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9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1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 https://www.sysnet.pe.kr/2/0/316

디버깅 기술: 15. First-Chance Exception
; https://www.sysnet.pe.kr/2/0/510

디버깅 기술: 16.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 https://www.sysnet.pe.kr/2/0/595

.NET Framework: 110. WPF - 전역 예외 처리
; https://www.sysnet.pe.kr/2/0/614

디버깅 기술: 31. Windbg - Visual Studio 디버그 상태에서 종료해 버리는 응용 프로그램
; https://www.sysnet.pe.kr/2/0/957

디버깅 기술: 42.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 (2)
; https://www.sysnet.pe.kr/2/0/1096

.NET Framework: 534. ASP.NET 응용 프로그램이 예외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면?
; https://www.sysnet.pe.kr/2/0/10863

디버깅 기술: 110. 비동기 코드 실행 중 예외로 인한 ASP.NET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1383

디버깅 기술: 119. windbg 분석 사례 - 종료자(Finalizer)에서 예외가 발생한 경우 비정상 종료(Crash)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1732

닷넷: 2148. C# - async 유무에 따른 awaitable 메서드의 병렬 및 예외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3422

닷넷: 2213. ASP.NET/Core 웹 응용 프로그램 - 2차 스레드의 예외로 인한 비정상 종료
; https://www.sysnet.pe.kr/2/0/13551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개인적으로, Watson 오류 로그와는 그다지 친숙하지 않아서, Watson Bucket 정보라는 것을 알지는 못했습니다. 운이 좋게도 ^^ MSDN Magazine 2008년 9월 호에 나온 "CLR Inside Out - CLR에서 처리되지 않은 예외 처리"와 같은 좋은 글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 글을 읽다 보니 예전에 정리했던 다음의 아티클이 생각나더군요.

Debug Features : 4. .NET 예외 처리 정리 
; https://www.sysnet.pe.kr/2/0/316

위의 글에 "ASP.NET"에서의 예외를 소개하는 부분을 보면, "Request 처리 스레드" 이외의 스레드에서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로그에 변변한 내용이 남지 않는 다면서 실었던 바로 그 로그 내용이 "Watson Bucket" 정보였던 것입니다.

이렇고 알고 나니,,, 위와 같은 말은 실수였다는 느낌이 드는군요. ^^ 왜냐하면, P4 버킷 정보에서 해당 모듈 이름을 알수 있고, P9에서 예외 타입, P8에서 예외가 발생한 IL Offset을 알 수 있으니까요. 이 정도 정보면 충분히 예외가 발생한 코드를 추적을 할 수 있습니다.

재현을 해보는 의미에서 ^^ 다음과 같은 페이지를 포함하는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namespace WebApplication1
{
    public partial class _Default : System.Web.UI.Page
    {
        protected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ThreadPool.QueueUserWorkItem((WaitCallback)myFunc);
        }

        public void myFunc(object state)
        {
            throw new ApplicationException("TEST");
        }
    }
}

IIS에서 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은 로그가 남게 됩니다.

Event Type: Error
Event Source:   .NET Runtime 2.0 Error Reporting
Event Category: None
Event ID:   5000
Date:       9/30/2008
Time:       11:24:23 PM
User:       N/A
Computer:   TestMachine
Description:
EventType clr20r3, P1 w3wp.exe, P2 6.0.3790.3959, P3 45d6968e, P4 webapplication1, 
P5 1.0.0.0, P6 48e23023, P7 2, P8 b, P9 system.applicationexception, P10 NIL.

For more information, see Help and Support Center at http://go.microsoft.com/fwlink/events.asp.
Data:
0000: 63 00 6c 00 72 00 32 00   c.l.r.2.
0008: 30 00 72 00 33 00 2c 00   0.r.3.,.
0010: 20 00 77 00 33 00 77 00    .w.3.w.
;
[중간 생략]
;
00e8: 4c 00 0d 00 0a 00         L.....  

위의 로그로부터 얻게 되는 정보들을 차례대로 나열해 볼까요!

P1 (AppName) : w3wp.exe
P2 (AppVer) : 6.0.3790.3959
P3 (AppStamp) : 45d6968e
P4 (AsmAndModName): webapplication1
P5 (AsmVer) : 1.0.0.0
P6 (ModStamp) : 48e23023
P7 (MethodDef) : 2
P8 (Offset): b
P9 (ExceptionType): system.applicationexception

자, 그럼, 모듈명은 webapplication1이라는 것을 알았으니, 그 다음으로 어느 메서드에서 예외가 발생했는지를 추적해야죠. 아하... P7 버킷 정보에 MethodDef가 포함되어 있군요. 이에 해당하는 메서드가 어느 것인지 알기 위해서는 "webapplication1" 모듈을 "ILDASM.EXE"로 로드한 후에 "Control + M" 키를 눌러서 P7에 표시된 MethodDef 번호와 일치하는 메서드를 찾아내면 됩니다.

[그림: ILDASM.exe를 이용하여 MethodDef에 해당하는 메서드 확인]
watson_bucket_methoddef_1.png

메서드 명이 "myFunc"이군요. 다시, 계속해서 ILDASM.exe에서 "myFunc"의 IL 코드를 아래와 같이 확인해 보겠습니다.

[그림: myFunc 메서드의 IL 코드를 확인]
watson_bucket_methoddef_2.png

그럼, 게임 끝이군요. ^^ P8 Offset 값이 "b"였으니까, "IL_000b" 라인의 throw에서 예외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08-15 10시40분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 (2)
; http://www.sysnet.pe.kr/2/0/1096
정성태
2019-11-11 04시52분
Watson bucket
; https://en.wikipedia.org/wiki/Windows_Error_Reporting

P1: Application Name,
P2: Application Version,
P3: Application Build Date,
P4: Module Name,
P5: Module Version,
P6: Module Build Date,
P7: OS Exception Code[8][9]/System Error Code,[10][11]
P8: and Module Code Offset.
정성태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075정성태10/20/201621004Windows: 127. Convert-WindowsImage.ps1 사용 방법 정리
11074정성태10/20/201629311Windows: 126. Windows Server 2016 평가판을 정식 버전으로 라이선스 변경하는 방법
11073정성태10/20/201625350.NET Framework: 613. 윈도우 데스크톱 응용 프로그램(예: Console)에서 알림 메시지(Toast notifications) 띄우기 [1]파일 다운로드1
11072정성태10/20/201621884VC++: 102. 새로 추가한 ATL COM 객체가 regsvr32.exe로 등록이 안 되는 문제
11071정성태10/20/201625413.NET Framework: 612. UWP(유니버설 윈도우 플랫폼) 앱에서 콜백 함수 내에서의 UI 요소 접근 방법 [1]
11070정성태10/20/201619624Windows: 125. 윈도우 서버 2016 마이그레이션
11069정성태10/19/201627343.NET Framework: 611. C++ 개발자들을 위한 C# Thread 동작 방식 [2]
11068정성태10/19/201630535Windows: 124.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5) - TSC(Time Stamp Counter)와 QueryPerformanceCounter [12]파일 다운로드1
11067정성태10/18/201626857Windows: 123.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4) - RTC, TSC, PM Clock, HPET Timer [2]
11066정성태10/17/201624504Windows: 122.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3) - QueryInterruptTimePrecise, QueryInterruptTime 함수파일 다운로드1
11065정성태10/15/201629942Windows: 121.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2) - Sleep 함수의 동작 방식 [1]
11064정성태10/14/201621633.NET Framework: 610. C# - WaitOnAddress Win32 API 사용파일 다운로드1
11063정성태10/14/201637749Windows: 120.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1) - GetTickCount와 timeGetTime의 차이점 [5]파일 다운로드1
11062정성태10/12/201618359오류 유형: 361. WCF .svc 호출 시 Could not find a base address that matches scheme net.tcp 예외
11061정성태10/12/201630478오류 유형: 360. IIS - 500.19 오류 (0x80070021)
11060정성태10/12/201622950오류 유형: 359. WCF - .svc 요청시 404 Not Found
11059정성태10/11/201627216.NET Framework: 609. WPF - 다중 스레드 환경에서 데이터 바인딩의 INotifyPropertyChanged.PropertyChanged에 대한 배려 [1]파일 다운로드1
11058정성태10/8/201622537개발 환경 구성: 303. Windows 10 Bash Shell - 한글 환경을 영문으로 바꾸고 싶다면?
11057정성태10/8/201617932오류 유형: 358. Windows 10 bash shell - sudo: unable to resolve host ...
11056정성태10/8/201620794개발 환경 구성: 302. Windows 10 bash shell 시작 시 [...] packages can be updated.
11055정성태10/8/201621843.NET Framework: 608. double 값을 구할 때는 반드시 피연산자를 double로 형변환! [6]
11054정성태10/5/201625864개발 환경 구성: 301. "Let's Encrypt" SSL 인증서를 Azure Cloud Services(classic)에 업데이트하는 방법
11053정성태10/5/201620559.NET Framework: 607. C# try/catch/finally의 IL 코드 표현
11052정성태9/27/201634708개발 환경 구성: 300.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7]파일 다운로드1
11051정성태9/25/201621886개발 환경 구성: 299. docker - c:\programdata\docker\windowsfilter 폴더 정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050정성태9/24/201626636VC++: 101. 반올림하지 않고 double 변수 값 출력하는 방법 [3]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