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디버깅 기술: 15. First-Chance Exception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4447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6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1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 https://www.sysnet.pe.kr/2/0/316

디버깅 기술: 15. First-Chance Exception
; https://www.sysnet.pe.kr/2/0/510

디버깅 기술: 16.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 https://www.sysnet.pe.kr/2/0/595

.NET Framework: 110. WPF - 전역 예외 처리
; https://www.sysnet.pe.kr/2/0/614

디버깅 기술: 31. Windbg - Visual Studio 디버그 상태에서 종료해 버리는 응용 프로그램
; https://www.sysnet.pe.kr/2/0/957

디버깅 기술: 42.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 (2)
; https://www.sysnet.pe.kr/2/0/1096

.NET Framework: 534. ASP.NET 응용 프로그램이 예외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면?
; https://www.sysnet.pe.kr/2/0/10863

디버깅 기술: 110. 비동기 코드 실행 중 예외로 인한 ASP.NET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1383

디버깅 기술: 119. windbg 분석 사례 - 종료자(Finalizer)에서 예외가 발생한 경우 비정상 종료(Crash)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1732

닷넷: 2148. C# - async 유무에 따른 awaitable 메서드의 병렬 및 예외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3422

닷넷: 2213. ASP.NET/Core 웹 응용 프로그램 - 2차 스레드의 예외로 인한 비정상 종료
; https://www.sysnet.pe.kr/2/0/13551






First-Chance Exception


Visual C++을 공부해 보신 분들은, 사실 지겹게 봐왔던 예외 메시지이죠. 닷넷에서도 역시 "예외"일 수 없습니다. ^^

웹 검색을 해보면, 이와 관련해서 많은 분들이 글을 써주셔서 또 쓰는 것이 좀 그렇긴 하지만. 그래도 대부분의 글들이 VC++ 환경에서의 설명이어서, 아주 조금이지만 닷넷 환경에 비춰서 설명을 추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공식적인 마이크로소프트의 설명은 아래와 같은 KB 자료에 있으니 참고하십시오.

First and second chance exception handling
; http://support.microsoft.com/kb/105675

(참고로, 문서에 따라서 Second-chance exception을 last chance exception이라고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자, 그럼 실제로 "First/Second chance exception"이 무엇인지 체험을 해보는 것이 좋겠지요. 간단하게 다음의 코드를 작성해서 빌드한 후 "F5"로 실행시켜 봅니다.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izLogic logic = new BizLogic();
    logic.GetFileContents(@"C:\temp\test.txt");
  }
}

public class BizLogic
{
  public string GetFileContents(string path)
  {
    if (File.Exists(path) == false)
    {
      throw new FileNotFoundException(path);
    }

    return File.ReadAllText(path);
  }
}

그렇게 되면, "Output" 창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A first chance exception of type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occurred in FirstChanceExceptionTest.exe
2: An unhandled exception of type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occurred in FirstChanceExceptionTest.exe

Additional information: C:\temp\test.txt

위의 단계에서 "First/Second chance exception"이 모두 발생하고 있습니다.

우선, "1번 라인"에서, 디버거는 예외를 감지했습니다. 하지만, 디버거는 대상 프로그램이(Debuggee) 직접 예외를 처리할 수 있는 기회(try / catch)를 주기 위해 예외 감지 사실만을 알리고 바로 프로그램으로 실행 제어를 넘깁니다.

이어서 SEH(Structured Exception Handling) 문서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해당 예외에 대한 핸들러를 찾게 되고, 이때 만약 상응하는 예외 핸들러를 찾을 수 없게 되면(unhandled), 다시 한번(second-chance) 디버거는 이를 감지하게 됩니다. (Win32로 설명해 보면, 첫 번째와 두 번째 모두 동일하게 EXCEPTION_DEBUG_EVENT를 받게 되고, first-chance인지 second-chance인지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해당 이벤트 발생시 넘어오는 DEBUG_EVENT 구조체에 union으로 포함된 EXCEPTION_DEBUG_INFO 구조체의 DWORD dwFirstChance 멤버 값을 살펴보면 됩니다.)

정리해 보면, 예외 발생시 디버거가 처음 예외를 감지하는 시점이 바로 first-chance exception이 되고, 이후 프로그램의 예외 처리 핸들러가 실행될 기회를 얻게 되는데, 이때 만약 적당한 예외 처리 핸들러가 발견되지 못하면 시스템은 다시 디버거에 예외를 발생시키게 되고 바로 이 시점이 second-chance exception입니다.

테스트 삼아서 이번엔 코드를 다음와 같이 만들어 봅니다.

try
{
  BizLogic logic = new BizLogic();
  logic.GetFileContents(@"C:\temp\test.txt");
}
catch (FileNotFoundException ex)
{
  // ex 로그
}

다시 "F5" 키를 눌러, 실행해 보면, 이번엔 다음과 같은 내용만이 "Output" 창에 남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A first chance exception of type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occurred in FirstChanceExceptionTest.exe

예외를 처리했기 때문에 디버거로써는 second-chance exception을 얻을 수 있는 단계까지 진행되지 못해서 "An unhandled exception" 메시지가 출력되지 않았습니다.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는 분들은 다음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Exception Dispatching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debug/exception-dispatching

Platform SDK: Debugging and Error Handling - EXCEPTION_DEBUG_INFO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minwinbase/ns-minwinbase-exception_debug_info




기왕 설명하는 김에, 이와 관련된 유용한 팁을 한번 알아볼까요! (사실, 이것도 많은 웹 문서들에서 이미 설명하고 있지만.)

이건 어떨까요?

01: try
02: {
03:   BizLogic logic = new BizLogic();
04:   logic.GetFileContents(@"C:\temp\test.txt");
05: }
06: catch (FileNotFoundException ex)
07: {
08:   throw new ArgumentException("file not found", ex);
09:   ---- 또는 ----
10:   throw ex;
11:   ---- 또는 ----
12:   throw;
13: }

이렇게 프로그램을 만들게 되면, 원래의 예외는 4번째 라인의 함수안에서 발생한 "FileNotFoundException"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디버거에 의해서 잡히게 되는 예외는, 8번째~12번째 라인에서 발생하는 예외가 됩니다.

실제 현업에서 디버깅을 하다보면, 위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는데요. 사실, catch 문 안에서 디버거가 잡히게 되는 것이 디버깅하는 입장에서는 그다지 유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실제로 "FileNotFoundException"이 발생하는 라인에서 디버거가 멈추게 하고 싶은 경우가 있을 텐데요. 이러한 경우의 조치를 위해서 있는 것이 바로 "Debug" / "Exceptions..." 메뉴입니다. (업데이트 2021-02-02: Visual Studio 2019의 경우 "Debug" / "Windows" / "Exception Settings")

about_firstchanceexception_and_second_1.png

about_firstchanceexception_and_second_2.png

위와 같이, 설정해 두고 다시 "F5" 키를 눌러 디버깅을 시작하면, 이번에는 4번째 라인에서 디버거가 멈추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곧, first-chance exception인 시점에 무조건 디버그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760정성태8/17/200938436개발 환경 구성: 47. XmlCodeGenerator 1.0.0.4 업데이트 [2]
759정성태8/16/200930260.NET Framework: 155. 닷넷 프로파일러의 또 다른 응용: Visual Studio 2010 Historical Debugging
758정성태8/15/200923578VS.NET IDE: 65. WPF 프로젝트용 Visual Studio 패치들 [2]
757정성태8/12/200922970오류 유형: 84. TFS 작업 항목 보기 오류 - WorkItemTypeDeniedOrNotExistException
756정성태8/9/200922546오류 유형: 83. A revocation check could not be performed for the certificate.
755정성태8/6/200920293.NET Framework: 154. 이벤트 2중 구독
754정성태7/16/200932641VS.NET IDE: 64. Visual Studio 2010 - 64bit 혼합 모드 디버깅 지원
753정성태7/15/200931145.NET Framework: 153. WPF와 WinForm의 Shown 이벤트 시점
752정성태7/14/200926709개발 환경 구성: 46. .NET Service Bus 응용 사례: SocketShifter [2]파일 다운로드1
751정성태7/9/200928054.NET Framework: 152. 순환 참조와 XmlSerializer파일 다운로드1
750정성태7/7/200927802.NET Framework: 151. Team Explorer가 설치되지 않은 PC에서 System.InvalidProgramException 예외 발생파일 다운로드1
748정성태7/2/200925740.NET Framework: 150. WPF - Property Element 사용 의미파일 다운로드2
747정성태7/1/200945415.NET Framework: 149. WPF - UI 업데이트를 바로 반영하고 싶다면? [3]파일 다운로드1
746정성태6/25/200932503.NET Framework: 148. WPF - 데이터 바인딩 시의 예외 처리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745정성태6/22/200924501.NET Framework: 147. WPF - Binding에 Sibling 요소 지정 [2]파일 다운로드1
744정성태6/21/200923360.NET Framework: 146. WPF - 중첩된 ScrollViewer의 크기 제어 [2]파일 다운로드1
743정성태6/17/200927463.NET Framework: 145. Unity Container 개체 풀이
742정성태6/17/200926949.NET Framework: 144. WPF - FrameworkElement.Parent 속성이 null이라면? [3]
740정성태6/12/200924550.NET Framework: 143. WPF - Transform의 역변환파일 다운로드1
739정성태6/8/200937288.NET Framework: 142. WPF - Grid 컨트롤의 ShowGridLine 개선 [5]파일 다운로드1
737정성태6/6/200942756.NET Framework: 141. Win32 Interop - 크기가 정해지지 않은 배열을 C++에서 C#으로 전달하는 경우파일 다운로드2
734정성태6/4/200926222.NET Framework: 140. WPF - CellPadding 속성을 구현하는 Grid Layout [2]파일 다운로드1
733정성태5/29/200931632.NET Framework: 139. WPF - "M/d/yyyy h:mm:ss tt" 형식으로만 날짜를 출력하는 문제
732정성태5/27/200926614Team Foundation Server: 32. 팀 빌드 오류 확인 방법
731정성태5/27/200921619Team Foundation Server: 31. 팀 빌드 스케줄 확인 방법
730정성태5/26/200927145VS.NET IDE: 63. Visual Studio 2010 - Parallel Stacks [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