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10. error MSB6006: "aspnet_merge.exe" exited with code 1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426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Web Deployment Project"가 "Web Application Project" 와 함께 배포가 되었지요.

너무 혼동스럽군요. 용어를 한번 정리해 볼까요? ^^

VS.NET 2005 / .NET 2.0이 공개되면서, 기존 VS.NET 2003에서 있었던 Web Application 운영 방법이 바뀌었지요. VS.NET 2005에서 새로 나온 방식을 "Web Site Project"라고 부르는데요. 이는 "폴더"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제작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문제는, "Web Site Project"가 한편으로는 유용하면서도, 기존의 VS.NET 2003에서 제공되었던 "Web Application Project" 유형까지 모두 수용하지 못했다는 데에 있습니다.

그래서, 부랴부랴 (사실, 좀 느긋하게) 기존 VS.NET 2003의 "Web Application Project" 방식을 수용하는 프로젝트 유형을 내놓았는데, 이름하여 "Visual Studio 2005 Web Application Projects"가 바로 그것입니다. 다음 사이트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Visual Studio 2005 Web Application Projects
; https://docs.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aspnet/bb907624(v=vs.100)

자, 그럼 이젠 "Web Application Project"가 무엇인지, 왜 나왔는지는 개념을 잡으셨겠지요.

그렇다면, 도대체 "Web Deployment Project"는 또 무엇일까요?
역시 사연이 있겠지요. ^^ 문제는, Microsoft가 너무 늦게 "Web Application Project"를 내놓았다는 것입니다. VS.NET 2005를 도입한 일부 업체는 이미 "Web Site Project"로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한창 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들을 배제할 수는 없었을 것입니다. 물론, "Web Deployment Project"는 "Web Site Project"를 위한 훌륭한 보조 빌드 유형으로써 그 역할을 담당하고도 있습니다.

아무튼, 기존 "Web Site Project" 기반으로 이미 개발되던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젝트를, "Web Application Project" 기반으로 마이그레이션 하라고 시키는 것도 참 문제가 아닐 수 없었을 텐데요.

바로 그런 경우에, "Web Site Project" 유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새로 나온 "Web Application Project"와 비슷한 방식의 빌드를 제공해 주는 것이 바로 "Web Deployment Project"가 하는 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Web Deployment Project"를 생성할 수 있는 메뉴는 "Web Site Project"에서만 제공될 뿐, 그 외의 (Web Application Project조차도) 프로젝트에서는 그러한 유형의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가 없습니다.



휴... 배경 상황을 설명하는 것도 꽤 오래걸리는군요. ^^;

이미 아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Web Application Project"는 실제로 또 다른 "Project Template"인데 반해, "Web Deployment Project"는 단순히 MSBuild의 확장 Task일 뿐입니다. (MSBuild의 확장성에 새삼 감탄하게 됩니다.)

저 같은 경우, 개인 웹 사이트가 "Web Site Project" 유형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Web Deployment Project"를 생성해서 실제로 Build를 해보았는데요.

불행하게도, ^^;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error MSB6006: "aspnet_merge.exe" exited with code 1

실제로 이를 만들었던 "Scott Guthrie"의 블로그에 가봐도 자세한 오류 명세를 보내달라는 답변밖에는 없었는데요.
; http://weblogs.asp.net/scottgu/archive/2005/11/06/429723.aspx
막막하더군요. ^^

하지만, 답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그럼, 답과 함께 간단한 Tip을 하나 익혀볼까요!^^

위의 오류 메시지에 대해서 좀 더 Google에서 검색을 해보면. 다음과 같은 토픽을 볼 수 있습니다.

Problems Using Web Deployment Projects with Visual Studio 2005
; http://alpascual.com/blog/al/archive/2006/05/23/177.aspx

내용인 즉, 빌드 시에 자세한 로그를 보면 답이 나온다는 것인데요. 그렇다면, 어떻게 빌드에 대한 "자세한 로그"를 확인해 볼 수 있을까요?

VS.NET 2005의 "Tools" / "Options" 메뉴를 선택하면, "Project and Solutions" 항목을 트리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 하위의 "Build and Run" 노드를 선택하면 오른쪽 패널에 선택할 수 있는 항목들이 나오는데요. 아래 화면과 같이, 맨 마지막의 "MSBuild project build output verbosity:" 값을 "Diagnostic"으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Verbosity 설정

자, 이제 문제의 대부분은 해결이 되었습니다.
위와 같이 설정하고 컴파일을 하면 실제로 어디에서 오류가 발생하는지를 알게 됩니다.

문제 유형은 상황마다 다르지만, 그 오류 메시지만 보고도 충분히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30정성태2/5/201422814개발 환경 구성: 216. Hyper-V에 올려진 윈도우 XP VM에서 24bit 컬러 및 ClearType 활성화하는 방법
1629정성태2/5/201432630개발 환경 구성: 215. DOS batch - 하나의 .bat 파일에서 다중 .bat 파일을 (비동기로) 실행하는 방법 [1]
1628정성태2/4/201433954Windows: 87. 윈도우 8.1에서 .NET 3.5 설치가 안된다면? [2]
1627정성태2/4/201429014개발 환경 구성: 214. SQL Server Reporting Services를 이용해 간단한 리포트 제작하는 방법
1626정성태2/4/201421030Windows: 86. 윈도우 8.1의 Skydrive 내용이 동기화가 안된다면?
1625정성태2/2/201428194.NET Framework: 422. C++과 C#의 Event 공유파일 다운로드1
1624정성태2/2/201423807.NET Framework: 421. ASP.NET에서 Server.CreateObject와 COM Interop 클래스 생성의 차이점
1623정성태2/1/201428552개발 환경 구성: 213. x86/x64별로 나뉘어진 어셈블리를 한 프로젝트에서 참조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622정성태1/31/201429028VC++: 74. 어떤 것을 쓰면 좋을까요? wvnsprintf, _vsnwprintf_s, StringCbVPrintfW [4]
1621정성태1/31/201420852.NET Framework: 420. 베트남의 11학년(한국의 고2)이 45분만에 푼다는 알고리즘 문제파일 다운로드1
1620정성태1/30/201430667.NET Framework: 419. C# - BigDecimal파일 다운로드1
1619정성태1/30/201427405VS.NET IDE: 85. T4를 이용한 INotifyPropertyChanged 코드 자동 생성파일 다운로드1
1618정성태1/29/201443106Linux: 2. 우분투에서 Active Directory 계정을 이용한 파일 공유
1617정성태1/29/201424231.NET Framework: 418. Thread.Abort 호출의 hang 현상 [1]
1616정성태1/29/201424909디버깅 기술: 63. windbg 디버깅 사례: AppDomain 간의 static 변수 사용으로 인한 crash
1615정성태1/29/201426856.NET Framework: 417. WPF WebBrowser 컨트롤에서 SHDocVw.IWebBrowser2 인터페이스를 구하는 방법 및 순수 WPF 웹 브라우저 컨트롤 소개
1614정성태1/29/201423803.NET Framework: 416. System.Net.Sockets.NetworkStream이 Thread-safe할까?파일 다운로드1
1613정성태1/29/201425813.NET Framework: 415. IIS 작업자 프로세스 재생(recycle)하는 방법 [1]
1612정성태1/29/201422580오류 유형: 219.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Skydrive에 공유된 경우
1611정성태1/27/201453989.NET Framework: 414. C# - 컴퓨터에서 알아낼 수 있는 고윳값 정리 [3]파일 다운로드1
1610정성태1/26/201437921.NET Framework: 413. C# - chromiumembedded 사용 [11]파일 다운로드1
1609정성태1/26/201420960오류 유형: 218. wsDualHttpBinding + Windows Server 2003인 경우 발생하는 오류
1608정성태1/26/201426258.NET Framework: 412. HttpContext.Current를 통해 이해하는 CallContext와 ExecutionContext [4]
1607정성태1/26/201426182.NET Framework: 411. 유니코드의 "compatibility character"가 뭘까요? [4]파일 다운로드1
1606정성태1/25/201424279오류 유형: 217. 델 베뉴 스타일러스 관련 업데이트 오류 - 5830_Firmware_X267N_WN_1.0.4.1_A01.EXE
1605정성태1/23/201421132개발 환경 구성: 212. Visual Studio Online과 "Monaco" 서비스 연동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