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PF 디자이너 - The string was not recognized as a valid DateTime...


상황은 간단합니다. 지난 회에 소개했던 "WPF에서 ActiveX 컨트롤 호스팅하는 방법"대로 ActiveX Interop 어셈블리를 생성한 후, AxWMPLib 어셈블리를 WPF 프로젝트에서 참조를 하고 나니, 모든 XAML 디자인 화면에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wpf_axinterop_designer_error_1.PNG

The string was not recognized as a valid DateTime. There is a unknown word starting at index 11. at System.DateTimeParse.Parse(String s, DateTimeFormatInfo dtfi, DateTimeStyles styles) at System.Windows.Forms.AxHost.TypeLibraryTimeStampAttribute..ctor(String timestamp) at System.Reflection.CustomAttribute._CreateCaObject(Void* pModule, Void* pCtor, Byte** ppBlob, Byte* pEndBlob, Int32* pcNamedArgs) at System.Reflection.CustomAttribute.CreateCaObject(Module module, RuntimeMethodHandle ctor, IntPtr& blob, IntPtr blobEnd, Int32& namedArgs) at System.Reflection.CustomAttribute.GetCustomAttributes(Module decoratedModule, Int32 decoratedMetadataToken, Int32 pcaCount, RuntimeType attributeFilterType, Boolean mustBeInheritable, IList derivedAttributes) at System.Reflection.CustomAttribute.GetCustomAttributes(Assembly assembly, RuntimeType caType) at System.Reflection.Assembly.GetCustomAttributes(Boolean inherit) at MS.Internal.ReferenceAssemblyUtils.SafeGetCustomAttributes(Assembly assembly, Type filter, Boolean inherit) at MS.Internal.Xaml.ReflectionProjectNode.BuildNamespaces() at MS.Internal.Xaml.ReflectionProjectNode.Find(Identifier namespaceUri) at MS.Internal.Xaml.PrefixScope.FindType(XamlName name) at MS.Internal.Xaml.XmlElement.FindElementType(PrefixScope parentScope, IParseContext context) at MS.Internal.DocumentTrees.Markup.XamlSourceDocument.get_RootType() at Microsoft.Windows.Design.Documents.Trees.MarkupDocumentTreeManager.get_RootType() at Microsoft.Windows.Design.Documents.MarkupDocumentManager.CalculateLoadErrorState() at Microsoft.Windows.Design.Documents.MarkupDocumentManager.get_LoadState() at MS.Internal.Host.PersistenceSubsystem.Load() at MS.Internal.Host.Designer.Load() at MS.Internal.Designer.VSDesigner.Load() at MS.Internal.Designer.VSIsolatedDesigner.VSIsolatedView.Load() at MS.Internal.Designer.VSIsolatedDesigner.VSIsolatedDesignerFactory.Load(IsolatedView view) at MS.Internal.Host.Isolation.IsolatedDesigner.BootstrapProxy.LoadDesigner(IsolatedDesignerFactory factory, IsolatedView view) at MS.Internal.Host.Isolation.IsolatedDesigner.BootstrapProxy.LoadDesigner(IsolatedDesignerFactory factory, IsolatedView view) at MS.Internal.Host.Isolation.IsolatedDesigner.Load() at MS.Internal.Designer.DesignerPane.LoadDesignerView() "

구글을 검색해 봐도, 딱히 WPF 디자이너와 관련된 내용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음... ^^; 스스로 해결해 봐야죠.

가만히... 오류 메시지를 보니 다음과 같은 구문이 눈에 띕니다.

at System.DateTimeParse.Parse(String s, DateTimeFormatInfo dtfi, DateTimeStyles styles)
at System.DateTime.Parse(String s, IFormatProvider provider)
at System.Windows.Forms.AxHost.TypeLibraryTimeStampAttribute..ctor(String timestamp)

오호... 그렇다면 새로 참조한 ActiveX interop 관련 어셈블리에 대해서 TimeStamp 관련 특성에 대한 해석이 잘못 되었다는 것인데요. 설마하는 마음에, Reflector로 "AxInterop.WMPLib.dll"을 열어보니, 다음과 같이 특성이 정의되어 있었습니다.

// Assembly AxInterop.WMPLib, Version 1.0.0.0

[assembly: AssemblyVersion("1.0.0.0")]
[assembly: RuntimeCompatibility(WrapNonExceptionThrows=true)]
[assembly: TypeLibraryTimeStamp("2008-01-18 오후 11:37:04")]
[assembly: CompilationRelaxations(8)]

보시는 것처럼, 시간값이 지역화되어서 들어가 있는데, 이를 영문 VS.NET에서는 읽어들이지 못해서 발생하는 오류였습니다. 해결방법은 Interop 어셈블리를 만드는 동안만이라도 다음과 같이 제어판에서 시간 포맷을 바꿔주는 수밖에는 없지요.

wpf_axinterop_designer_error_2.PNG

이제, 기존 참조된 interop 어셈블리(AxWMPLib)를 삭제하고, 다시 윈폼에 추가시키면 정상적(?)으로 다음과 같이 시간값이 영문으로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ssembly AxInterop.WMPLib, Version 1.0.0.0

[assembly: AssemblyVersion("1.0.0.0")]
[assembly: RuntimeCompatibility(WrapNonExceptionThrows=true)]
[assembly: TypeLibraryTimeStamp("1/18/2008 11:37:04 PM")]
[assembly: CompilationRelaxations(8)]

물론, WPF 디자이너 화면도 이젠 정상적으로 나오고.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8-06-04 10시44분
문제 해결하고, 좀더 검색을 해보니 이미 Microsoft Connect 사이트에 버그로 등록이 되어 있더군요. ^^

Bug in the Microsoft .NET V1.1/V2.0/V3.5 AxImp.exe tool.
; (broken) https://connect.microsoft.com/VisualStudio/feedback/ViewFeedback.aspx?FeedbackID=338575
kevin25
2008-06-10 08시33분
[키온] 초기버전이나 베타버전에 종종 이런 버그가 많이 있는데요. Loc팀이나 Intl't팀의 테스터분들이 이 부분까지 테스트가 안된 모양입니다.
[guest]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2정성태3/1/201225300Windows: 55. 윈도우 8 베타 설치 과정 [1]
1251정성태2/27/201229249VC++: 60. C/C++ Native 스레드 콜 스택 덤프를 얻는 공개 라이브러리 [2]파일 다운로드1
1250정성태2/27/201231354VC++: 59. C/C++ 프로젝트 빌드 속도 개선 - UnityBuild를 아세요? [3]
1249정성태2/26/201231041.NET Framework: 31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5) - ICorDebug 인터페이스 사용법 [2]파일 다운로드3
1248정성태2/25/201242532.NET Framework: 310. C#의 Shift 비트 연산 정리파일 다운로드1
1247정성태2/25/201225236.NET Framework: 309. .NET 응용 프로그램에 기본 생성되는 스레드들에 대한 탐구 [1]파일 다운로드1
1246정성태2/25/201224812개발 환경 구성: 145. 한영 변환은 되지만, 정작 한글 입력이 안되는 경우
1245정성태2/25/201235520개발 환경 구성: 144. 윈도우에서도 유닉스처럼 명령행으로 원격 접속하는 방법
1244정성태2/24/201232698.NET Framework: 308.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할 수 있을까? [1]파일 다운로드1
1243정성태2/23/201232646개발 환경 구성: 143.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 번째 이야기 [1]
1242정성태2/20/201239505VC++: 58. API Hooking - 64비트를 고려해야 한다면? EasyHook! [7]파일 다운로드1
1241정성태2/20/201226348.NET Framework: 307. .NET 4.0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ILMerge
1240정성태2/19/201232618디버깅 기술: 48. C/C++ JNI DLL을 Visual Studio로 디버깅하는 방법 [2]
1239정성태2/19/201224253.NET Framework: 306. 컴퓨터에 실행된 프로세스 중에 닷넷 응용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는 방법 - C# [1]파일 다운로드1
1238정성태2/19/201228141.NET Framework: 305. GetPrivateProfileSection / WritePrivateProfileSection의 C# 버전파일 다운로드1
1237정성태2/18/201232447개발 환경 구성: 142. Windows Embedded POSReady 7 설치 [1]
1236정성태2/17/201228271개발 환경 구성: 141. Windows 2008 R2 RDP 라이선스 서버 설치하는 방법
1235정성태2/16/201226720.NET Framework: 304. Hyper-V의 가상 머신을 C#으로 제어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34정성태2/16/201227128.NET Framework: 303. 원본 파일의 공백/라인을 유지한 체 XML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33정성태2/16/201233226.NET Framework: 302. supportedRuntime 옵션과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예외 [5]
1232정성태2/9/201229116VC++: 57. 웹 브라우저에서 Flash만 빼고 다른 ActiveX를 차단할 수 있을까? [3]파일 다운로드1
1231정성태2/8/201238669VC++: 56. Win32 API 후킹 - Trampoline API Hooking [5]파일 다운로드1
1230정성태2/6/201224032개발 환경 구성: 140. 프로젝트 생성 시부터 "Enable the Visual Studio hosting process" 옵션을 끄는 방법
1229정성태2/4/201229073.NET Framework: 301. P/Invoke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C++/CLI가 선택되려면? [5]파일 다운로드1
1228정성태2/4/201278357.NET Framework: 300. C#으로 만드는 음성인식/TTS 프로그램 [47]파일 다운로드1
1227정성태2/3/201229241.NET Framework: 299. 해당 어셈블리가 Debug 빌드인지, Release 빌드인지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