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45. Unity Container 개체 풀이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732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Unity Container 개체 풀이


회사에서 ^^ 재미있는 이야기가 오고 갔습니다. 먼저, 아래의 글은 이 이야기를 처음으로 꺼낸 ^^ resisa 님이 쓴 것입니다.

Spring VS Unity Container 
; http://resisa.tistory.com/entry/Spring-VS-Unity-Container 

저 같은 경우에도 처음에 그동안의 경험적인 생각을 바탕으로 Unity 역시 "등록" 과정을 거쳐야만 하는 것으로 여겼습니다. 더군다나 CAG(Composite Application Guidance)를 하다보면 Module이란 개념이 나오는데 그를 다루는 ModuleCatalog에 등록된 어셈블리 내의 개체만이 Unity 컨테이너의 혜택을 본다고 생각했습니다.

실제로 ^^; 글을 그렇게 썼지요.

Unity 컨테이너 사용
; https://www.sysnet.pe.kr/2/0/697

위의 글에 보면, 타입을 등록하는 코드가 2군데 나오는데 IShell(Shell)과 DefaultStatusBar 개체입니다. 이를 "Spring VS Unity Container" 글에 따라 다시 정리해 보면, Shell 개체를 IShell과 엮어서 등록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DefaultStatusBar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요즘 진행하고 있는 CAG 응용 프로젝트에서도 초기에 이 사실을 몰라서 ^^; View와 ViewModel에 대해서 모두 등록하는 코드를 사용했었는데 나중에 알고 나서는 이런 코드를 싸악 정리해 버렸습니다.




Unity의 개체 풀이 과정은 사실 너무나 단순합니다. 예를 들어서, Unity를 다음과 같이 아주 간단하게 사용하는 프로젝트가 있다고 가정하면,

[그림 1: Unity 사용 예]
unity_type_resolve_1.png

보는 것처럼 container.Resolve에 넘어가는 Class1 타입은 Unity에 전혀 등록된 적이 없습니다. 기본부터 생각해보면 이는 너무나 당연합니다. Type 자체가 구체적으로(Concrete)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Type.Ctor(생성자) 정보를 알아내서 호출해주면 그만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Ctor 안에 있는 인자 및 Type 내에 정의된 공용 Property 중에서 Dependency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들은 Reflection으로 검사해서 역시 해당 타입을 넘겨주면 되고!

이 때문에, Unity가 타입 풀이를 할 수 있는 범위는 현재 메모리에 올라와 있는 어셈블리 전체를 대상으로 합니다.

실제 코드를 보면, Resolve에 넘겨진 Type 정보로부터 생성자 정보를 가져오는 과정을 아래와 같이 거쳐서,

private ConstructorInfo FindInjectionConstructor(Type typeToConstruct)
{
    ConstructorInfo[] injectionConstructors = Seq.Make(typeToConstruct.GetConstructors())
        .Where(delegate(ConstructorInfo ctor)
            {
                return ctor.IsDefined(
                    typeof(TInjectionConstructorMarkerAttribute),
                    true);
            })
        .ToArray();
   ;
   ;
}

그 외 부가적인 Policy 등의 연동을 최종적으로 결정해서 다음과 같이 동적으로 코드를 생성하는 결과물을 해당 타입에 대해서 만들어두고 재사용을 하게 됩니다.

[SuppressMessage("Microsoft.Design", "CA1062:ValidateArgumentsOfPublicMethods")]
public override void PreBuildUp(IBuilderContext context)
{
    Guard.ArgumentNotNull(context, "context");

    DynamicBuildPlanGenerationContext buildContext =
        (DynamicBuildPlanGenerationContext)context.Existing;

    IConstructorSelectorPolicy selector =
        context.Policies.Get<IConstructorSelectorPolicy>(context.BuildKey);

    SelectedConstructor selectedCtor = selector.SelectConstructor(context);
    // Method preamble - test if we have an existing object
    // First off, set up jump - if there's an existing object, skip us entirely
    Label existingObjectNotNull = buildContext.IL.DefineLabel();
    buildContext.EmitLoadExisting();
    
    ;
    ;
}




이것을 기반으로 생각하면, "Spring VS Unity Container" 글에서 설명한 몇몇 제약들이 이해가 갑니다.

  • 객체를 Singleton으로 사용하고 싶을 경우
  • IoC의 기능을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받을 때

우선, 첫 번째 경우는 명시적으로 등록되지 않은 타입에 대해서는 TransientLifetimePolicy를 기본값으로 적용하기 때문에 Singleton 방식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설명된 데로 ContainerControlledLifetimeManager를 이용하여 등록해 주어야 합니다. (만약 반대로 기본값을 ContainerControlledLifetimeManager로 주었다면 현실적으로 사용할 때 더 불편했겠지요.)

두 번째 경우도 역시 명백해지죠. Type에는 Ctor 정보가 있지만 Interface에는 Ctor 정보가 없기 때문에 타입 풀이가 안됩니다. 따라서, Interface와 함께 Type이 연결되어서 등록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6/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93정성태10/28/20245148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2정성태10/27/20244633Linux: 99. Linux - 프로세스의 실행 파일 경로 확인
13791정성태10/27/20244901Windows: 267. Win32 API의 A(ANSI) 버전은 DBCS를 사용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3790정성태10/27/20244621Linux: 98. Ubuntu 22.04 - 리눅스 커널 빌드 및 업그레이드
13789정성태10/27/20244912Linux: 97. menuconfig에 CONFIG_DEBUG_INFO_BTF,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옵션이 없는 경우
13788정성태10/26/20244458Linux: 96. eBPF (bpf2go) - fentry, fexit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7정성태10/26/20244968개발 환경 구성: 730. github - Linux 커널 repo를 윈도우 환경에서 git clone하는 방법 [1]
13786정성태10/26/20245217Windows: 266. Windows - 대소문자 구분이 가능한 파일 시스템
13785정성태10/23/20244984C/C++: 182. 윈도우가 운영하는 2개의 Code Page파일 다운로드1
13784정성태10/23/20245247Linux: 95. eBPF - kprobe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3정성태10/23/20244859Linux: 94. eBPF - vmlinux.h 헤더 포함하는 방법 (bpf2go에서 사용)
13782정성태10/23/20244620Linux: 93. Ubuntu 22.04 - 커널 이미지로부터 커널 함수 역어셈블
13781정성태10/22/20244800오류 유형: 930. WSL + eBPF: modprobe: FATAL: Module kheaders not found in directory
13780정성태10/22/20245549Linux: 92. WSL 2 - 커널 이미지로부터 커널 함수 역어셈블
13779정성태10/22/20244841개발 환경 구성: 729. WSL 2 - Mariner VM 커널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
13778정성태10/21/20245670C/C++: 181. C/C++ - 소스코드 파일의 인코딩, 바이너리 모듈 상태의 인코딩
13777정성태10/20/20244952Windows: 265. Win32 API의 W(유니코드) 버전은 UCS-2일까요? UTF-16 인코딩일까요?
13776정성태10/19/20245268C/C++: 180. C++ - 고수준 FILE I/O 함수에서의 Unicode stream 모드(_O_WTEXT, _O_U16TEXT, _O_U8TEXT)파일 다운로드1
13775정성태10/19/20245492개발 환경 구성: 728. 윈도우 환경의 개발자를 위한 UTF-8 환경 설정
13774정성태10/18/20245195Linux: 91. Container 환경에서 출력하는 eBPF bpf_get_current_pid_tgid의 pid가 존재하지 않는 이유
13773정성태10/18/20244883Linux: 90.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 docker-desktop
13772정성태10/17/20245159Linux: 89.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배포본의 계층 관계
13771정성태10/17/20245065Linux: 88. WSL 2 리눅스 배포본 내에서의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
13770정성태10/17/20245336Linux: 87. ps + grep 조합에서 grep 명령어를 사용한 프로세스를 출력에서 제거하는 방법
13769정성태10/15/20246114Linux: 86. Golang + bpf2go를 사용한 eBPF 기본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768정성태10/15/20245395C/C++: 179. C++ - _O_WTEXT, _O_U16TEXT, _O_U8TEXT의 Unicode stream 모드파일 다운로드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