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69. Windows Internal Database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14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indows Internal Database


WSUS 서비스가 설치된 PC를 보면서 재미있는 사실을 하나 알게 되었습니다. 예전 버전의 WSUS에서는 패치 파일들을 파일 시스템 기반으로 보관했기 때문에 이번에 한번 확인해 보려고 WSUS DB 폴더에 갔더니 예상과는 달리 "C:\WSUS\UpdateServicesDbFiles" 폴더에 있는 것은 "SUSDB.mdf", "SUSDB_log.ldf"라는 SQL DB 파일이었습니다.

오호, 그렇다면 MSSQL Express 버전이라도 설치된 것일까요?
일단 서비스 관리자에서 보니, 당황스럽게도 SQL Server 관련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있는 거라곤 "SQL Server VSS Writer"입니다. '이상하다... 분명히 작업 관리자에서는 "sqlserver.exe"가 보이는데!'

다시, "서비스 관리자"에서 "시작됨"으로 되어 있는 서비스 중에서 관련있을 것 같은 이름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아하... 자세히 보니, "Windows Internal Database (MICROSOFT##SSEE)"라는 것이 눈에 띕니다. SSEE가 보통 "SQL Server Express Edition"의 약어로 사용되니까... 아마도 Express Edition의 변종으로 보입니다.

좀 더 정보를 찾기 위해 검색을 해 보니, Wikipedia에 자료가 있었습니다.

Windows Internal Database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 http://en.wikipedia.org/wiki/Windows_Internal_Database

특이한 것은, 다른 컴퓨터에서는 접근이 안 되고 반드시 같은 컴퓨터에서만 접근이 된다는 것입니다.


Additionally, it is designed to only be accessible to Windows Services running on the same machine



이 때문에 "SSMSE(SQL Server Management Studio Express)"를 이용해서 접근하려면 해당 컴퓨터에 SSMSE를 설치하고 다음과 같이 연결 문자열을 주어야 합니다.

\\.\pipe\mssql$microsoft##ssee\sql\query

혹시나 싶어서, "\\192.168.100.50\pipe\mssql$microsoft##ssee\sql\query"와 같은 식으로 원격에서 접근해 보니 ^^; 안되는 군요.

근데, 문서의 내용이 다소 오래된 것 같습니다. 64비트 버전은 없는 것으로 나오는데, 아래에 보는 것처럼 현재는 제공되고 있습니다.

[그림 1: Windows Internal Database 정보]
windows_internal_db_1.png

DB 제품명도 원래의 SSES는 "Microsoft SQL Server Express Edition (64-bit)"와 같은 식으로 나오는 데, 위에서는 "Microsoft SQL Server Windows Internal Database (64-bit)"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쨌든, 로컬 상에서는 SSMSE로 아래와 같이 접근이 되어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습니다.

[그림 2: SSMSE로 접근한 Windows Internal Database]
windows_internal_db_2.png

한 가지 재미있는 점이 있다면. 여기에서 임의로 DB 생성은 되지만, 그 안에서 테이블 생성을 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를 내뱉으며 동작하지 않습니다.

'XXXXX' table
- Unable to create table.
DDL statement is not allowed.

이를 해결하려면, 해당 DB의 속성창에서 "Options" 범주의 "State" / "Restrict Access"를 "SINGLE_USER"로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참고로, "SINGLE USER" 모드이기 때문에 SSMSE를 이용하는 경우 "New Query"를 이용해서 직접 "CREATE TABLE"을 실행해줘야 합니다.)

그런데, 그렇게 해서 테이블을 생성했다고 해도 이후의 데이터 CRUD 연산이 아래와 같은 오류와 함께 동작하지 않는 현상이 있습니다.

SQL Execution Error.

Executed SQL statement: SELECT Test FROM myTable
Error Source: .NET SqlClient Data Provider
Error Message: Access to table dbo.myTable is blocked because the signature is not valid.

반면, Microsoft의 제품(WSUS, WSS...)에 의해 생성된 DB들은 이런 현상이 없습니다.

암튼... 뭔가 내부적으로만 사용되기 위한 제약이 있는 것 같은데... 일단 오늘은 여기까지만!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187정성태12/8/202215286개발 환경 구성: 654. openssl - CA로부터 인증받은 새로운 인증서를 생성하는 방법 (2)
13186정성태12/6/202213064오류 유형: 831. The framework 'Microsoft.AspNetCore.App', version '...' was not found.
13185정성태12/6/202214035개발 환경 구성: 653. Windows 환경에서의 Hello World x64 어셈블리 예제 (NASM 버전)
13184정성태12/5/202212622개발 환경 구성: 652. ml64.exe와 link.exe x64 실행 환경 구성 [1]
13183정성태12/4/202212454오류 유형: 830. MASM + CRT 함수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컴파일 오류 정리 [1]
13182정성태12/4/202214250Windows: 217. Windows 환경에서의 Hello World x64 어셈블리 예제 (MASM 버전)
13181정성태12/3/202212768Linux: 54. 리눅스/WSL - hello world 어셈블리 코드 x86/x64 (nasm)
13180정성태12/2/202213560.NET Framework: 2074. C# - 스택 메모리에 대한 여유 공간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179정성태12/2/202212290Windows: 216. Windows 11 - 22H2 업데이트 이후 Terminal 대신 cmd 창이 뜨는 경우
13178정성태12/1/202213381Windows: 215. Win32 API 금지된 함수 - IsBadXxxPtr 유의 함수들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파일 다운로드1
13177정성태11/30/202213959오류 유형: 829. uwsgi 설치 시 fatal error: Python.h: No such file or directory
13176정성태11/29/202211503오류 유형: 828. gunicorn -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flask'
13175정성태11/29/202215802오류 유형: 827. Python - ImportError: cannot import name 'html5lib' from 'pip._vendor'
13174정성태11/28/202212525.NET Framework: 2073. C# - VMMap처럼 스택 메모리의 reserve/guard/commit 상태 출력파일 다운로드1
13173정성태11/27/202213448.NET Framework: 2072. 닷넷 응용 프로그램의 스레드 스택 크기 변경
13172정성태11/25/202212943.NET Framework: 2071. 닷넷에서 ESP/RSP 레지스터 값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171정성태11/25/202212474Windows: 214. 윈도우 - 스레드 스택의 "red zone"
13170정성태11/24/202213354Windows: 213. 윈도우 - 싱글 스레드는 컨텍스트 스위칭이 없을까요?
13169정성태11/23/202214667Windows: 212. 윈도우의 Protected Process (Light) 보안 [1]파일 다운로드2
13168정성태11/22/202212556제니퍼 .NET: 31.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9) - DB 서비스에 부하가 걸렸다?!
13167정성태11/21/202213032.NET Framework: 2070. .NET 7 - Console.ReadKey와 리눅스의 터미널 타입
13166정성태11/20/202212945개발 환경 구성: 651. Windows 사용자 경험으로 WSL 환경에 dotnet 런타임/SDK 설치 방법
13165정성태11/18/202211986개발 환경 구성: 650. Azure - "scm" 프로세스와 엮인 서비스 모음
13164정성태11/18/202213906개발 환경 구성: 649. Azure - 비주얼 스튜디오를 이용한 AppService 원격 디버그 방법
13163정성태11/17/202214230개발 환경 구성: 648.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안드로이드 기기 인식하는 방법
13162정성태11/15/202215721.NET Framework: 2069. .NET 7 - AOT(ahead-of-time) 컴파일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