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47. VPC - 네트워크 어댑터 MAC 주소 중복 오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602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PC - 네트워크 어댑터 MAC 주소 중복 오류


이번 오류는, 정확한 해결 방법을 찾지 못했습니다.
단지, 이번에 Virtual Server 2005 SP2 R2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한 이후로 Host PC를 재부팅하면, Guest PC 중의 하나가 정상적으로 네트워크 어댑터가 연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벤트 로그에는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남았습니다.

Event Type: Error
Event Source: Virtual Server
Event Category: Virtual Machine
Event ID: 1130
Date:   2007-07-29
Time:   오전 9:47:43
User:   TESTMACHINE\TestUser
Computer: TESTMACHINE
Description:
The virtual machine "TestMachine" cannot connect virtual network adapter 1 
because another virtual machine with the MAC address 00:03:FF:16:FC:6F is already running. 
This virtual network adapter will be left disconnected.

For more information, see Help and Support Center at http://go.microsoft.com/fwlink/events.asp.
Data:
0000: 7b 00 36 00 43 00 30 00   {.6.F.0.
0008: 44 00 33 00 30 00 46 00   D.3.D.F.
0010: 34 00 2d 00 30 00 33 00   4.-.1.3.
0018: 42 00 44 00 2d 00 34 00   B.D.-.4.
0020: 39 00 37 00 36 00 2d 00   9.7.6.-.
0028: 39 00 39 00 46 00 37 00   9.9.F.7.
0030: 2d 00 37 00 33 00 37 00   -.7.3.7.
0038: 42 00 41 00 33 00 33 00   B.A.3.3.
0040: 35 00 44 00 36 00 34 00   5.D.6.4.
0048: 31 00 7d 00               1.}.    

아래 화면에서 보는 것처럼, 해당 VPC의 MAC 주소는 동적 할당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도해 볼 만한 것이 없었습니다. 딱히 웹에서 적당한 사례도 없고.

vpc_mac_in_use_error_1.png

그래서, ... 어떻게 해결하고 있냐고요?

다시 VPC를 재 시작하고 있습니다. 그러고 나면, 다시 정상적으로 네트워크가 활성화됩니다. 혹시 이와 관련해서 시행착오를 겪으신 분은 좋은 의견 좀 부탁드립니다.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2/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647정성태6/16/2024269개발 환경 구성: 712. Windows -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같은 IP를 공유하는 WSL 2 인스턴스)
13646정성태6/14/2024349오류 유형: 908. Process Explorer - "Error configuring dump resources: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13645정성태6/13/2024558개발 환경 구성: 711. Visual Studio로 개발 시 기본 등록하는 dev tag 이미지로 Docker Desktop k8s에서 실행하는 방법
13644정성태6/12/2024585닷넷: 2265. C# - System.Text.Json의 기본적인 (한글 등에서의) escape 처리
13643정성태6/12/2024589오류 유형: 907. MySqlConnector 사용 시 System.IO.FileLoadException 오류
13642정성태6/11/2024659스크립트: 65. 파이썬 - asgi 버전(2, 3)에 따라 달라지는 uvicorn 호스팅
13641정성태6/11/2024926Linux: 71. Ubuntu 20.04를 22.04로 업데이트
13640정성태6/10/2024989Phone: 21. C# MAUI - Android 환경에서의 파일 다운로드(DownloadManager)
13639정성태6/8/2024927오류 유형: 906. C# MAUI - Android Emulator에서 "Waiting For Debugger"로 무한 대기
13638정성태6/8/20241019오류 유형: 905. C# MAUI - 추가한 layout XML 파일이 Resource.Layout 멤버로 나오지 않는 문제
13637정성태6/6/20241091Phone: 20. C# MAUI - 유튜브 동영상을 MediaElement로 재생하는 방법
13636정성태5/30/20241105닷넷: 2264. C# - 형식 인자로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네릭 타입으로의 형변환파일 다운로드1
13635정성태5/29/2024943Phone: 19. C# MAUI - 안드로이드 "Share" 대상으로 등록하는 방법
13634정성태5/24/20241190Phone: 18. C# MAUI -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의 Activity 제어
13633정성태5/22/20241137스크립트: 64. 파이썬 - ASGI를 만족하는 최소한의 구현 코드
13632정성태5/20/20241241Phone: 17. C# MAUI - Android 내에 Web 서비스 호스팅
13631정성태5/19/20241257Phone: 16. C# MAUI - /Download 등의 공용 디렉터리에 접근하는 방법
13630정성태5/19/20241609닷넷: 2263. C# - Thread가 Task보다 더 빠르다는 어떤 예제(?)
13629정성태5/18/20241424개발 환경 구성: 710. Android - adb.exe를 이용한 파일 전송
13628정성태5/17/20241596개발 환경 구성: 709. Windows - WHPX(Windows Hypervisor Platform)를 이용한 Android Emulator 가속
13627정성태5/17/20241576오류 유형: 904. 파이썬 - UnicodeEncodeError: 'ascii' codec can't encode character '...' in position ...: ordinal not in range(128)
13626정성태5/15/20241694Phone: 15. C# MAUI - MediaElement Source 경로 지정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25정성태5/14/20241948닷넷: 2262. C# - Exception Filter 조건(when)을 갖는 catch 절의 IL 구조
13624정성태5/12/20241984Phone: 14. C# - MAUI에서 MediaElement 사용파일 다운로드1
13623정성태5/11/20242161닷넷: 2261. C# - 구글 OAuth의 JWT (JSON Web Tokens) 해석파일 다운로드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