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제목 짓기가 영 난감하군요. ^^; .NET으로 오면서 기존에 너무나 어렵게만 구현되던 것들이 쉽게 구현되는 것들이 많습니다. PDB 파일을 통한 디버깅 심벌을 처리해서 Crash 되는 모듈의 주소를 찾아내는 것 역시 .NET이 주는 혜택 중의 하나입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PDB에 관한 이야기를 하나씩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야기 진행 순서는, 일단 생각나는 것만 다음과 같습니다. 쪼끔 기대가 되시려나? ^^ 1.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WinForm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 2.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Application Project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 3.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Site Model Project 4.1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1) 4.2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2) 5.1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5.2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2) 6. WinDBG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7. Microsoft의 PDB 파일 관리 8. Symbol Server 생성 9. PDB 파일과 소스 코드 10. CCP를 이용한 Windows Source Code 수준의 디버깅 11. 소스 서버 구성 12. GAC에 등록된 Assembly 디버그 13. [내용 예약] 14.1 ASP.NET 디버깅 환경 구성(1) 14.2 ASP.NET 디버깅 환경 구성(2) 15 ~ [x]. [미정] [부록 1] AppVerifier 사용법 [부록 2] VS.NET 2003/2005의 다중 프로젝트 디버깅 [부록 3]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5 디버깅 방법 [부록 4] .NET 예외 처리 정리 [부록 5] .VS.NET 원격 디버깅 [부록 6] 비스타/롱혼 - VS.NET 2005에서의 웹 애플리케이션 디버깅 설정 최종적으로 Symbol Server, Source Server 및 WinDBG까지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설마 여기 있는 모든 정보를 제가 스스로 알아낸 것이라고 오해하시는 분들은 없으시겠지요! ^^ 여기 있는 정보들은 모두 다음과 같은 참고 자료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내용들입니다. 책: - Debugging Applications for Microsoft .NET and Microsoft Windows - 고급 개발자들만이 알고 있던 Windows 구조와 원리 그리고 Codes 웹 사이트: - BUGSLAYER - SOS: It's Not Just an ABBA Song Anymore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msdn-magazine/2003/june/bugslayer-sos-it-s-not-just-an-abba-song-anymore - BUGSLAYER - Mini Dump Snapshots and the New SOS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msdn-magazine/2005/march/bugslayer-mini-dump-snapshots-and-the-new-sos - SOS Ref Manual ;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 .NET 2003\SDK\v1.1\Tool Developers Guide\Samples\sos\SOS.htm - .Net exceptions - Tracking down where in the code the exceptions occurred ; http://blogs.msdn.com/tess/archive/2006/05/18/601002.aspx - Visual Studio Debugger - Debugging in Visual Studio ; https://docs.microsoft.com/en-us/visualstudio/debugger/debugging-in-visual-studio?view=vs-2015 - Code Center Premium integration into Visual Studio ; https://docs.microsoft.com/en-us/visualstudio/debugger/how-to-debug-with-code-center-premium-source?view=vs-2015 - Use the Microsoft Symbol Server to obtain debug symbol files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dxtecharts/debugging-with-symbols ... 그 외 알게 모르게 읽었던 모든 자료들.(생각날 때마다 추가하겠습니다.)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예약된 내용입니다.] [다음 글] 디버깅 기술: 5.14. GAC 에 등록된 Assembly 디버그[이전 글] 디버깅 기술: 5.16. ASP.NET 디버깅 환경 구성 [최초 등록일: 9/16/2006] [최종 수정일: 3/6/2007]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66정성태2/27/20249576오류 유형: 897. Windows 7 SDK 설치 시 ".NET Development" 옵션이 비활성으로 선택이 안 되는 경우13565정성태2/23/20248664닷넷: 2219. .NET CLR2 보안 모델에서의 개별 System.Security.Permissions 제어13564정성태2/22/202410176Windows: 259. Hyper-V Generation 1 유형의 VM을 Generation 2 유형으로 바꾸는 방법13563정성태2/21/20249662디버깅 기술: 196. windbg - async/await 비동기인 경우 메모리 덤프 분석의 어려움13562정성태2/21/20249360오류 유형: 896. ASP.NET - .NET Framework 기본 예제에서 System.Web에 대한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예외 발생13561정성태2/20/202410166닷넷: 2218. C# - (예를 들어, Socket) 비동기 I/O에 대한 await 호출 시 CancellationToken을 이용한 취소113560정성태2/19/202410216디버깅 기술: 195. windbg 분석 사례 - Semaphore 잠금으로 인한 Hang 현상 (닷넷)13559정성태2/19/202411047오류 유형: 895. ASP.NET - System.Security.SecurityException: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13558정성태2/18/202410199닷넷: 2217. C# - 최댓값이 1인 SemaphoreSlim 보다 Mutex 또는 lock(obj)를 선택하는 것이 나은 이유13557정성태2/18/20249078Windows: 258. Task Scheduler의 Author 속성 값을 변경하는 방법13556정성태2/17/20249458Windows: 257. Windows - Symbolic (hard/soft) Link 및 Junction 차이점13555정성태2/15/20249678닷넷: 2216. C# - SemaphoreSlim 사용 시 주의점13554정성태2/15/20249097VS.NET IDE: 189. Visual Studio - 닷넷 소스코드 디컴파일 찾기가 안 될 때13553정성태2/14/20248620닷넷: 2215. windbg - thin/fat lock 없이 동작하는 Monitor.Wait + Pulse13552정성태2/13/20248745닷넷: 2214. windbg - Monitor.Enter의 thin lock과 fat lock13551정성태2/12/20249844닷넷: 2213. ASP.NET/Core 웹 응용 프로그램 - 2차 스레드의 예외로 인한 비정상 종료13550정성태2/11/202410304Windows: 256. C# - Server socket이 닫히면 Accept 시켰던 자식 소켓이 닫힐까요?13549정성태2/3/202411267개발 환경 구성: 706. C# - 컨테이너에서 실행하기 위한 (소켓) 콘솔 프로젝트 구성13548정성태2/1/202410827개발 환경 구성: 705. "Docker Desktop for Windows" - ASP.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소켓 주소 바인딩(IPv4/IPv6 loopback, Any)13547정성태1/31/202410503개발 환경 구성: 704. Visual Studio - .NET 8 프로젝트부터 dockerfile에 추가된 "USER app" 설정13546정성태1/30/202410193Windows: 255. (디버거의 영향 등으로) 대상 프로세스가 멈추면 Socket KeepAlive로 연결이 끊길까요?13545정성태1/30/20249731닷넷: 2212. ASP.NET Core - 우선순위에 따른 HTTP/HTTPS 호스트:포트 바인딩 방법13544정성태1/30/20249357오류 유형: 894. Microsoft.Data.SqlClient -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System.Security.Permissions, ...'13543정성태1/30/20249777Windows: 254. Windows - 기본 사용 중인 5357 포트 비활성화는 방법13542정성태1/30/20248863오류 유형: 893. Visual Studio - Web Application을 실행하지 못하는 IISExpress - 두 번째 이야기13541정성태1/29/20249631VS.NET IDE: 188. launchSettings.json의 useSSL 옵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