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59. WebDev 2.0에서 실행하는 Pet Shop 4.0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66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ebDev 2.0에서 실행하는 Pet Shop 4.0


지난 글에서 Cassini 위에서 Pet Shop 4.0을 실행하는 것을 살펴봤습니다.

Pet Shop 4.0을 IIS 없이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816

이번에는 Cassini가 아닌 Visual Studio에서 사용중인 "WebDev.WebServer20.EXE"를 이용하여 IIS 없이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지난번 글에 첨부한 파일의 압축을 풀어보겠습니다.

[그림 1: Cassini + Pet Shop 4.0]
petshop_plus_cassini_3.png

기존 Cassini를 대체하면 되기 때문에 이 폴더에 WebDev.WebServer20.EXE 관련 파일들을 복사하면 됩니다. 이 파일을 구하는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Visual Studio 2008: C:\Program Files (x86)\Common Files\microsoft shared\DevServer\9.0
Visual Studio 2010: C:\Program Files (x86)\Common Files\microsoft shared\DevServer\10.0

WebDev.WebServer20.EXE
WebDev.WebServer20.exe.config
WebDev.WebServer20.exe.manifest

이와 함께 WebDev.WebServer20.EXE에서 "WebDev.WebHost20.dll"라는 DLL을 사용하는데 이 파일도 같이 복사해 주어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다음의 경로에서 이 파일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C:\Windows\assembly\GAC_32\WebDev.WebHost20\10.0.0.0__b03f5f7f11d50a3a

그래서, 루트 폴더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그림 2: WebDev 관련 파일 복사]
webdev_plus_petshop_1.png

재미있는 것은, WebDev.WebHost20.dll 파일이 ASP.NET의 bin 폴더에도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 때문에 Pet Shop 응용 프로그램에 이에 대한 참조를 추가해 주거나 임의로 파일 복사를 Bin 폴더에 해주어야 합니다.

자, 이걸로 준비는 끝났습니다. WebDev.WebServer20.EXE가 Visual Studio에 포함된 제품이기 때문에 이번에는 파일 첨부를 할 수는 없지만, "[그림 2]"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실행해서 ASP.NET 웹 사이트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SET CURDIR=%CD%
WebDev.WebServer20.EXE /port:8099 /path:"%CURDIR%\web" /vpath:"/"

참고로, 특정 환경에서 WebDev.WebHost20.dll 파일을 WebDev.WebServer20.EXE 파일이 위치한 폴더의 하위 "/Bin" 폴더에서 찾는 경우가 있었으니 혹시 위와 같이 해서 실행이 안되면 그리 조치해 주시면 됩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2/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72정성태4/17/201925503.NET Framework: 819.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4 - Type members파일 다운로드1
11871정성태4/16/201922523.NET Framework: 818.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3 - Initialization tricks [3]파일 다운로드1
11870정성태4/16/201922385.NET Framework: 817. Process.Start로 실행한 콘솔 프로그램의 출력 결과를 얻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69정성태4/15/201929201.NET Framework: 816.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2 - GC-related things [2]파일 다운로드2
11868정성태4/15/201924184.NET Framework: 815. CER(Constrained Execution Region)이란?파일 다운로드1
11867정성태4/15/201922875.NET Framework: 814. Critical Finalizer와 SafeHandle의 사용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866정성태4/9/201925392Windows: 159. 네트워크 공유 폴더(net use)에 대한 인증 정보는 언제까지 유효할까요?
11865정성태4/9/201921822오류 유형: 529. 제어판 - C:\ProgramData\Microsoft\Windows\Start Menu\Programs\Administrative Tools is not accessible.
11864정성태4/9/201920391오류 유형: 528. '...' could be '0': this does not adhere to the specification for the function '...'
11863정성태4/9/201920202디버깅 기술: 127. windbg - .NET x64 EXE의 EntryPoint
11862정성태4/7/201922239개발 환경 구성: 437. .NET EXE의 ASLR 기능을 끄는 방법
11861정성태4/6/201921559디버깅 기술: 126. windbg - .NET x86 CLR2/CLR4 EXE의 EntryPoint
11860정성태4/5/201926612오류 유형: 527. Visual C++ 컴파일 오류 - error C2220: warning treated as error - no 'object' file generated
11859정성태4/4/201923642디버깅 기술: 125. WinDbg로 EXE의 EntryPoint에서 BP 거는 방법
11858정성태3/27/201924971VC++: 129. EXE를 LoadLibrary로 로딩해 PE 헤더에 있는 EntryPoint를 직접 호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57정성태3/26/201921593VC++: 128. strncpy 사용 시 주의 사항(Linux / Windows)
11856정성태3/25/201922444VS.NET IDE: 134.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리눅스 예제를 Visual Studio F5 원격 디버깅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855정성태3/25/201924951개발 환경 구성: 436. 페이스북 HTTPS 인증을 localhost에서 테스트하는 방법
11854정성태3/25/201920184VS.NET IDE: 133. IIS Express로 호스팅하는 사이트를 https로 접근하는 방법
11853정성태3/24/201923375개발 환경 구성: 435. 존재하지 않는 IP 주소에 대한 Dns.GetHostByAddress/gethostbyaddr/GetNameInfoW 실행이 느리다면? - 두 번째 이야기 [1]
11852정성태3/20/201921327개발 환경 구성: 434. 존재하지 않는 IP 주소에 대한 Dns.GetHostByAddress/gethostbyaddr/GetNameInfoW 실행이 느리다면?파일 다운로드1
11851정성태3/19/201925198Linux: 8. C# - 리눅스 환경에서 DllImport 대신 라이브러리 동적 로드 처리 [2]
11850정성태3/18/201925488.NET Framework: 813. C# async 메서드에서 out/ref/in 유형의 인자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
11849정성태3/18/201924239.NET Framework: 812. pscp.exe 기능을 C#으로 제어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8정성태3/17/201921382스크립트: 14. 윈도우 CMD - 파일이 변경된 경우 파일명을 변경해 복사하고 싶다면?
11847정성태3/17/201925758Linux: 7. 리눅스 C/C++ - 공유 라이브러리 동적 로딩 후 export 함수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