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최근 들어서, 제 컴퓨터가 가끔씩 급격하게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되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니 그때마다 "svchost.exe" 작업이 CPU를 약 100% 점유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메모리 소비가 150MB까지 올라갔습니다. process explorer로 확인을 해보니 해당 exe에서 서비스되는 것들이 다음과 같더군요. "Automatic Updates" "Windows Audio" "Computer Browser" "Cryptographic Services" "COM+ Event System" "HID Input Service" "Server" "Workstation" "Network Connections" "Network Location Awareness(NLA)" "Remote Access Connection Manager" "Task Scheduler" "System Event Notification" "Shell Hardware Detection" "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 "Wireless Configuation" 상황이 이렇다 보니, ^^; 단서를 찾아낼 엄두를 못내고 포기하고 있었는데요. 오늘은 우연히 "Windows Update" 사이트를 방문하면서 "svchost.exe"가 동일하게 메모리와 CPU 점유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관련해서 검색을 하다보니, 아래와 같은 토픽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FIX: When you run Windows Update to scan for updates that use Windows Installer, including Office updates, CPU utilization may reach 100 percent for prolonged periods ; http://support.microsoft.com/kb/916089 제 현상이랑 아주 똑같은 것 같습니다. 실제로 Windows Update 사이트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설치/삭제 시에도 msi 관련 프로세스들이 너무 느린 현상을 경험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아쉽게도 ^^; "Microsoft Product Support Services" 센터에 연락을 해서만 구할 수 있군요. 월요일까지 기다려서 Support 센터에 연락을 해서 해당 파일을 설치하는 것이 빠를까요? 그 안에 Vista가 MSDN Subscriber Downloads 센터에 릴리스되어 Vista를 설치하게 되는 시간이 빠를까요? ^^ [내용 추가: 2007-02-13] 다음의 토픽에 해결책이 제시됩니다.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459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Windows: 4.1. Vista 설치 후기 - 두 번째 이야기[이전 글] 오류 유형: 17. Unable to start debugging - The binding handle is invalid. [연관 글] Windows: 4. Vista 설치 후기오류 유형: 26.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 두 번째 이야기 [최초 등록일: 2/13/2007] [최종 수정일: 6/27/2021]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86정성태11/29/201818658오류 유형: 505. OpenGL.NET 예제 실행 시 "Managed Debugging Assistant 'CallbackOnCollectedDelegate'" 예외 발생11785정성태11/21/201820990디버깅 기술: 120. windbg 분석 사례 - ODP.NET 사용 시 Finalizer에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 예외 발생으로 인한 비정상 종료11784정성태11/18/201820251Graphics: 32.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7), (8) - Matrices and Uniform Variables, Model, View & Projection Matrices111783정성태11/18/201818385오류 유형: 504. 윈도우 환경에서 docker가 설치된 컴퓨터 간의 ping IP 주소 풀이 오류11782정성태11/18/201817476Windows: 152. 윈도우 10에서 사라진 "Adapters and Bindings" 네트워크 우선순위 조정 기능 - 두 번째 이야기11781정성태11/17/201820850개발 환경 구성: 422. SFML.NET 라이브러리 설정 방법 [1]111780정성태11/17/201821939오류 유형: 503. vcpkg install bzip2 빌드 에러 - "Error: Building package bzip2:x86-windows failed with: BUILD_FAILED"11779정성태11/17/201822776개발 환경 구성: 421. vcpkg 업데이트 [1]11778정성태11/14/201820090.NET Framework: 803. UWP 앱에서 한 컴퓨터(localhost, 127.0.0.1) 내에서의 소켓 연결11777정성태11/13/201820548오류 유형: 502. Your project does not reference "..." framework. Add a reference to "..." in the "TargetFrameworks" property of your project file and then re-run NuGet restore.11776정성태11/13/201818592.NET Framework: 802. Windows에 로그인한 계정이 마이크로소프트의 계정인지, 로컬 계정인지 알아내는 방법11775정성태11/13/201820398Graphics: 31.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6) - Texturing111774정성태11/8/201818827Graphics: 30.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4), (5) - Shader111773정성태11/7/201818507Graphics: 29.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3) - Index Buffer111772정성태11/6/201820470Graphics: 28.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2) - VAO, VBO111771정성태11/5/201819466사물인터넷: 56. Audio Jack 커넥터의 IR 적외선 송신기 - 두 번째 이야기 [1]11770정성태11/5/201827880Graphics: 27.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1) - OpenGL.Net 라이브러리 [3]111769정성태11/5/201818869오류 유형: 501. 프로젝트 msbuild Publish 후 connectionStrings의 문자열이 $(ReplacableToken_...)로 바뀌는 문제11768정성태11/2/201819345.NET Framework: 801. SOIL(Simple OpenGL Image Library) - Native DLL 및 .NET DLL 제공11767정성태11/1/201820236사물인터넷: 55. New NodeMcu v3(ESP8266)의 IR LED (적외선 송신) 제어111766정성태10/31/201822342사물인터넷: 54. 아두이노 환경에서의 JSON 파서(ArduinoJson) 사용법11765정성태10/26/201819223개발 환경 구성: 420. Visual Studio Code - Arduino Board Manager를 이용한 사용자 정의 보드 선택11764정성태10/26/201824138개발 환경 구성: 419. MIT 라이선스로 무료 공개된 Detours API 후킹 라이브러리 [2]11763정성태10/25/201821046사물인터넷: 53. New NodeMcu v3(ESP8266)의 https 통신11762정성태10/25/201821478사물인터넷: 52. New NodeMCU v3(ESP8266)의 http 통신111761정성태10/25/201821447Graphics: 26. 임의 축을 기반으로 3D 벡터 회전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