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264. Visual Studio 2013 솔루션을 2015로 마이그레이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038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2013 솔루션을 2015로 마이그레이션

우선 Visual Studio 2015로 솔루션을 생성한 경우와,

Microsoft Visual Studio Solution File, Format Version 12.00
# Visual Studio 14
VisualStudioVersion = 14.0.22609.0
MinimumVisualStudioVersion = 10.0.40219.1
...[생략]...
EndProject
Global
    ...[생략]...
EndGlobal

Visual Studio 2013으로 솔루션을 생성한 경우를 비교해 보면,

Microsoft Visual Studio Solution File, Format Version 12.00
# Visual Studio 2013
VisualStudioVersion = 12.0.31101.0
MinimumVisualStudioVersion = 10.0.40219.1
...[생략]...
EndProject
Global
    ...[생략]...
EndGlobal

VisualStudioVersion 값만 바뀌었을 뿐 "Format Version"은 그대로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때문인지, 기존 Visual Studio 2013의 솔루션을 2015로 마이그레이션하면 솔루션 파일(.sln)은 아무것도 바뀌지 않은 체 Visual Studio 2015에서 그대로 사용됩니다.

또한, 기존 솔루션에 포함된 C# 프로젝트들도 전혀 바뀌지 않습니다. 솔루션 파일과 마찬가지로 프로젝트 파일 역시 2015의 경우 ToolsVersion 값이 14인데,

<?xml version="1.0" encoding="utf-8"?>
<Project ToolsVersion="14.0" DefaultTargets="Build" xmlns="http://schemas.microsoft.com/developer/msbuild/2003">
...[생략]...
</Project>

새로 생성한 경우에만 그렇고, 기존 2013의 C# 프로젝트 파일은 ToolsVersion 값을 그대로 "12.0"으로 유지합니다.

간단하게 말해서, 닷넷 프로젝트를 포함한 솔루션만 있는 경우 기존 2013에서 개발한 것을 그대로 2015에서 로드해서 사용해도 솔루션/프로젝트 파일은 변경없이 그대로 유지되므로 2013을 사용하는 개발자와 아무런 충돌없이 소스 컨트롤을 공유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 그런데... 문제는 Visual C++ 프로젝트입니다. C++의 경우, "Platform Toolset" 설정 때문인지 솔루션에 C++ 프로젝트가 포함되어 있으면 마이그레이션 여부를 묻게 되고, "Yes"를 하게 되면 .vcxproj 파일에서 C# 프로젝트에서는 바뀌지 않던 "ToolsVersion" 값이 14.0으로 바뀌고 "PlatformToolset" 속성이 v140으로 바뀝니다.

당연히 이렇게 되면 기존 Visual Studio 2013 사용자와 충돌이 발생하게 됩니다. 2013의 경우 PlatformToolset이 v120까지만 있기 때문인데, 따라서 2015로 마이그레이션 한 후에는 그냥 기존의 v120으로 바꿔주기만 하면 됩니다. 사실, .vcxproj에 대한 마이그레이션이라는 것이 지금 설명한 2가지 속성만 바뀌는 것일 뿐 다른 변경 사항은 전혀 없습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Project DefaultTargets="Build" ToolsVersion="14.0" xmlns="http://schemas.microsoft.com/developer/msbuild/2003">
...[생략]...
  <Import Project="$(VCTargetsPath)\Microsoft.Cpp.Default.props" />
  <PropertyGroup Condition="'$(Configuration)|$(Platform)'=='Debug|Win32'" Label="Configuration">
    ...[생략]...
    <PlatformToolset>v140</PlatformToolset>
  </PropertyGroup>
    ...[생략]...
    <PlatformToolset>v140</PlatformToolset>
  </PropertyGroup>
  <PropertyGroup Condition="'$(Configuration)|$(Platform)'=='Release|Win32'" Label="Configuration">
    ...[생략]...
    <PlatformToolset>v140</PlatformToolset>
  </PropertyGroup>
    ...[생략]...
    <PlatformToolset>v140</PlatformToolset>
  </PropertyGroup>
...[생략]...
</Project>

정리해 보면, 2013 사용자와 2015 사용자는 Visual C++ 프로젝트를 제외하고는 소스 컨트롤에서 아무런 충돌없이 협업이 가능합니다. Visual C++의 경우에도 PlatformToolset 값만 기존 값으로 바꿔주면 역시 협업이 가능합니다.




ToolsVersion이 12.0에서 14.0으로 바뀌는 것이 Visual Studio 2013/2015 개발자 사이에 아무런 문제가 안되지만, 명령행에서 컴파일할 때는 그렇지 않습니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비주얼 스튜디오와 함께 설치되는 "Visual Studio 2013용 개발자 명령 프롬프트"에서 C#등의 닷넷 프로젝트는 잘 빌드가 되지만, ToolsVersion이 14.0으로 바뀐 Visual C++ 프로젝트를 빌드할 때는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D:\temp>msbuild "Test.vcxproj" /p:Platform=Win32;Configuration=Release /t:Rebuild
Microsoft (R) Build Engine version 4.0.30319.33440
[Microsoft .NET Framework, version 4.0.30319.34014]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Build started 2015-03-24 오후 1:16:14.
Project "D:\temp\Test.vcxproj" on node 1 (Rebuild target(s)).
Project file contains ToolsVersion="14.0". This toolset may be unknown or missing, in which case you may be able to resolve this by installing the appropriate
 version of MSBuild, or the build may have been forced to a particular ToolsVersion for policy reasons. Treating the project as if it had ToolsVersion="4.0".
For more information, please see http://go.microsoft.com/fwlink/?LinkId=291333.
C:\Program Files (x86)\MSBuild\Microsoft.Cpp\v4.0\Platforms\Win32\Microsoft.Cpp.Win32.Targets(518,5): error MSB8008: Specified platform toolset (v120) is not installed or invalid. Please make sure that a supported PlatformToolset value is selected. [D:\temp\Test.vcxproj]
Done Building Project "D:\temp\Test.vcxproj" (Rebuild target(s)) -- FAILED.

Build FAILED.

"D:\temp\Test.vcxproj"
 (Rebuild target) (1) ->
(PlatformPrepareForBuild target) ->
  C:\Program Files (x86)\MSBuild\Microsoft.Cpp\v4.0\Platforms\Win32\Microsoft.Cpp.Win32.Targets(518,5): error MSB8008: Specified platform toolset (v120) is not installed or invalid. Please make sure that a supported PlatformToolset value is selected. [D:\temp\Test.vcxproj]

    0 Warning(s)
    1 Error(s)

Time Elapsed 00:00:00.25

다행히 ToolsVersion값을 재정의할 수 있는 옵션이 있으므로,

Overriding ToolsVersion Settings
; https://docs.microsoft.com/en-us/visualstudio/msbuild/overriding-toolsversion-settings

이렇게 /tv 옵션으로 지정해서 컴파일해주면 됩니다.

D:\temp>msbuild "Test.vcxproj" /tv:12.0 /p:Platform=Win32;Configuration=Release /t:Rebuild
Microsoft (R) Build Engine version 4.0.30319.33440
[Microsoft .NET Framework, version 4.0.30319.34014]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생략]...

그 외에는 딱히 특이 사항이 없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61정성태4/6/201919594디버깅 기술: 126. windbg - .NET x86 CLR2/CLR4 EXE의 EntryPoint
11860정성태4/5/201923438오류 유형: 527. Visual C++ 컴파일 오류 - error C2220: warning treated as error - no 'object' file generated
11859정성태4/4/201920668디버깅 기술: 125. WinDbg로 EXE의 EntryPoint에서 BP 거는 방법
11858정성태3/27/201921574VC++: 129. EXE를 LoadLibrary로 로딩해 PE 헤더에 있는 EntryPoint를 직접 호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57정성태3/26/201919476VC++: 128. strncpy 사용 시 주의 사항(Linux / Windows)
11856정성태3/25/201919753VS.NET IDE: 134.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리눅스 예제를 Visual Studio F5 원격 디버깅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855정성태3/25/201921893개발 환경 구성: 436. 페이스북 HTTPS 인증을 localhost에서 테스트하는 방법
11854정성태3/25/201917550VS.NET IDE: 133. IIS Express로 호스팅하는 사이트를 https로 접근하는 방법
11853정성태3/24/201920351개발 환경 구성: 435. 존재하지 않는 IP 주소에 대한 Dns.GetHostByAddress/gethostbyaddr/GetNameInfoW 실행이 느리다면? - 두 번째 이야기 [1]
11852정성태3/20/201919577개발 환경 구성: 434. 존재하지 않는 IP 주소에 대한 Dns.GetHostByAddress/gethostbyaddr/GetNameInfoW 실행이 느리다면?파일 다운로드1
11851정성태3/19/201923335Linux: 8. C# - 리눅스 환경에서 DllImport 대신 라이브러리 동적 로드 처리 [2]
11850정성태3/18/201922320.NET Framework: 813. C# async 메서드에서 out/ref/in 유형의 인자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
11849정성태3/18/201921748.NET Framework: 812. pscp.exe 기능을 C#으로 제어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8정성태3/17/201918464스크립트: 14. 윈도우 CMD - 파일이 변경된 경우 파일명을 변경해 복사하고 싶다면?
11847정성태3/17/201922929Linux: 7. 리눅스 C/C++ - 공유 라이브러리 동적 로딩 후 export 함수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6정성태3/15/201921553Linux: 6. getenv, setenv가 언어/운영체제마다 호환이 안 되는 문제
11845정성태3/15/201921743Linux: 5.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3]
11844정성태3/14/201923053개발 환경 구성: 434.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1]파일 다운로드1
11843정성태3/14/201918022기타: 75. MSDN 웹 사이트를 기본으로 영문 페이지로 열고 싶다면?
11842정성태3/13/201916361개발 환경 구성: 433.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를 Visual Studio CMake로 빌드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841정성태3/13/201916668VS.NET IDE: 132. Visual Studio 2019 - CMake의 컴파일러를 기본 g++에서 clang++로 변경
11840정성태3/13/201918285오류 유형: 526. 윈도우 10 Ubuntu App 환경에서는 USB 외장 하드 접근 불가
11839정성태3/12/201922192디버깅 기술: 124. .NET Core 웹 앱을 호스팅하는 Azure App Services의 프로세스 메모리 덤프 및 windbg 분석 개요 [3]
11838정성태3/7/201925806.NET Framework: 811.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1 - Exceptions, filters and corrupted processes [1]파일 다운로드1
11837정성태3/6/201939769기타: 74. 도서: 시작하세요! C# 7.3 프로그래밍 [10]
11836정성태3/5/201923337오류 유형: 525. Visual Studio 2019 Preview 4/RC - C# 8.0 Missing compiler required member 'System.Range..ctor'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