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HttpResponse.Headers.Add에서 "System.PlatformNotSupportedException: This operation requires IIS integrated pipeline mode." 예외 발생 재미있는, 하지만 황당한 현상이 나왔군요. ^^; 유독 윈도우 서버 2003에서만 아래의 코드를 실행하는 경우, // HttpResponse resp = ...; resp.Headers.Add("TEST", "test_value"); "System.PlatformNotSupportedException: This operation requires IIS integrated pipeline mode."라는 예외가 발생합니다. 검색해 보면, 이런 현상에 대해 좀 나오는데요. Is there any way to run Umbraco 6.* on windows 2003?? ; https://our.umbraco.org/forum/getting-started/installing-umbraco/41456-Is-there-any-way-to-run-Umbraco-6star-on-windows-2003 IIS6 + HttpModule: This operation requires IIS integrated pipeline mode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86548/iis6-httpmodule-this-operation-requires-iis-integrated-pipeline-mode 결론만 보면, 해결 방법은 HttpResponse.AddHeader로 호출하면 된다는 것입니다. // HttpResponse resp = ...; resp.AddHeader("TEST", "test_value"); 깊게 살펴보지는 않았지만, 이 부분은 마이크로소프트 측에서 실수한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다들 아시는 것처럼, "integrated pipeline mode"라는 것은 IIS 7부터 존재하는 것이라서 윈도우 서버 2003에는 적용할 수 없으므로 오류 자체가 말이 안되는 경우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오류 유형: 281. DebugView로 인한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 멈춤(Hang) 현상[이전 글] DDK: 6. ZwTerminateProcess로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Device Driver 프로그램 [최초 등록일: 4/27/2015] [최종 수정일: 4/27/2015]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878정성태12/15/202117141개발 환경 구성: 617. 윈도우 WSL 환경에서 같은 종류의 리눅스를 다중으로 설치하는 방법12877정성태12/15/202117374스크립트: 36. 파이썬 - pymysql 기본 예제 코드12876정성태12/14/202117255개발 환경 구성: 616. Custom Sources를 이용한 Azure Monitor Metric 만들기12875정성태12/13/202115550스크립트: 35. python - time.sleep(...) 호출 시 hang이 걸리는 듯한 문제12874정성태12/13/202114978오류 유형: 773. shell script 실행 시 "$'\r': command not found" 오류12873정성태12/12/202117095오류 유형: 772. 리눅스 - PATH에 등록했는데도 "command not found"가 나온다면?12872정성태12/12/202117105개발 환경 구성: 615. GoLang과 Python 빌드가 모두 가능한 docker 이미지 만들기12871정성태12/12/202115967오류 유형: 771. 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OCI runtime create failed12870정성태12/9/202115728개발 환경 구성: 614.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4) package_data 옵션12869정성태12/8/202118177개발 환경 구성: 613. git clone 실행 시 fingerprint 묻는 단계를 생략하는 방법12868정성태12/7/202116972오류 유형: 770. twine 업로드 시 "HTTPError: 400 Bad Request ..." 오류 [1]12867정성태12/7/202116648개발 환경 구성: 612.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3) entry_points 옵션12866정성태12/7/202123611오류 유형: 769. "docker build ..." 시 "failed to solve with frontend dockerfile.v0: failed to read dockerfile ..." 오류12865정성태12/6/202116956개발 환경 구성: 611.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2) long_description, cmdclass 옵션12864정성태12/6/202114614Linux: 46. WSL 환경에서 find 명령을 사용해 파일을 찾는 방법12863정성태12/4/202116492개발 환경 구성: 610.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12862정성태12/3/202114228오류 유형: 768. Golang - 빌드 시 "cmd/go: unsupported GOOS/GOARCH pair linux /amd64" 오류12861정성태12/3/202118285개발 환경 구성: 609.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로 개발 환경 구성하는 방법 [1]12860정성태12/1/202114182오류 유형: 767. SQL Server - 127.0.0.1로 접속하는 경우 "Access is denied"가 발생한다면?12859정성태12/1/202122824개발 환경 구성: 608. Hyper-V 가상 머신에 Console 모드로 로그인하는 방법12858정성태11/30/202120183개발 환경 구성: 607. 로컬의 USB 장치를 원격 머신에 제공하는 방법 - usbip-win12857정성태11/24/202116820개발 환경 구성: 606. WSL Ubuntu 20.04에서 파이썬을 위한 uwsgi 설치 방법12856정성태11/23/202119439.NET Framework: 1121. C# - 동일한 IP:Port로 바인딩 가능한 서버 소켓 [2]12855정성태11/13/202114515개발 환경 구성: 605. Azure App Service - Kudu SSH 환경에서 FTP를 이용한 파일 전송12854정성태11/13/202116637개발 환경 구성: 604. Azure - 윈도우 VM에서 FTP 여는 방법12853정성태11/10/202115067오류 유형: 766. Azure App Service - JBoss 호스팅 생성 시 "This region has quota of 0 PremiumV3 instances for your subscription. Try selecting different region or SKU."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