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S.NET IDE: 60. Output 경로에 매크로 상수 사용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332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0개 있습니다.)
VS.NET IDE: 60. Output 경로에 매크로 상수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688

개발 환경 구성: 91.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플랫폼(x86/x64)별 빌드
; https://www.sysnet.pe.kr/2/0/963

개발 환경 구성: 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
; https://www.sysnet.pe.kr/2/0/965

개발 환경 구성: 102. MSBuild - DefineConstants에 다중 전처리 값 설정
; https://www.sysnet.pe.kr/2/0/988

개발 환경 구성: 115. MSBuild - x86/x64, .NET 2/4, debug/release 빌드에 대한 배치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017

개발 환경 구성: 372. MSBuild - 빌드 전/후, 배포 전/후 실행하고 싶은 Task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1507

개발 환경 구성: 452. msbuild - csproj에 환경 변수 조건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1985

개발 환경 구성: 580. msbuild의 Exec Task에 robocopy를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16

개발 환경 구성: 693. msbuild - .NET Core/5+ 프로젝트에서 resgen을 이용한 리소스 파일 생성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1

닷넷: 2235. MSBuild - AccelerateBuildsInVisualStudio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3593





Output 경로에 매크로 상수 사용하는 방법


개인적으로, C# 프로젝트의 "Output" 지정에 매크로 상수를 지정하지 못하는 것이 아쉬운 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C/C++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그림 1]에서 보는 것처럼 기본적으로 매크로 상수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림 1: $(SolutionDir)와 같은 매크로 상수 지정]
howtouse_macro_in_output_path_1.png

그런데, C# 프로젝트에서는 이런 출력이 가능하지 않습니다. [그림 2]와 같은 지정이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그림 2: C# 프로젝트 속성에서 $(SolutionDir) 매크로 상수 지정]
howtouse_macro_in_output_path_2.png

빌드해 보면 알겠지만 [그림 2]와 같이 설정하는 경우 "$(SolutionDir)bin"라는 폴더 자체가 생성되어 그 안에 빌드된 어셈블리를 보관하게 됩니다. 분명히 원하는 바와는 거리가 멀죠.

이에 대한 해결책이 그다지 매끄럽지 않습니다.

C# project : setting output directory to solution dir
; http://social.technet.microsoft.com/Forums/en-US/msbuild/thread/b0eb3746-285f-4ec6-9658-154f427cdb80/

솔루션 탐색기에서 해당 프로젝트를 "Unload Project" 시킨 후, 편집기로 아래의 OutputPath 노드값을 직접 변경해 주어야 합니다. (참조: VS.NET 2008 - 다중 프로젝트에서 단일 SNK를 사용하는 방법)

<PropertyGroup Condition=" '$(Configuration)|$(Platform)' == 'Debug|AnyCPU' ">
    <DebugSymbols>true</DebugSymbols>
    <DebugType>full</DebugType>
    <Optimize>false</Optimize>
    <OutputPath>$(SolutionDir)bin\Debug\</OutputPath>
    <DefineConstants>DEBUG;TRACE</DefineConstants>
    <ErrorReport>prompt</ErrorReport>
    <WarningLevel>4</WarningLevel>
</PropertyGroup>
<PropertyGroup Condition=" '$(Configuration)|$(Platform)' == 'Release|AnyCPU' ">
    <DebugType>pdbonly</DebugType>
    <Optimize>true</Optimize>
    <OutputPath>$(SolutionDir)bin\Release\</OutputPath>
    <DefineConstants>TRACE</DefineConstants>
    <ErrorReport>prompt</ErrorReport>
    <WarningLevel>4</WarningLevel>
</PropertyGroup>

어찌 보면, 상대 경로를 이용해서 지정하면 더 편하다 싶겠지만, 매크로 상수를 이용하여 Output 경로를 지정해 주면 향후 프로젝트가 다른 폴더로 위치 변경이 되어도 이전과 똑같은 위치에 빌드 결과물을 출력해 주기 때문에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3-04-28 08시34분
Setting an Absolute Output Path for .NET SDK Projects
; https://weblog.west-wind.com/posts/2023/Apr/21/Setting-an-Absolute-Output-Path-for-NET-SDK-Projects

    <PropertyGroup>
       <OutputPath>$('AppData')\Markdown Monster\</OutputPath>
       <AppendTargetFrameworkToOutputPath>false</AppendTargetFrameworkToOutputPath>
    </PropertyGroup>

.NET 8 Preview 3: Simplified Output Path format for Builds
; https://danschnau.com/blog/net-8-artifacts-directory

    <PropertyGroup>
        <UseArtifactsOutput>true</UseArtifactsOutput>
    </PropertyGroup>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89정성태10/27/20249089Linux: 97. menuconfig에 CONFIG_DEBUG_INFO_BTF,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옵션이 없는 경우
13788정성태10/26/20247089Linux: 96. eBPF (bpf2go) - fentry, fexit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7정성태10/26/20249619개발 환경 구성: 730. github - Linux 커널 repo를 윈도우 환경에서 git clone하는 방법 [1]
13786정성태10/26/20248775Windows: 266. Windows - 대소문자 구분이 가능한 파일 시스템
13785정성태10/23/20247901C/C++: 182. 윈도우가 운영하는 2개의 Code Page [1]파일 다운로드1
13784정성태10/23/20248569Linux: 95. eBPF - kprobe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3정성태10/23/20248240Linux: 94. eBPF - vmlinux.h 헤더 포함하는 방법 (bpf2go에서 사용)
13782정성태10/23/20247574Linux: 93. Ubuntu 22.04 - 커널 이미지로부터 커널 함수 역어셈블
13781정성태10/22/20248377오류 유형: 930. WSL + eBPF: modprobe: FATAL: Module kheaders not found in directory
13780정성태10/22/202410019Linux: 92. WSL 2 - 커널 이미지로부터 커널 함수 역어셈블
13779정성태10/22/20247748개발 환경 구성: 729. WSL 2 - Mariner VM 커널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
13778정성태10/21/202410298C/C++: 181. C/C++ - 소스코드 파일의 인코딩, 바이너리 모듈 상태의 인코딩
13777정성태10/20/20248264Windows: 265. Win32 API의 W(유니코드) 버전은 UCS-2일까요? UTF-16 인코딩일까요?
13776정성태10/19/20249376C/C++: 180. C++ - 고수준 FILE I/O 함수에서의 Unicode stream 모드(_O_WTEXT, _O_U16TEXT, _O_U8TEXT)파일 다운로드1
13775정성태10/19/20249748개발 환경 구성: 728. 윈도우 환경의 개발자를 위한 UTF-8 환경 설정
13774정성태10/18/20248829Linux: 91. Container 환경에서 출력하는 eBPF bpf_get_current_pid_tgid의 pid가 존재하지 않는 이유
13773정성태10/18/20248278Linux: 90.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 docker-desktop
13772정성태10/17/20248745Linux: 89.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배포본의 계층 관계
13771정성태10/17/20248650Linux: 88. WSL 2 리눅스 배포본 내에서의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
13770정성태10/17/20249399Linux: 87. ps + grep 조합에서 grep 명령어를 사용한 프로세스를 출력에서 제거하는 방법
13769정성태10/15/202410804Linux: 86. Golang + bpf2go를 사용한 eBPF 기본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768정성태10/15/20249599C/C++: 179. C++ - _O_WTEXT, _O_U16TEXT, _O_U8TEXT의 Unicode stream 모드파일 다운로드2
13767정성태10/14/20247813오류 유형: 929. bpftrace 수행 시 "ERROR: Could not resolve symbol: /proc/self/exe:BEGIN_trigger"
13766정성태10/14/20246943C/C++: 178. C++ - 파일에 대한 Text 모드의 "translated" 동작파일 다운로드1
13765정성태10/12/20249306오류 유형: 928. go build 시 "package maps is not in GOROOT" 오류
13764정성태10/11/202410645Linux: 85. Ubuntu - 원하는 golang 버전 설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