/18/201918694오류 유형: 537. "sfc /scannow" 실행 중 시스템이 부팅되는 현상11899정성태5/17/201919522Linux: 9. Linux에서 윈도우의 OutputDebugString 대신 사용할 수 있는 syslog [1]11898정성태5/16/201921317VC++: 130. C++ string의 c_str과 data 함수의 차이점 [3]11897정성태5/16/201928288오류 유형: 536. Visual Studio - "Developer Pack"을 설치했는데도 "대상 프레임워크" 목록에 나오지 않는 경우 [2]11896정성태5/15/201923284개발 환경 구성: 440. C#, C++ - double의 Infinity, NaN 표현 방식111895정성태5/12/201921080.NET Framework: 832. ML.NET Model Builder - 회귀(Regression), 다중 분류(Multi-class classification) 예제111894정성태5/10/201922829VS.NET IDE: 135. Visual Studio - ML.NET Model Builder 소개 [5]11893정성태5/10/201919707오류 유형: 535. C# 6.0 이상의 문법을 컴파일 시 오류가 발생한다면?11892정성태5/10/201919563웹: 38. HTTP Cookie의 expires 시간 형식(RFC7231)11891정성태5/9/201922645.NET Framework: 831.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12 - Memory structure, attributes, handles11890정성태5/8/201917787개발 환경 구성: 439.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메시지와 관련된 코드 기록11889정성태5/8/201918397개발 환경 구성: 438. mstest, QTAgent의 로그 파일 설정 방법11888정성태5/8/201935764.NET Framework: 830. C# - 비동기 호출을 취소하는 CancellationToken의 간단한 예제 코드 [1]111887정성태5/8/201921436.NET Framework: 829. C# - yield 문을 사용할 수 있는 메서드의 조건11886정성태5/7/201919226오류 유형: 534.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2]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