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111. 복구(Recovery) 파티션 삭제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341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Windows: 111. 복구(Recovery) 파티션 삭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2918

Windows: 142. Windows 10의 복구 콘솔로 부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07

Windows: 143. Windows 10의 Recovery 파티션을 삭제 및 새로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09

Windows: 147. 시스템 복구 디스크를 USB 디스크에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598

Windows: 156. 가상 디스크의 용량을 복구 파티션으로 인해 늘리지 못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1807

Windows: 263. Windows - 복구 파티션(Recovery Partition) 용량을 늘리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586




복구(Recovery) 파티션 삭제하는 방법

예를 들어, 삼성 노트북(새로운 노트북 - 삼성 센스 NT700Z5C-S88 크로노스)에 들어간 디스크를 보면 다음과 같이 복구 파티션이 설정된 것을 볼 수 있는데요.

how_to_delete_recovery_partition_1.png

노트북에 있었을 때는 안전한 복구 용도로 그런대로 쓸 수 있겠지만, 이를 빼서 별도의 외장 하드로 쓰는 경우에는 복구 용도와는 무관하기 때문에 지우고 싶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를 삭제하려고 마우스 우측 버튼을 눌러 보면 "Help" 메뉴만 보여줄 뿐, 우리가 기대한 "Delete Volume" 메뉴가 나타나질 않습니다.

어쩔 수 없습니다. 디스크 관리 콘솔에서는 지울 수 없고 별도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diskpart.exe를 이용해 수작업으로 지워야만 합니다. 위의 경우에는 "Disk 1"번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해당 디스크를 선택하고 파티션을 나열할 수 있습니다.

C:\Windows\system32>diskpart

Microsoft DiskPart version 6.3.9600

Copyright (C) 1999-2013 Microsoft Corporation.
On computer: TESTPC

DISKPART> select disk 1

Disk 1 is now the selected disk.

DISKPART> list partition

  Partition ###  Type              Size     Offset
  -------------  ----------------  -------  -------
  Partition 1    Recovery           500 MB  1024 KB
  Partition 2    System             300 MB   501 MB
  Partition 3    Reserved           128 MB   801 MB
  Partition 4    Primary            102 GB   929 MB
  Partition 5    Primary            803 GB   102 GB
  Partition 6    Recovery            24 GB   906 GB
  Partition 7    Recovery          1024 MB   930 GB

여기서 제가 지우고 싶은 파티션은 Partition 6과 Partition 7입니다. 따라서, 각각을 개별적으로 선택한 다음 파티션 삭제 명령을 내리면 됩니다.

DISKPART> select partition 6

Partition 6 is now the selected partition.

DISKPART> delete partition

Virtual Disk Service error:
Cannot delete a protected partition without the force protected parameter set.


DISKPART> delete partition override

DiskPart successfully deleted the selected partition.

DISKPART> select partition 7

Partition 7 is now the selected partition.

DISKPART> delete partition override

DiskPart successfully deleted the selected partition.

DISKPART>

위의 결과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복구 파티션은 단순히 "delete partition" 명령어로는 삭제가 안되고 반드시 "delete partition override" 명령어를 실행해야 합니다.

암튼, 이렇게 해서 2개의 파티션을 지웠는데요. 이제는 디스크 관리 콘솔에서 다음과 같이 삭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how_to_delete_recovery_partition_2.png

보는 바와 같이 "G:" 드라이브의 파티션에서 "Unallocated" 파티션으로 확장할 수 있는 "Extend Volume..." 명령어를 통해 용량을 늘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가장 주의해야 할 사항 하나!

diskpart.exe를 이용해 파티션 삭제 등의 작업을 할 때는 정말, 정말, 정말 주의를 해야 합니다. 자칫 실수로 작업 파티션을 날리면 하드 디스크 복구 업체를 통하지 않고는 데이터 복원이 안되는 사태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를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제 개인적인 습관 하나는, 지우기 전 원하는 파티션이 선택되어 있는지 "list partition" 명령어로 다시 한번 확인한다는 것입니다.

C:\Windows\system32>diskpart

Microsoft DiskPart version 6.3.9600

Copyright (C) 1999-2013 Microsoft Corporation.
On computer: TESTPC

DISKPART> list disk

  Disk ###  Status         Size     Free     Dyn  Gpt
  --------  -------------  -------  -------  ---  ---
  Disk 0    Online          238 GB  2048 KB
  Disk 1    Online          931 GB   801 MB        *

DISKPART> select disk 1

Disk 1 is now the selected disk.

DISKPART> list partition

  Partition ###  Type              Size     Offset
  -------------  ----------------  -------  -------
  Partition 1    Reserved           128 MB   801 MB
  Partition 2    Primary            102 GB   929 MB
  Partition 3    Primary            828 GB   102 GB

DISKPART> select partition 2

Partition 2 is now the selected partition.

DISKPART> list partition

  Partition ###  Type              Size     Offset
  -------------  ----------------  -------  -------
  Partition 1    Reserved           128 MB   801 MB
* Partition 2    Primary            102 GB   929 MB
  Partition 3    Primary            828 GB   102 GB

DISKPART>

위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첫 번째 "list parition" 했을 때는 선택 표시(*)가 없지만, "select partition 2"를 한 후 두 번째 "list partition"을 했을 때는 "Partition 2"에 선택 마크(*)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diskpart.exe를 사용할 때는 주의에 주의를 해야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11/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06-19 08시32분
[송승재] 안녕하세요?!
공유해주신 내용을 참조해서 recovery partition 삭제를 시도해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해당 recovery partition을 선택해서 override까지 실행해보면
"가상 디스크 서비스 오류;
현재 부팅, 시스템, 페이지 파일, 크래시 덤프 또는 최대 절전 모드 볼륨이 들어 있는 디스크는 정리할 수 없습니다."
라는오류가 표시됩니다.
그래서 네이버에 검색해서 clean all까지 확인해서 삭제를 시도했지만
위와 동일한 메시지만 내놓고 있습니다.

Dell Optiplex 7040 Desktop에 하드디스크가 2개 부착되어 있습니다.
기존 윈7설치한 디스크 대신 비어있던 다른 HDD에 윈 10설치후
원래 윈7설치된 HDD를 파티션 삭제하고 있던 중이었습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guest]
2017-06-19 12시48분
글쎄요. 오류 메시지가 "delete partition override" 실행 후 발생한 건가요? 내용으로 봐서는 "clean" 명령어를 내린 것에 대한 오류인 듯 한데요. diskpart 실행 후 "delete partition override" 명령어까지 실행하는 동안의 모든 내용을 제 글에서 보여준 것처럼 그대로 올려주실 수 있을까요?
정성태
2017-06-29 03시01분
[송승재] 안녕하세요?!
일전에 질문드린 건은 다른 검색을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글에 써주신 것처럼 따라했을 때 반복적으로 동일한 오류가 나왔던 것은 맞습니다. 답답해서 저도 글을 올렸던 것이고요..

그러던 차에 삽질을 하나 했었는데 동적디스크 변환..
동적디스크를 다시 정상적으로 돌리는 과정을 검색하던중에 '테스트디스크' 이런 프로그램 관련 검색중에 아래 지식인 검색을 했었는데...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10405&docId=260543320&qb=64+Z7KCB65SU7Iqk7YGs&enc=utf8&section=kin&rank=4&search_sort=0&spq=0
"clean"을 all 없이 하라는 내용이 있어서 따라했더니 잘 해소되었습니다.

암튼 도움을 잘 받았고 조금이나마 알고 갑니다.

감사했습니다.
수고하세요~
[guest]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09정성태4/28/201813081.NET Framework: 741. windbg로 확인하는 객체의 GC 여부
11508정성태4/23/201814701개발 환경 구성: 373. MSBuild를 이용해 프로젝트 배포 후 결과물을 zip 파일로 압축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07정성태4/20/201814637개발 환경 구성: 372. MSBuild - 빌드 전/후, 배포 전/후 실행하고 싶은 Task 정의
11506정성태4/20/201818566.NET Framework: 740. C#에서 enum을 boxing 없이 int로 변환하기 - 두 번째 이야기 [7]파일 다운로드1
11505정성태4/19/201812015개발 환경 구성: 371. Azure Web App 확장 예제 - Simple WebSite Extension
11504정성태4/19/201813313오류 유형: 465. Azure Web App 확장 - Extplorer File manager 적용 시 오류
11503정성태4/19/201814141오류 유형: 464. PowerShell - Start-Service 명령 오류 (Service 'xxx' cannot be started)
11502정성태4/17/201815115개발 환경 구성: 370. Azure VM/App Services(Web Apps)에 Let's Encrypt 무료 인증서 적용 방법 [3]
11501정성태4/17/201812134개발 환경 구성: 369. New-AzureRmADServicePrincipal로 생성한 계정의 clientSecret, key 값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00정성태4/17/201812985개발 환경 구성: 368. PowerShell로 접근하는 Azure의 Access control 보안과 Azure Active Directory의 계정 관리 서비스
11499정성태4/17/201811904개발 환경 구성: 367. Azure - New-AzureRmADServicePrincipal / New-AzureRmRoleAssignment 명령어
11498정성태4/17/201811667개발 환경 구성: 366. Azure Active Directory의 사용자 유형 구분 - Guest/Member
11497정성태4/17/201810066개발 환경 구성: 365. Azure 리소스의 액세스 제어(Access control) 별로 사용자에게 권한을 할당하는 방법 [2]
11496정성태4/17/201810473개발 환경 구성: 364. Azure Portal에서 구독(Subscriptions) 메뉴가 보이지 않는 경우
11495정성태4/16/201812925개발 환경 구성: 363. Azure의 Access control 보안과 Azure Active Directory의 계정 관리 서비스
11494정성태4/16/201810205개발 환경 구성: 362. Azure Web Apps(App Services)에 사용자 DNS를 지정하는 방법
11493정성태4/16/201811799개발 환경 구성: 361. Azure Web App(App Service)의 HTTP/2 프로토콜 지원
11492정성태4/13/201810179개발 환경 구성: 360. Azure Active Directory의 사용자 도메인 지정 방법
11491정성태4/13/201812586개발 환경 구성: 359. Azure 가상 머신에 Web Application을 배포하는 방법
11490정성태4/12/201812157.NET Framework: 739. .NET Framework 4.7.1의 새 기능 - Configuration builders [1]파일 다운로드1
11489정성태4/12/20189558오류 유형: 463. 윈도우 백업 오류 - a Volume Shadow Copy Service operation failed.
11488정성태4/12/201811892오류 유형: 462. Unhandled Exception in Managed Code Snap-in - FX:{811FD892-5EB4-4E73-A147-F1E079E36C4E}
11487정성태4/12/201811495디버깅 기술: 115. windbg - 닷넷 메모리 덤프에서 정적(static) 필드 값을 조사하는 방법
11486정성태4/11/201811052오류 유형: 461. Error MSB4064 The "ComputeOutputOnly" parameter is not supported by the "VsTsc" task
11485정성태4/11/201816622.NET Framework: 738. C# - Console 프로그램이 Ctrl+C 종료 시점을 감지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484정성태4/11/201817190.NET Framework: 737. C# - async를 Task 타입이 아닌 사용자 정의 타입에 적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