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0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1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 https://www.sysnet.pe.kr/2/0/316

디버깅 기술: 15. First-Chance Exception
; https://www.sysnet.pe.kr/2/0/510

디버깅 기술: 16.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 https://www.sysnet.pe.kr/2/0/595

.NET Framework: 110. WPF - 전역 예외 처리
; https://www.sysnet.pe.kr/2/0/614

디버깅 기술: 42.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 (2)
; https://www.sysnet.pe.kr/2/0/1096

.NET Framework: 534. ASP.NET 응용 프로그램이 예외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면?
; https://www.sysnet.pe.kr/2/0/10863

.NET Framework: 538. Thread.Abort로 인해 프로세스가 종료되는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0867

디버깅 기술: 110. 비동기 코드 실행 중 예외로 인한 ASP.NET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1383

디버깅 기술: 119. windbg 분석 사례 - 종료자(Finalizer)에서 예외가 발생한 경우 비정상 종료(Crash)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1732

닷넷: 2148. C# - async 유무에 따른 awaitable 메서드의 병렬 및 예외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3422

닷넷: 2213. ASP.NET/Core 웹 응용 프로그램 - 2차 스레드의 예외로 인한 비정상 종료
; https://www.sysnet.pe.kr/2/0/13551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개인적으로, Watson 오류 로그와는 그다지 친숙하지 않아서, Watson Bucket 정보라는 것을 알지는 못했습니다. 운이 좋게도 ^^ MSDN Magazine 2008년 9월 호에 나온 "CLR Inside Out - CLR에서 처리되지 않은 예외 처리"와 같은 좋은 글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 글을 읽다 보니 예전에 정리했던 다음의 아티클이 생각나더군요.

Debug Features : 4. .NET 예외 처리 정리 
; https://www.sysnet.pe.kr/2/0/316

위의 글에 "ASP.NET"에서의 예외를 소개하는 부분을 보면, "Request 처리 스레드" 이외의 스레드에서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로그에 변변한 내용이 남지 않는 다면서 실었던 바로 그 로그 내용이 "Watson Bucket" 정보였던 것입니다.

이렇고 알고 나니,,, 위와 같은 말은 실수였다는 느낌이 드는군요. ^^ 왜냐하면, P4 버킷 정보에서 해당 모듈 이름을 알수 있고, P9에서 예외 타입, P8에서 예외가 발생한 IL Offset을 알 수 있으니까요. 이 정도 정보면 충분히 예외가 발생한 코드를 추적을 할 수 있습니다.

재현을 해보는 의미에서 ^^ 다음과 같은 페이지를 포함하는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namespace WebApplication1
{
    public partial class _Default : System.Web.UI.Page
    {
        protected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ThreadPool.QueueUserWorkItem((WaitCallback)myFunc);
        }

        public void myFunc(object state)
        {
            throw new ApplicationException("TEST");
        }
    }
}

IIS에서 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은 로그가 남게 됩니다.

Event Type: Error
Event Source:   .NET Runtime 2.0 Error Reporting
Event Category: None
Event ID:   5000
Date:       9/30/2008
Time:       11:24:23 PM
User:       N/A
Computer:   TestMachine
Description:
EventType clr20r3, P1 w3wp.exe, P2 6.0.3790.3959, P3 45d6968e, P4 webapplication1, 
P5 1.0.0.0, P6 48e23023, P7 2, P8 b, P9 system.applicationexception, P10 NIL.

For more information, see Help and Support Center at http://go.microsoft.com/fwlink/events.asp.
Data:
0000: 63 00 6c 00 72 00 32 00   c.l.r.2.
0008: 30 00 72 00 33 00 2c 00   0.r.3.,.
0010: 20 00 77 00 33 00 77 00    .w.3.w.
;
[중간 생략]
;
00e8: 4c 00 0d 00 0a 00         L.....  

위의 로그로부터 얻게 되는 정보들을 차례대로 나열해 볼까요!

P1 (AppName) : w3wp.exe
P2 (AppVer) : 6.0.3790.3959
P3 (AppStamp) : 45d6968e
P4 (AsmAndModName): webapplication1
P5 (AsmVer) : 1.0.0.0
P6 (ModStamp) : 48e23023
P7 (MethodDef) : 2
P8 (Offset): b
P9 (ExceptionType): system.applicationexception

자, 그럼, 모듈명은 webapplication1이라는 것을 알았으니, 그 다음으로 어느 메서드에서 예외가 발생했는지를 추적해야죠. 아하... P7 버킷 정보에 MethodDef가 포함되어 있군요. 이에 해당하는 메서드가 어느 것인지 알기 위해서는 "webapplication1" 모듈을 "ILDASM.EXE"로 로드한 후에 "Control + M" 키를 눌러서 P7에 표시된 MethodDef 번호와 일치하는 메서드를 찾아내면 됩니다.

[그림: ILDASM.exe를 이용하여 MethodDef에 해당하는 메서드 확인]
watson_bucket_methoddef_1.png

메서드 명이 "myFunc"이군요. 다시, 계속해서 ILDASM.exe에서 "myFunc"의 IL 코드를 아래와 같이 확인해 보겠습니다.

[그림: myFunc 메서드의 IL 코드를 확인]
watson_bucket_methoddef_2.png

그럼, 게임 끝이군요. ^^ P8 Offset 값이 "b"였으니까, "IL_000b" 라인의 throw에서 예외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08-15 10시40분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 (2)
; http://www.sysnet.pe.kr/2/0/1096
정성태
2019-11-11 04시52분
Watson bucket
; https://en.wikipedia.org/wiki/Windows_Error_Reporting

P1: Application Name,
P2: Application Version,
P3: Application Build Date,
P4: Module Name,
P5: Module Version,
P6: Module Build Date,
P7: OS Exception Code[8][9]/System Error Code,[10][11]
P8: and Module Code Offset.
정성태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21정성태5/1/202110481.NET Framework: 1053. C# - 특정 레지스트리 변경 시 알림을 받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620정성태4/29/202112416.NET Framework: 1052. C# - 왜 구조체는 16 바이트의 크기가 적합한가? [1]파일 다운로드1
12619정성태4/28/202112930.NET Framework: 1051. C# - 구조체의 크기가 16바이트가 넘어가면 힙에 할당된다? [2]파일 다운로드1
12618정성태4/27/202111385사물인터넷: 58. NodeMCU v1 ESP8266 CP2102 Module을 이용한 WiFi UDP 통신 [1]파일 다운로드1
12617정성태4/26/20219205.NET Framework: 1050. C# - ETW EventListener의 Keywords별 EventId에 따른 필터링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16정성태4/26/20219054.NET Framework: 1049. C# - ETW EventListener를 상속받았을 때 초기화 순서파일 다운로드1
12615정성태4/26/20217088오류 유형: 712. Microsoft Live 로그인 - 계정을 선택하는(Pick an account) 화면에서 진행이 안 되는 문제
12614정성태4/24/20219931개발 환경 구성: 570. C# - Azure AD 인증을 지원하는 ASP.NET Core/5+ 웹 애플리케이션 예제 구성 [4]파일 다운로드1
12613정성태4/23/20218992.NET Framework: 1048. C# - ETW 이벤트의 Keywords에 속한 EventId 구하는 방법 (2) 관리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612정성태4/23/20219119.NET Framework: 1047. C# - ETW 이벤트의 Keywords에 속한 EventId 구하는 방법 (1) PInvoke파일 다운로드1
12611정성태4/22/20218377오류 유형: 711. 닷넷 EXE 실행 오류 - Mixed mode assembly is build against version 'v2.0.50727' of the runtime
12610정성태4/22/20218272.NET Framework: 1046. C# - 컴파일 시점에 참조할 수 없는 타입을 포함한 이벤트 핸들러를 Reflection을 이용해 구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9정성태4/22/20219695.NET Framework: 1045. C# - 런타임 시점에 이벤트 핸들러를 만들어 Reflection을 이용해 구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8정성태4/21/202110567.NET Framework: 1044. C# - Generic Host를 이용해 .NET 5로 리눅스 daemon 프로그램 만드는 방법 [9]파일 다운로드1
12607정성태4/21/20219073.NET Framework: 1043. C# - 실행 시점에 동적으로 Delegate 타입을 만드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6정성태4/21/202113219.NET Framework: 1042. C# - enum 값을 int로 암시적(implicit) 형변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605정성태4/18/20219130.NET Framework: 1041. C# - AssemblyID, ModuleID를 관리 코드에서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4정성태4/18/20217708VS.NET IDE: 163. 비주얼 스튜디오 속성 창의 "Build(빌드)" / "Configuration(구성)"에서의 "활성" 의미
12603정성태4/16/20218599VS.NET IDE: 162. 비주얼 스튜디오 - 상속받은 컨트롤이 디자인 창에서 지원되지 않는 문제
12602정성태4/16/20219807VS.NET IDE: 161.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1]
12601정성태4/15/20218871.NET Framework: 1040. C# - REST API 대신 github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12600정성태4/15/20219047.NET Framework: 1039. C# - Kubeconfig의 token 설정 및 인증서 구성을 자동화하는 프로그램
12599정성태4/14/20219790.NET Framework: 1038. C# - 인증서 및 키 파일로부터 pfx/p12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598정성태4/14/20219906.NET Framework: 1037. openssl의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597정성태4/13/20219971개발 환경 구성: 569. csproj의 내용을 공통 설정할 수 있는 Directory.Build.targets / Directory.Build.props 파일
12596정성태4/12/20219701개발 환경 구성: 568. Windows의 80 포트 점유를 해제하는 방법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