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디버깅 기술: 5.13. 소스 서버 구성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870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부모글 보이기/감추기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11. 소스 서버 구성

"소스 서버"에 대한 설명은 잠시 미루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소스 서버는 "Team Foundation Server"에 대한 지원이 없는 상태입니다. "Visual SourceSafe"는 지원됩니다. 개인적으로 회사 업무 전체가 TFS와 연계되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한 지원이 될 때까지 연기합니다. ^^

대신에 "Visual SourceSafe"를 현재 사용하고 계신 분들은 흥미가 있으실 텐데요. 그분들은 제 토픽을 기다리지 마시고 ^^ 다음의 토픽을 참조하시면 소스 서버를 쉽게 구성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Use The Source, Luke - Source Server Helps You Kill Bugs Dead In Visual Studio 2005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msdn-magazine/2006/august/source-server-helps-you-kill-bugs-dead-in-visual-studio-2005

만약에, 제가 VSS와 연계되는 프로젝트가 발생하게 되면 그때 한번 위의 토픽대로 해보고 시행착오가 있으면 올려 놓겠습니다. ^^ 아니면, 여러분들 중에서 글을 써주셔도 좋겠지요.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8-10-09 09시57분
TFS를 이용한 소스 서버 구성 - TFS Team Build + Source Server =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www.sysnet.pe.kr/2/0/600
kevin25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921정성태5/28/201927840Math: 55. C# - 다항식을 위한 최소 자승법(Least Squares Method)파일 다운로드1
11920정성태5/28/201917412.NET Framework: 839. C# - PLplot 색상 제어
11919정성태5/27/201923200Math: 54. C# - 최소 자승법의 1차 함수에 대한 매개변수를 단순 for 문으로 구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918정성태5/25/201922730Math: 53. C# - 행렬식을 이용한 최소 자승법(LSM: Least Square Method)파일 다운로드1
11917정성태5/24/201924521Math: 52. MathNet을 이용한 간단한 통계 정보 처리 - 분산/표준편차파일 다운로드1
11916정성태5/24/201922553Math: 51. MathNET + OxyPlot을 이용한 간단한 통계 정보 처리 - Histogram파일 다운로드1
11915정성태5/24/201926425Linux: 11. 리눅스의 환경 변수 관련 함수 정리 - putenv, setenv, unsetenv
11914정성태5/24/201924910Linux: 10. 윈도우의 GetTickCount와 리눅스의 clock_gettime파일 다운로드1
11913정성태5/23/201920208.NET Framework: 838. C# - 숫자형 타입의 bit(2진) 문자열, 16진수 문자열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912정성태5/23/201921176VS.NET IDE: 137. Visual Studio 2019 버전 16.1부터 리눅스 C/C++ 프로젝트에 추가된 WSL 지원
11911정성태5/23/201920409VS.NET IDE: 136.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C/C++ 프로젝트에 인텔리센스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1910정성태5/23/201928963Math: 50. C# - MathNet.Numerics의 Matrix(행렬) 연산 [1]파일 다운로드1
11909정성태5/22/201924015.NET Framework: 837. C# - PLplot 사용 예제 [1]파일 다운로드1
11908정성태5/22/201923073.NET Framework: 836. C# - Python range 함수 구현파일 다운로드1
11907정성태5/22/201919035오류 유형: 541. msbuild - MSB4024 The imported project file "...targets" could not be loaded
11906정성태5/21/201919503.NET Framework: 835. .NET Core/C# - 리눅스 syslog에 로그 남기는 방법
11905정성태5/21/201919826.NET Framework: 834. C# - 폴더 경로 문자열에서 "..", "." 표기를 고려한 최종 문자열을 얻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1904정성태5/21/201929066.NET Framework: 833. C# - Open Hardware Monitor를 이용한 CPU 온도 정보 [1]파일 다운로드1
11903정성태5/21/201922872오류 유형: 540. .NET Core - System.PlatformNotSupportedException: The named version of this synchronization primitive is not supported on this platform.
11902정성태5/21/201919814오류 유형: 539. mstest 실행 시 "The directory name is invalid." 오류 발생
11901정성태5/21/201923113오류 유형: 538. msbuild 오류 - Could not find a part of the path '%LOCALAPPDATA%\Temp\2\.NETFramework,Version=v4.0.AssemblyAttributes.cs'
11900정성태5/18/201921848오류 유형: 537. "sfc /scannow" 실행 중 시스템이 부팅되는 현상
11899정성태5/17/201922168Linux: 9. Linux에서 윈도우의 OutputDebugString 대신 사용할 수 있는 syslog [1]
11898정성태5/16/201923739VC++: 130. C++ string의 c_str과 data 함수의 차이점 [3]
11897정성태5/16/201930171오류 유형: 536. Visual Studio - "Developer Pack"을 설치했는데도 "대상 프레임워크" 목록에 나오지 않는 경우 [2]
11896정성태5/15/201926553개발 환경 구성: 440. C#, C++ - double의 Infinity, NaN 표현 방식파일 다운로드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