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디버깅 기술: 5. PDB 이야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4044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제목 짓기가 영 난감하군요. ^^;

.NET으로 오면서 기존에 너무나 어렵게만 구현되던 것들이 쉽게 구현되는 것들이 많습니다.
PDB 파일을 통한 디버깅 심벌을 처리해서 Crash 되는 모듈의 주소를 찾아내는 것 역시 .NET이 주는 혜택 중의 하나입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PDB에 관한 이야기를 하나씩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야기 진행 순서는, 일단 생각나는 것만 다음과 같습니다.
쪼끔 기대가 되시려나? ^^

1.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WinForm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

2.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Application Project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

3.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Site Model Project

4.1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1)
4.2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2)

5.1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5.2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2)

6. WinDBG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7. Microsoft의 PDB 파일 관리

8. Symbol Server 생성

9. PDB 파일과 소스 코드

10. CCP를 이용한 Windows Source Code 수준의 디버깅

11. 소스 서버 구성

12. GAC에 등록된 Assembly 디버그

13. [내용 예약]

14.1 ASP.NET 디버깅 환경 구성(1)
14.2 ASP.NET 디버깅 환경 구성(2)

15 ~ [x]. [미정]

[부록 1] AppVerifier 사용법

[부록 2] VS.NET 2003/2005의 다중 프로젝트 디버깅

[부록 3]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5 디버깅 방법

[부록 4] .NET 예외 처리 정리

[부록 5] .VS.NET 원격 디버깅

[부록 6] 비스타/롱혼 - VS.NET 2005에서의 웹 애플리케이션 디버깅 설정

최종적으로 Symbol Server, Source Server 및 WinDBG까지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설마 여기 있는 모든 정보를 제가 스스로 알아낸 것이라고 오해하시는 분들은 없으시겠지요! ^^
여기 있는 정보들은 모두 다음과 같은 참고 자료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내용들입니다.

책:
- Debugging Applications for Microsoft .NET and Microsoft Windows
- 고급 개발자들만이 알고 있던 Windows 구조와 원리 그리고 Codes

웹 사이트:
- BUGSLAYER - SOS: It's Not Just an ABBA Song Anymore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msdn-magazine/2003/june/bugslayer-sos-it-s-not-just-an-abba-song-anymore

- BUGSLAYER - Mini Dump Snapshots and the New SOS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msdn-magazine/2005/march/bugslayer-mini-dump-snapshots-and-the-new-sos

- SOS Ref Manual
;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 .NET 2003\SDK\v1.1\Tool Developers Guide\Samples\sos\SOS.htm

- .Net exceptions - Tracking down where in the code the exceptions occurred
; http://blogs.msdn.com/tess/archive/2006/05/18/601002.aspx

- Visual Studio Debugger - Debugging in Visual Studio
; https://docs.microsoft.com/en-us/visualstudio/debugger/debugging-in-visual-studio?view=vs-2015

- Code Center Premium integration into Visual Studio
; https://docs.microsoft.com/en-us/visualstudio/debugger/how-to-debug-with-code-center-premium-source?view=vs-2015

- Use the Microsoft Symbol Server to obtain debug symbol files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dxtecharts/debugging-with-symbols


... 그 외 알게 모르게 읽었던 모든 자료들.(생각날 때마다 추가하겠습니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6-08-11 06시17분
[비밀!!] 좋은정보 감사합니다^^(꾸벅)
[guest]
2008-03-03 02시34분
kevin25
2009-01-20 09시35분
kevin25
2009-07-30 04시32분
[anyflow] 더 말씀 드릴 필요도 없이 아주 잘봤습니다.
그러고보니..이건, 책을 쓰려는 의도에서?? ^^
[guest]
2009-07-30 05시04분
^^ 책을 쓸 요량이면 여기다 안 쓰죠. 이 지식이 많이 많이 공유되길 바라며 쓴 것입니다. (너무 모르는 분들이 많아서.)
kevin25
2009-08-23 09시48분
kevin25
2012-07-22 05시04분
정성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460정성태12/18/202017824기타: 78. 도서 소개 - C#으로 배우는 암호학
12459정성태12/16/202019096Linux: 35. C# - 리눅스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ephemeral port 재사용파일 다운로드1
12458정성태12/16/202016738오류 유형: 694. C# - Task.Start 메서드 호출 시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Start may not be called on a task that has completed.'" 예외 발생 [1]
12457정성태12/15/202016989Windows: 185. C# - Windows 10/2019부터 추가된 SIO_TCP_INFO파일 다운로드1
12456정성태12/15/202017871VS.NET IDE: 156. Visual Studio - "Migrate packages.config to PackageReference"
12455정성태12/15/202017272오류 유형: 693. DLL 로딩 시 0x800704ec - This Program is Blocked by Group Policy [1]
12454정성태12/15/202017827Windows: 184. Windows - AppLocker의 "DLL Rules"를 이용해 임의 경로에 설치한 DLL의 로딩을 막는 방법 [1]
12453정성태12/14/202018755.NET Framework: 984. C# - bool / BOOL / VARIANT_BOOL에 대한 Interop [1]파일 다운로드1
12452정성태12/14/202019160Windows: 183. 설정은 가능하지만 구할 수는 없는 TcpTimedWaitDelay 값
12451정성태12/14/202017157Windows: 182. WMI Namespace를 열거하고, 그 안에 정의된 클래스를 열거하는 방법 [5]
12450정성태12/13/202018298.NET Framework: 983. C# - TIME_WAIT과 ephemeral port 재사용파일 다운로드1
12449정성태12/11/202019279.NET Framework: 982. C# - HttpClient에서의 ephemeral port 재사용 [2]파일 다운로드1
12448정성태12/11/202020678.NET Framework: 981. C# - HttpWebRequest, WebClient와 ephemeral port 재사용파일 다운로드1
12447정성태12/10/202018764.NET Framework: 980. C# - CopyFileEx API 사용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446정성태12/10/202019840.NET Framework: 979. C# - CoCreateInstanceEx 사용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445정성태12/8/202015650오류 유형: 692. C# Marshal.PtrToStructure - The structure must not be a value class.파일 다운로드1
12444정성태12/8/202017123.NET Framework: 978. C# - GUID 타입 전용의 UnmanagedType.LPStruct [1]파일 다운로드1
12443정성태12/8/202016526.NET Framework: 977. C# PInvoke - C++의 매개변수에 대한 마샬링을 tlbexp.exe를 이용해 확인하는 방법
12442정성태12/4/202015421오류 유형: 691. Visual Studio - Build Events에 robocopy를 사용할때 "Invalid Parameter #1" 오류가 발행하는 경우
12441정성태12/4/202014879오류 유형: 690. robocopy - ERROR : No Destination Directory Specified.
12440정성태12/4/202016413오류 유형: 689. SignTool Error: Invalid option: /as
12439정성태12/4/202018479디버깅 기술: 176. windbg - 특정 Win32 API에서 BP가 안 걸리는 경우 (2) [1]
12438정성태12/2/202017749오류 유형: 688. .Visual C++ - Error C2011 'sockaddr': 'struct' type redefinition
12437정성태12/1/202017950VS.NET IDE: 155. pfx의 암호 키 파일을 Visual Studio 없이 등록하는 방법
12436정성태12/1/202018100오류 유형: 687. .NET Core 2.2 빌드 - error MSB4018: The "RazorTagHelper" task failed unexpectedly.
12435정성태12/1/202025197Windows: 181. 윈도우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최대 접속 수 (4) - ReuseUnicastPort를 이용한 포트 고갈 문제 해결 [1]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