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9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1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 https://www.sysnet.pe.kr/2/0/316

디버깅 기술: 15. First-Chance Exception
; https://www.sysnet.pe.kr/2/0/510

디버깅 기술: 16.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 https://www.sysnet.pe.kr/2/0/595

.NET Framework: 110. WPF - 전역 예외 처리
; https://www.sysnet.pe.kr/2/0/614

디버깅 기술: 31. Windbg - Visual Studio 디버그 상태에서 종료해 버리는 응용 프로그램
; https://www.sysnet.pe.kr/2/0/957

디버깅 기술: 42.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 (2)
; https://www.sysnet.pe.kr/2/0/1096

.NET Framework: 534. ASP.NET 응용 프로그램이 예외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면?
; https://www.sysnet.pe.kr/2/0/10863

디버깅 기술: 110. 비동기 코드 실행 중 예외로 인한 ASP.NET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1383

디버깅 기술: 119. windbg 분석 사례 - 종료자(Finalizer)에서 예외가 발생한 경우 비정상 종료(Crash)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1732

닷넷: 2148. C# - async 유무에 따른 awaitable 메서드의 병렬 및 예외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3422

닷넷: 2213. ASP.NET/Core 웹 응용 프로그램 - 2차 스레드의 예외로 인한 비정상 종료
; https://www.sysnet.pe.kr/2/0/13551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개인적으로, Watson 오류 로그와는 그다지 친숙하지 않아서, Watson Bucket 정보라는 것을 알지는 못했습니다. 운이 좋게도 ^^ MSDN Magazine 2008년 9월 호에 나온 "CLR Inside Out - CLR에서 처리되지 않은 예외 처리"와 같은 좋은 글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 글을 읽다 보니 예전에 정리했던 다음의 아티클이 생각나더군요.

Debug Features : 4. .NET 예외 처리 정리 
; https://www.sysnet.pe.kr/2/0/316

위의 글에 "ASP.NET"에서의 예외를 소개하는 부분을 보면, "Request 처리 스레드" 이외의 스레드에서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로그에 변변한 내용이 남지 않는 다면서 실었던 바로 그 로그 내용이 "Watson Bucket" 정보였던 것입니다.

이렇고 알고 나니,,, 위와 같은 말은 실수였다는 느낌이 드는군요. ^^ 왜냐하면, P4 버킷 정보에서 해당 모듈 이름을 알수 있고, P9에서 예외 타입, P8에서 예외가 발생한 IL Offset을 알 수 있으니까요. 이 정도 정보면 충분히 예외가 발생한 코드를 추적을 할 수 있습니다.

재현을 해보는 의미에서 ^^ 다음과 같은 페이지를 포함하는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namespace WebApplication1
{
    public partial class _Default : System.Web.UI.Page
    {
        protected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ThreadPool.QueueUserWorkItem((WaitCallback)myFunc);
        }

        public void myFunc(object state)
        {
            throw new ApplicationException("TEST");
        }
    }
}

IIS에서 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은 로그가 남게 됩니다.

Event Type: Error
Event Source:   .NET Runtime 2.0 Error Reporting
Event Category: None
Event ID:   5000
Date:       9/30/2008
Time:       11:24:23 PM
User:       N/A
Computer:   TestMachine
Description:
EventType clr20r3, P1 w3wp.exe, P2 6.0.3790.3959, P3 45d6968e, P4 webapplication1, 
P5 1.0.0.0, P6 48e23023, P7 2, P8 b, P9 system.applicationexception, P10 NIL.

For more information, see Help and Support Center at http://go.microsoft.com/fwlink/events.asp.
Data:
0000: 63 00 6c 00 72 00 32 00   c.l.r.2.
0008: 30 00 72 00 33 00 2c 00   0.r.3.,.
0010: 20 00 77 00 33 00 77 00    .w.3.w.
;
[중간 생략]
;
00e8: 4c 00 0d 00 0a 00         L.....  

위의 로그로부터 얻게 되는 정보들을 차례대로 나열해 볼까요!

P1 (AppName) : w3wp.exe
P2 (AppVer) : 6.0.3790.3959
P3 (AppStamp) : 45d6968e
P4 (AsmAndModName): webapplication1
P5 (AsmVer) : 1.0.0.0
P6 (ModStamp) : 48e23023
P7 (MethodDef) : 2
P8 (Offset): b
P9 (ExceptionType): system.applicationexception

자, 그럼, 모듈명은 webapplication1이라는 것을 알았으니, 그 다음으로 어느 메서드에서 예외가 발생했는지를 추적해야죠. 아하... P7 버킷 정보에 MethodDef가 포함되어 있군요. 이에 해당하는 메서드가 어느 것인지 알기 위해서는 "webapplication1" 모듈을 "ILDASM.EXE"로 로드한 후에 "Control + M" 키를 눌러서 P7에 표시된 MethodDef 번호와 일치하는 메서드를 찾아내면 됩니다.

[그림: ILDASM.exe를 이용하여 MethodDef에 해당하는 메서드 확인]
watson_bucket_methoddef_1.png

메서드 명이 "myFunc"이군요. 다시, 계속해서 ILDASM.exe에서 "myFunc"의 IL 코드를 아래와 같이 확인해 보겠습니다.

[그림: myFunc 메서드의 IL 코드를 확인]
watson_bucket_methoddef_2.png

그럼, 게임 끝이군요. ^^ P8 Offset 값이 "b"였으니까, "IL_000b" 라인의 throw에서 예외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08-15 10시40분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 (2)
; http://www.sysnet.pe.kr/2/0/1096
정성태
2019-11-11 04시52분
Watson bucket
; https://en.wikipedia.org/wiki/Windows_Error_Reporting

P1: Application Name,
P2: Application Version,
P3: Application Build Date,
P4: Module Name,
P5: Module Version,
P6: Module Build Date,
P7: OS Exception Code[8][9]/System Error Code,[10][11]
P8: and Module Code Offset.
정성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79정성태12/27/200626440개발 환경 구성: 3. VS.NET 원격 디버깅 [1]
280정성태6/12/20062597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1. VS.NET 2003 원격 디버깅 설정
281정성태8/11/200627444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2. VS.NET 2005 원격 디버깅 설정
315정성태8/11/200628117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3. VS.NET 2005 원격 디버깅 설정 - ASP.NET F5 디버깅
278정성태6/11/200624656오류 유형: 8. [Outlook] 0x8004011D 에러 - "Exchange over the Internet" 환경
276정성태6/7/200618209Team Foundation Server: 7. 외부 빌드 머신 구성
287정성태6/24/200615796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7.1. 외부 빌드 머신 구성 - 다른 블로그 자료
275정성태6/7/200623635디버깅 기술: 4. VC++ 8.0 원격 디버깅 구성 - Side-by-Side DLL 문제.
269정성태6/6/200620861Team Foundation Server: 6.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70정성태6/5/200617798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6.1.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73정성태6/6/200620522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6.2. 두번째 방법 - HTTPS 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67정성태6/4/200619840Team Foundation Server: 5. 인터넷으로 Team Server 접근 [2]
266정성태6/8/200616463오류 유형: 7. [설치] mpoai9.dll 관련 오류
265정성태6/1/200624172디버깅 기술: 3. 원격 컴퓨터 디버깅 - VPC 설정
314정성태8/11/200621199    답변글 디버깅 기술: 3.1. Managed 원격 디버깅과 WinDBG 원격 디버깅
264정성태6/1/200630271오류 유형: 6. [VC++ 컴파일] already defined in ntdll.lib(ntdll.dll)
263정성태6/1/200631258디버깅 기술: 2. 커널 구조체 살펴보기 [5]
262정성태6/1/200623551오류 유형: 5. [설치] WinFX Beta2 - 설치시 문제점 해결
261정성태6/1/200620032웹: 3. IIS 6.0 - AppPool을 활용하여 실 서버(운영 서버)에서 디버깅
258정성태6/1/200627946디버깅 기술: 1. 디버깅 방법 - CLR 프로파일러 [1]파일 다운로드1
274정성태6/7/200620862    답변글 디버깅 기술: 1.1. 디버깅 방법 - CLR 프로파일러 ( on Vista )
254정성태6/1/200617382개발 환경 구성: 2. VPC에 Vista 설치하는 방법 [2]
255정성태6/1/20061705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2.1. msconfig 설정과 Windows Activation
259정성태6/1/200616162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2.2. Vista VPC에 터미널 서비스 - 원격 접속
253정성태6/1/200614536기타: 14. .NET 2.0 이 지원되는 NDoc 2.0 을 배포합니다.
251정성태6/1/200617504오류 유형: 4. [OS 지원 API] SHParseDisplayName과 Windows 2000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