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54. 이벤트 2중 구독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281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이벤트 2중 구독


심심치 않게 질문이 되는 것 중의 하나죠.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이벤트 구독을 할 때,

public Window1()
{
    InitializeComponent();

    this.Loaded += new RoutedEventHandler(Window_Loaded1);
    this.Loaded += new RoutedEventHandler(Window_Loaded1);
}

같은 이벤트 처리기에 대해서 2번 구독을 했는데요. 그렇다면 Window_Loaded1 메서드는 몇번 실행될까요? 당연히 ^^; 2번이죠. WPF같은 경우에는 Loaded 이벤트가 "탭 컨트롤"의 탭 선택 사이에서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 연산자를 통해서 기존 이벤트 구독을 한 번 해제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위의 것만 달랑 이야기하면 너무 ^^ 심심하니까!

관련해서 .NET 2.0부터 공부한 개발자들을 위해서 조금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볼까요.
자... 아래의 구문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설명해 보시겠어요!

public Window1()
{
    InitializeComponent();

    
    this.Loaded += new RoutedEventHandler(Window_Loaded1); // 1번
    this.Loaded += Window_Loaded1; // 2번
    
}

음...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답은, "없습니다."입니다.

이에 대한 설명은 C#의 초기 버전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합니다. 초기 C#은 모든 것을 delegate 구문으로 명시적인 지정을 해야 했습니다. 즉, 위의 구문에서는 1번과 같은 식으로 정의를 해야 했습니다. 그 후, C# 2.0인가부터는 구문에 대한 추론 기능이 포함되면서 타입(위에서는 Loaded에 대한 형식)으로 변환이 가능하다면 컴파일러가 자동적으로 필요한 구문을 넣어주게 된 것입니다. 실제로 위의 "2번" 구문은 컴파일러에 의해서 1번 구문으로 바뀐 후에 IL 코드로 변환됩니다.


L_0026: ldftn instance void WpfApplication1.Window1::Window_Loaded1(object, class [PresentationCore]System.Windows.RoutedEventArgs)
L_002c: newobj instance void [PresentationCore]System.Windows.RoutedEventHandler::.ctor(object, native int)
L_0031: call instance void [PresentationFramework]System.Windows.FrameworkElement::add_Loaded(class [PresentationCore]System.Windows.RoutedEventHandler)

L_0039: ldftn instance void WpfApplication1.Window1::Window_Loaded1(object, class [PresentationCore]System.Windows.RoutedEventArgs)
L_003f: newobj instance void [PresentationCore]System.Windows.RoutedEventHandler::.ctor(object, native int)
L_0044: call instance void [PresentationFramework]System.Windows.FrameworkElement::add_Loaded(class [PresentationCore]System.Windows.RoutedEventHandler)

이런 설명 끝에, 어떤 분이 질문하시기를. 그렇다면 -= 일 때는 어떻게 취급이 되며, 그 때에도 new 연산자가 사용된다면 이전에 생성한 new와 다른 개체일 텐데 그래도 정상적으로 해제가 되느냐... 는!

this.Loaded -= new RoutedEventHandler(Window_Loaded1);
this.Loaded -= Window_Loaded1;

잠시 생각해 보면,,, 질문할 필요도 없겠지요! 2가지 모두 역시 동일한 구문입니다. 그렇다면 new 연산자로 인해 달라지는 delegate 인스턴스는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요?

Equals 연산자가 override 가능한 메서드임을 생각해 보면 쉽게 풀리는 문제입니다. 즉, 개체의 "참조 주소"를 비교하는 기본 Equals 연산자를 사용하지 않고, delegate 대상이 되는 실제 메서드의 주소를 기준으로 Equals 연산자가 동작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System.Delegate 타입에는 InternalEqualTypes 라는 특별한 메서드가 존재합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0/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714정성태7/11/201422268VS.NET IDE: 92. Visual Studio 2013을 지원하는 IL Support 확장 도구
1713정성태7/11/201446107Windows: 98. 윈도우 시스템 디스크 용량 확보를 위한 "Package Cache" 폴더 이동 [1]
1712정성태7/10/201434963.NET Framework: 450. 영문 윈도우에서 C# 콘솔 프로그램의 유니코드 출력 방법 [3]
1711정성태7/10/201439698Windows: 97. cmd.exe 창에서 사용할 폰트를 추가하는 방법 [1]
1710정성태7/8/201432412개발 환경 구성: 230. 유니코드의 Surrogate Pair, Supplementary Characters가 뭘까요?파일 다운로드2
1709정성태7/8/201428896VS.NET IDE: 91. Visual Studio에서 32/64비트 IIS Express 실행하는 방법
1708정성태7/7/201426257VS.NET IDE: 90. Visual Studio - 사용자 정의 정적 분석 규칙 만드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707정성태7/4/201424242.NET Framework: 449. C#에서 C++로 VARIANT 넘겨주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06정성태7/3/201422568.NET Framework: 448. .NET SmartClient 컨트롤을 윈도우 8/2012에서 활성화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05정성태7/2/201437776VC++: 78. 보이어-무어(Boyer-Moore) 알고리즘이 정말 빠를까? [6]파일 다운로드1
1704정성태7/2/201424066.NET Framework: 447. w3wp.exe AppPool 재생(recycle)하는 방법 정리
1703정성태7/2/201424961.NET Framework: 446. Assembly.Load를 이용해 GAC에 등록된 어셈블리를 로드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702정성태6/23/201424879Phone: 11. Xamarin.Forms - 2. XAML을 이용한 페이지 개발파일 다운로드1
1701정성태6/23/201437303개발 환경 구성: 229. .NET Reflector + Reflexil 도구를 이용해 DLL 코드 변경 [4]
1700정성태6/23/201423658VS.NET IDE: 89. Visual Studio에서 기본 제공되는 성능 프로파일 [2]
1699정성태6/22/201425548Phone: 10. Xamarin.Forms - 1. Forms 시작하기 [2]파일 다운로드1
1698정성태6/22/201427396.NET Framework: 445. [부연 설명] 쉬운 C# 코드를 어럽게 이해하기 [2]
1697정성태6/22/201423342VS.NET IDE: 88. Visual Studio에서 직접 컴파일하는 IL 언어 확장 도구 - IL Support
1696정성태6/22/201422557.NET Framework: 444. clojure와 C#을 통해 이해하는 Sequence와 Vector 형식의 차이점 [1]
1695정성태6/21/201421601개발 환경 구성: 228. PowerShell ISE에서 (입력 기능이 있는)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방법
1694정성태6/21/201423582개발 환경 구성: 227. 닷넷 용 ClojureCLR 개발환경 설정
1693정성태6/20/201424205개발 환경 구성: 226. Clojure 언어의 윈도우 개발환경 설정
1692정성태6/19/201434458오류 유형: 231. Visual Studio 2013 한글 버전 설치 오류 - The form specified for the subject is not one supported or known by the specified trust provider
1691정성태6/18/201430160개발 환경 구성: 225. 유닉스 계열의 tail 명령어가 제공되는 PowerShell [1]
1690정성태6/18/201432768개발 환경 구성: 224. DirectShow 예제 구하는 방법 [3]
1689정성태6/18/201429725오류 유형: 230. C++ 가변 인자 사용시 va_start 파라미터 전달 방법 [2]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