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기타: 25. 가상 키보드 관련 정리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910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가상 키보드 관련 정리


가상 키보드라... 사실 이런 프로그램을 만들 일은 거의 없죠. 그래서 저도 그와 관련한 몇 가지 특징들은 아예 모르고 살고 있었는데요. 하다 보니 제법 재미있는 사항들이 몇 가지 눈에 띄어 정리해 봅니다.

1. 포커스를 어떻게 유지하는가?


개인적으로... 이 기능이야말로 가상 키보드의 구현 핵심(?)이 아닐까 싶은데요. 예를 들어, 입력 포커스가 텍스트 박스에 있는데, 가상 키보드가 구현된 윈도우의 영역을 클릭하게 되면 포커스는 이미 새롭게 활성화된 윈도우로 바뀌어 버리고 그 상태에서 키입력을 발생해 봤자 가상 키보드를 소유한 윈도우 자체가 받게 됩니다.

'혹시... 이전에 포커스를 가진 윈도우를 기억해 두었다가, 다시 활성화를 시키고 키 입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아닐까?'라고 생각했는데, 이미 이러한 입력 포커스 관련한 윈도우 메시지와 스타일이 잘 정의되어 있더군요.

윈도우 메시지를 통한 방식은, 하나의 EXE 프로세스 내에서 생성된 윈도우들 내에서만 유효한 방식인데 WM_MOUSEACTIVATE 메시지가 전송되어지면 이에 대해 MA_NOACTIVATE 값을 반환하는 방식입니다.

NO focus on Gui 
; http://www.autohotkey.com/forum/topic14522.html

다른 하나는, EXE들 간에서도 포커스를 갖지 않도록 하는 것인데, 이건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식으로는 안 되고 아예 해당 윈도우 자체를 생성할 때 라는 확장 윈도우 스타일을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Preventing "owner" Form from losing focus when showing another Form?
; http://social.msdn.microsoft.com/forums/en-US/winforms/thread/3f1c4191-38f4-4d15-a633-9f57cff289e4/

참고로, WPF의 경우에 제공되는 "UIElement.Focusable"은 또 다른 범위의 옵션을 제공하는데요. 이걸 사용하면 "단일 윈도우" 내에서의 포커스를 갖지 않게 됩니다.

2. WPF에서의 가상키 처리


이전의 System.Windows.Forms.Keys에서 제공되는 상수값들이 가상 키(Virtual Key) 코드값이었던 반면, WPF에서 제공되는 키 상수 열거 타입인 "System.Windows.Input.Key"는 애석하게도 가상 키 코드값이 아닙니다. 대신에 이 둘 사이의 변환을 해줄 수 있는 KeyInterop.VirtualKeyFromKey 메서드가 제공됩니다.

3. 문자에 대한 가상 키 코드값 구하기


예를 들어, 'a' 키에 대해 그에 대한 가상 키 값을 구하고 싶은 경우인데.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는 명시적으로 닷넷에서 제공되는 함수는 없고 Win32 API 중에 VkKeyScan 메서드를 P/Invoke로 호출해 줘야 합니다.

4. Virtual Key와 Scan 코드 값끼리의 변환


이것 역시 닷넷에서 제공되는 함수는 없고, Win32 API 중에 MapVirtualKey 메서드를 이용하여 상호 변환을 할 수 있습니다.

5. 특수 문자를 입력하려면?


특수 문자인 경우, 처리가 특정 code page에 종속되게 하고 싶지 않다면... 아마도 유일한 대안인 "unicode"를 사용하는 수밖에는 없지요. 우선, 자신이 사용하고 싶은 특수 문자가 유니코드로 어떤 값에서 표현되고 있는지 찾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사이트가 도움이 되겠지요.

Unicode Character Map
; http://www.bazon.net/mishoo/charmap/

가령, "θ"와 같은 문자는 0x3b8이란 코드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키 코드값을 Virtual Key로 변환할 필요 없이 바로 SendInput의 메서드에 전달해주어 처리할 수 있습니다.

KEYBOARDINPUT [] keyInput = new KEYBOARDINPUT[2]; // 누르는 동작과 떼는 동작을 표현하기 위해 배열은 2개

// 누르는 동작
keyInput[0].type = 1; // 1 == INPUT_KEYBOARD
keyInput[0].dwFlags = 0x04; // 0x04 : KEYEVENTF_UNICODE
keyInput[0].wScan = 0x3b8;

// 떼는 동작
keyInput[1].type = 1;
keyInput[1].dwFlags = 0x04 | 0x02; // 0x02 : KEYEVENTF_KEYUP
keyInput[1].wScan = 0x3b8;

SendInput(2, keyInput, 0x1c); // 0x1C : KEYBOARDINPUT 2개 요소의 크기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03-06 09시00분
Windows Input Simulator (C# SendInput Wrapper - Simulate Keyboard and Mouse)
; http://inputsimulator.codeplex.com/
정성태
2014-02-13 06시01분
When something gets added to a queue, it takes time for it to come out the front of the queue
; http://blogs.msdn.com/b/oldnewthing/archive/2014/02/13/10499047.aspx
정성태
2018-03-22 12시00분
C# INPUT Interop

        [StructLayout(LayoutKind.Explicit)]
        public struct INPUT
        {
            [FieldOffset(0)]
            public Int32 type;
#if _X64_
            [FieldOffset(8)] //*
            public MOUSEINPUT mi;
            [FieldOffset(8)] //*
            public KEYBDINPUT ki;
            [FieldOffset(8)] //*
            public HARDWAREINPUT hi;
#else
            [FieldOffset(4)] //*
            public MOUSEINPUT mi;
            [FieldOffset(4)] //*
            public KEYBDINPUT ki;
            [FieldOffset(4)] //*
            public HARDWAREINPUT hi;
#endif
        }
정성태
2019-05-15 09시11분
주제와는 다르지만, WPF의 경우 EventManager.RegisterClassHandler를 이용해 키보드 입력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Capture all Keyboard input, regardless of what control has focus
; https://social.msdn.microsoft.com/Forums/vstudio/ko-KR/cf884a91-c135-447d-b16b-214d2d9e9972/capture-all-keyboard-input-regardless-of-what-control-has-focus?forum=wpf

---------------------------------------------------------------
EventManager.RegisterClassHandler(typeof(Window), Keyboard.KeyUpEvent,new KeyEventHandler(keyUp), true);

private void keyUp(object sender, KeyEventArgs e)
{
      if(e.Key == Key.OemComma) MessageBox.Show("YAY!!!");
}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18정성태11/15/20245320Windows: 272. Windows 11 24H2 - sudo 추가
13817정성태11/14/20244952Linux: 106. eBPF / bpf2go - (BPF_MAP_TYPE_HASH) Map을 이용한 전역 변수 구현
13816정성태11/14/20245402닷넷: 2312. C#, C++ - Windows / Linux 환경의 Thread Name 설정파일 다운로드1
13815정성태11/13/20244838Linux: 105. eBPF - bpf2go에서 전역 변수 설정 방법
13814정성태11/13/20245299닷넷: 2311.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파일 다운로드1
13813정성태11/12/20245066닷넷: 2310. .NET의 Rune 타입과 emoji 표현파일 다운로드1
13812정성태11/11/20245285오류 유형: 933. Active Directory - The forest functional level is not supported.
13811정성태11/11/20244875Linux: 104. Linux - COLUMNS 환경변수가 언제나 80으로 설정되는 환경
13810정성태11/10/20245395Linux: 103. eBPF (bpf2go) - Tracepoint를 이용한 트레이스 (BPF_PROG_TYPE_TRACEPOINT)
13809정성태11/10/20245268Windows: 271. 윈도우 서버 2025 마이그레이션
13808정성태11/9/20245286오류 유형: 932. Linux - 커널 업그레이드 후 "error: bad shim signature" 오류 발생
13807정성태11/9/20244996Linux: 102. Linux - 커널 이미지 파일 서명 (Ubuntu 환경)
13806정성태11/8/20244931Windows: 270. 어댑터 상세 정보(Network Connection Details) 창의 내용이 비어 있는 경우
13805정성태11/8/20244764오류 유형: 931. Active Directory의 adprep 또는 복제가 안 되는 경우
13804정성태11/7/20245397Linux: 101. eBPF 함수의 인자를 다루는 방법
13803정성태11/7/20245341닷넷: 2309. C# - .NET Core에서 바뀐 DateTime.Ticks의 정밀도
13802정성태11/6/20245728Windows: 269. GetSystemTimeAsFileTime과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801정성태11/5/20245502Linux: 100. eBPF의 2가지 방식 - libbcc와 libbpf(CO-RE)
13800정성태11/3/20246355닷넷: 2308. C# - ICU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문자열의 대소문자 변환 [2]파일 다운로드1
13799정성태11/2/20244932개발 환경 구성: 732.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 유니코드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13798정성태11/2/20245534개발 환경 구성: 731. 유니코드 - 출력 예시 및 폰트 찾기
13797정성태11/1/20245518C/C++: 185. C++ -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transform + std::tolower/toupper 방식의 문제점파일 다운로드1
13796정성태10/31/20245398C/C++: 184. C++ - ICU dll을 이용하는 예제 코드 (Windows)파일 다운로드1
13795정성태10/31/20245182Windows: 268. Windows - 리눅스 환경처럼 공백으로 끝나는 프롬프트 만들기
13794정성태10/30/20245283닷넷: 2307.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3정성태10/28/20245151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