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HttpResponse.Headers.Add에서 "System.PlatformNotSupportedException: This operation requires IIS integrated pipeline mode." 예외 발생 재미있는, 하지만 황당한 현상이 나왔군요. ^^; 유독 윈도우 서버 2003에서만 아래의 코드를 실행하는 경우, // HttpResponse resp = ...; resp.Headers.Add("TEST", "test_value"); "System.PlatformNotSupportedException: This operation requires IIS integrated pipeline mode."라는 예외가 발생합니다. 검색해 보면, 이런 현상에 대해 좀 나오는데요. Is there any way to run Umbraco 6.* on windows 2003?? ; https://our.umbraco.org/forum/getting-started/installing-umbraco/41456-Is-there-any-way-to-run-Umbraco-6star-on-windows-2003 IIS6 + HttpModule: This operation requires IIS integrated pipeline mode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86548/iis6-httpmodule-this-operation-requires-iis-integrated-pipeline-mode 결론만 보면, 해결 방법은 HttpResponse.AddHeader로 호출하면 된다는 것입니다. // HttpResponse resp = ...; resp.AddHeader("TEST", "test_value"); 깊게 살펴보지는 않았지만, 이 부분은 마이크로소프트 측에서 실수한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다들 아시는 것처럼, "integrated pipeline mode"라는 것은 IIS 7부터 존재하는 것이라서 윈도우 서버 2003에는 적용할 수 없으므로 오류 자체가 말이 안되는 경우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오류 유형: 281. DebugView로 인한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 멈춤(Hang) 현상[이전 글] DDK: 6. ZwTerminateProcess로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Device Driver 프로그램 [최초 등록일: 4/27/2015] [최종 수정일: 4/27/2015]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079정성태6/17/202214257오류 유형: 814. 파이썬 - Error: The file/path provided (...) does not appear to exist13078정성태6/16/202218036.NET Framework: 2021. WPF - UI Thread와 Render Thread113077정성태6/15/202218992스크립트: 40. 파이썬 - PostgreSQL 환경 구성13075정성태6/15/202215616Linux: 50. Linux - apt와 apt-get의 차이 [2]13074정성태6/13/202216448.NET Framework: 2020. C# - NTFS 파일에 사용자 정의 속성값 추가하는 방법113073정성태6/12/202217041Windows: 207. Windows Server 2022에 도입된 WSL 213072정성태6/10/202217018Linux: 49. Linux - ls 명령어로 출력되는 디렉터리 색상 변경 방법13071정성태6/9/202217775스크립트: 39. Python에서 cx_Oracle 환경 구성13070정성태6/8/202218497오류 유형: 813. Windows 11에서 입력 포커스가 바뀌는 문제 [1]13069정성태5/26/202220309.NET Framework: 2019. C# - .NET에서 제공하는 3가지 Timer 비교 [2]13068정성태5/24/202219152.NET Framework: 2018. C# - 일정 크기를 할당하는 동안 GC를 (가능한) 멈추는 방법 [1]113067정성태5/23/202216427Windows: 206. Outlook - 1년 이상 지난 메일이 기본적으로 안 보이는 문제13066정성태5/23/202216584Windows: 205. Windows 11 - Windows + S(또는 Q)로 뜨는 작업 표시줄의 검색 바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13065정성태5/20/202217923.NET Framework: 2017. C# - Windows I/O Ring 소개 [2]113064정성태5/18/202217329.NET Framework: 2016. C# - JIT 컴파일러의 인라인 메서드 처리 유무13063정성태5/18/202217750.NET Framework: 2015. C# - 인라인 메서드(inline methods)13062정성태5/17/202218214.NET Framework: 2014. C# - async/await 그리고 스레드 (4) 비동기 I/O 재현 [1]113061정성태5/16/202217512.NET Framework: 2013. C# - FILE_FLAG_OVERLAPPED가 적용된 파일의 읽기/쓰기 시 Position 관리113060정성태5/15/202221049.NET Framework: 2012. C# - async/await 그리고 스레드 (3) Task.Delay 재현113059정성태5/14/202218887.NET Framework: 2011. C# - CLR ThreadPool의 I/O 스레드에 작업을 맡기는 방법 [1]113058정성태5/13/202218909.NET Framework: 2010. C# - ThreadPool.SetMaxThreads 사용법 [1]13057정성태5/12/202220414오류 유형: 812. 파이썬 - ImportError: cannot import name ...13056정성태5/12/202216127.NET Framework: 2009. C# - async/await 그리고 스레드 (2) MyTask의 호출 흐름 [2]113055정성태5/11/202220992.NET Framework: 2008. C# - async/await 그리고 스레드 (1) MyTask로 재현 [11]113054정성태5/11/202217652.NET Framework: 2007. C# - 10진수 숫자를 담은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하는 방법 [11]113053정성태5/10/202216873.NET Framework: 2006. C# - GC.KeepAlive 메서드의 역할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