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Team Foundation Server: 27. TeamBuild + VDPROJ 셋업 프로젝트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603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TeamBuild + VDPROJ 셋업 프로젝트


혹시, Team Build에 vdproj 셋업 프로젝트를 엮어 보셨나요?
오늘 문득, 테스트 프로젝트를 만들다가 거기까지 가버려서 ^^; 저도 오늘 처음 해본 것이었습니다.

셋업 프로젝트를 팀 빌드에 연계하는 것은 이미 다음의 문서에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Visual Studio Team System
Walkthrough: Configuring Team Build to Build a Visual Studio Setup Project
;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ms404859.aspx

아쉽게도, 아직 vdproj는 MSBuild에서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devenv.exe를 이용해서 빌드해야 합니다. Visual C++ 프로젝트는 VS.NET 2010에서 MSBuild가 지원된다고 하는데, 아무래도 vdproj는 그럴 것 같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WiX(Windows Installer XML) toolset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물론, 정책이야 바뀔지도 모르지만.)

아무튼, 그래서 실제로 위의 문서대로 빌드를 해보면 "정상적인" vdproj는 빌드 시 오류가 발생합니다. 다음과 같이!

Task "Exec"
  Command: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 9.0\Common7\IDE\devenv.exe" "C:\TeamBuild\TestSetup.vdproj" /Build "Release"
  
  Microsoft (R) Visual Studio Version 9.0.21022.8.
  Copyright (C) Microsoft Corp. All rights reserved.
  ------ Starting pre-build validation for project 'TestSetup' ------ 
EXEC : error : Cannot find outputs of project output group '(unable to determine name)'.  Either the group, its configuration, or its project may have been removed from the solution.
EXEC : error : Cannot find outputs of project output group '(unable to determine name)'.  Either the group, its configuration, or its project may have been removed from the solution.
  ------ Pre-build validation for project 'TestSetup' completed ------
  ------ Build started: Project: TestSetup, Configuration: Release ------
  ========== Build: 0 succeeded or up-to-date, 1 failed, 0 skipped ==========
  

보시는 것처럼, "EXEC : error : Cannot find outputs of project output group"과 같은 오류 메시지가 출력이 됩니다. 아쉽군요. ^^;

원인은 간단합니다. vdproj 파일은 대개 설정이 아래의 그림과 같이 다른 프로젝트의 "Output"을 받도록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림 1: 출력 결과를 받도록 지정된 셋업 프로젝트]
vdproj_teambuild_after_drop_1.PNG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Output이 솔루션 문맥 안에서 빌드될 때 유효하다는 것입니다. 일례로, 시험삼아 솔루션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어서 그 안에 vdproj 솔루션을 추가해 보면 그 이유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에 보면, "Error List" 창에 출력된 설명이 위의 빌드 오류에서 만난 것과 동일하지요.

[그림 2: 출력 결과를 알 수 없는 셋업 프로젝트]
vdproj_teambuild_after_drop_2.PNG

이런 이유 때문에, vdproj는 솔루션 파일이 같이 지정되어 빌드되어야 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아티클에서 간단하게 설명되어지고 있습니다.

MS Team Foundation Server / Team Build (Part 2) 
; http://myramserialize.blogspot.com/2008/04/ms-team-foundation-server-team-build_08.html

일단, 위의 방법으로 문제는 해결되지만... 문제 아닌 문제가 발생합니다. 바로 팀 빌드시에 빌드가 2번 된다는 것입니다. 원래의 Team Build로 인해 빌드가 한번 되고, vdproj를 빌드하기 위해 *.sln 파일을 지정하는 것 때문에 한 번 더 빌드가 됩니다. 음... 별로 마음에 들지 않지요? ^^;

그래서, 저 같은 경우에는 이렇게 결론을 맺었습니다.

셋업 프로젝트 빌드를 위해 별도의 빌드 옵션을 만들고, 그 옵션에서는 셋업 프로젝트를 제외한 다른 모든 빌드를 해제한다. 그리고, 팀 빌드의 vdproj 빌드에서 바로 그 빌드 옵션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아래의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별도로 "BuildSetup"이라는 옵션을 추가하고 "ProcessControllerServiceSetup" / "ProcessControllerServiceSetup64" 2개의 vdproj를 제외하고는 빌드 옵션을 해제해 버렸습니다.

[그림 3: "BuildSetup" 옵션 추가]
vdproj_teambuild_after_drop_3.PNG

아래의 팀 빌드는, 바로 그렇게 추가된 "BuildSetup"을 지정하도록 변경된 것입니다.

<Target Name="AfterDropBuild">
    <!-- 32bit MSI setup -->
    <Exec Command="devenv &quot;$(SolutionRoot)\PublicTools.sln&quot; 
    /Build &quot;BuildSetup&quot; 
    /Project &quot;$(SolutionRoot)\ProcessControllerServiceSetup\ProcessControllerServiceSetup.vdproj&quot; 
    /ProjectConfig &quot;Release&quot;"/>

    <Copy SourceFiles="$(SolutionRoot)\ProcessControllerServiceSetup\Release\ProcessControllerServiceSetup.msi;" DestinationFolder="$(OutDir)" />
</Target>

새롭게 BuildSetup 설정이 추가된 것은 별로 마음에 들지 않지만, 그래도 빌드 2번 하는 것보다야 나으니까.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5-01-08 01시18분
"Wax keeps your candle burning" (You'll get that if you know WiX)
; http://coolthingoftheday.blogspot.com/2015/01/keeps-your-candle-burning-you-get-that.html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08정성태11/9/20248348오류 유형: 932. Linux - 커널 업그레이드 후 "error: bad shim signature" 오류 발생
13807정성태11/9/20246369Linux: 102. Linux - 커널 이미지 파일 서명 (Ubuntu 환경)
13806정성태11/8/20246644Windows: 270. 어댑터 상세 정보(Network Connection Details) 창의 내용이 비어 있는 경우
13805정성태11/8/20246125오류 유형: 931. Active Directory의 adprep 또는 복제가 안 되는 경우
13804정성태11/7/20248392Linux: 101. eBPF 함수의 인자를 다루는 방법
13803정성태11/7/20247811닷넷: 2309. C# - .NET Core에서 바뀐 DateTime.Ticks의 정밀도
13802정성태11/6/20248174Windows: 269. GetSystemTimeAsFileTime과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801정성태11/5/20248006Linux: 100. eBPF의 2가지 방식 - libbcc와 libbpf(CO-RE)
13800정성태11/3/20249037닷넷: 2308. C# - ICU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문자열의 대소문자 변환 [2]파일 다운로드1
13799정성태11/2/20246312개발 환경 구성: 732.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 유니코드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13798정성태11/2/20248660개발 환경 구성: 731. 유니코드 - 출력 예시 및 폰트 찾기
13797정성태11/1/20248681C/C++: 185. C++ -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transform + std::tolower/toupper 방식의 문제점파일 다운로드1
13796정성태10/31/20247955C/C++: 184. C++ - ICU dll을 이용하는 예제 코드 (Windows)파일 다운로드1
13795정성태10/31/20247111Windows: 268. Windows - 리눅스 환경처럼 공백으로 끝나는 프롬프트 만들기
13794정성태10/30/20247234닷넷: 2307.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3정성태10/28/20247197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2정성태10/27/20246417Linux: 99. Linux - 프로세스의 실행 파일 경로 확인
13791정성태10/27/20246826Windows: 267. Win32 API의 A(ANSI) 버전은 DBCS를 사용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3790정성태10/27/20246253Linux: 98. Ubuntu 22.04 - 리눅스 커널 빌드 및 업그레이드
13789정성태10/27/20247461Linux: 97. menuconfig에 CONFIG_DEBUG_INFO_BTF,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옵션이 없는 경우
13788정성태10/26/20245836Linux: 96. eBPF (bpf2go) - fentry, fexit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7정성태10/26/20247825개발 환경 구성: 730. github - Linux 커널 repo를 윈도우 환경에서 git clone하는 방법 [1]
13786정성태10/26/20247313Windows: 266. Windows - 대소문자 구분이 가능한 파일 시스템
13785정성태10/23/20246467C/C++: 182. 윈도우가 운영하는 2개의 Code Page파일 다운로드1
13784정성태10/23/20247173Linux: 95. eBPF - kprobe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3정성태10/23/20246795Linux: 94. eBPF - vmlinux.h 헤더 포함하는 방법 (bpf2go에서 사용)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