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정식으로 말씀드리자면, 저도 아직 방법은 잘 모릅니다.하지만, 다들 느낌이 있으시겠지만 이런 경우 레지스트리를 한번 검색해 보게 되죠.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VisualStudio\8.0\Bis\Domains위의 키에 담긴 항목들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삭제하시면 됩니다.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http://211.236.184.175/dotnetguru/Body/Board/BoardType05_View.aspx?idx=11&gotopage=&sc_field=&sc_text=&category= 위의 사이트에서 질문 후 받은 답변입니다. 아래에 그대로 복사해 봅니다. ------------ 박미라 :: 2005.01.19 02:40 -------------------- 네. 수작업으로 지우는 방법이 있습니다. Client 머신에서 command line 에서 PrivateAssemblies 폴더를 찾은후에(...\Common7\IDE\PrivateAssemblies) deleteteamproject.exe /? 를 타입하셔서 deleteteamproject.exe 유틸리티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나오고 원하시는 project 를 삭제하실수 있습니다. 이것을 삭제하면 sharepoint site 에서부터 특정 project 에 관련된 파일을 다 지워줍니다. [다음 글] VS.NET IDE: 13. VS.NET 2005 Beta 1 - Portfolio Explorer 에 등록된 Team Server 항목 삭제 방법[이전 글] VS.NET IDE: 12. [시나리오]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을 Virtual Server에 설치 [최초 등록일: 1/19/2005] [최종 수정일: 1/19/2005]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227정성태1/23/202316581개발 환경 구성: 659. Windows - IP MTU 값을 바꿀 수 있을까요? [1]13226정성태1/23/202314130.NET Framework: 2088. .NET 5부터 지원하는 GetRawSocketOption 사용 시 주의할 점13225정성태1/21/202314583개발 환경 구성: 658. Windows에서 실행 중인 소켓 서버를 다른 PC 또는 WSL에서 접속할 수 없는 경우13224정성태1/21/202314320Windows: 221. Windows - Private/Public/Domain이 아닌 네트워크 어댑터 단위로 방화벽을 on/off하는 방법13223정성태1/20/202313667오류 유형: 838. RDP 연결 오류 - The two computers couldn't connect in the amount of time allotted13222정성태1/20/202313831개발 환경 구성: 657. WSL - DockerDesktop.vhdx 파일 위치를 옮기는 방법13221정성태1/19/202314508Linux: 57. C# - 리눅스 프로세스 메모리 정보113220정성태1/19/202314997오류 유형: 837. NETSDK1045 The current .NET SDK does not support targeting .NET ...13219정성태1/18/202313882Windows: 220. 네트워크의 인터넷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13218정성태1/17/202313754VS.NET IDE: 178. Visual Studio 17.5 (Preview 2) - 포트 터널링을 이용한 웹 응용 프로그램의 외부 접근 허용13217정성태1/13/202314608디버깅 기술: 185. windbg - 64비트 운영체제에서 작업 관리자로 뜬 32비트 프로세스의 덤프를 sos로 디버깅하는 방법13216정성태1/12/202313432디버깅 기술: 184. windbg - 32비트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인 경우 !peb 명령어로 나타나지 않는 환경 변수13215정성태1/11/202317449Linux: 56. 리눅스 - /proc/pid/stat 정보를 이용해 프로세스의 CPU 사용량 구하는 방법 [1]13214정성태1/10/202317212.NET Framework: 2087. .NET 6부터 SourceGenerator와 통합된 System.Text.Json [1]113213정성태1/9/202313994오류 유형: 836. docker 이미지 빌드 시 "RUN apt install ..." 명령어가 실패하는 이유13212정성태1/8/202316479기타: 85. 단정도/배정도 부동 소수점의 정밀도(Precision)에 따른 형변환 손실13211정성태1/6/202316654웹: 42. (https가 아닌) http 다운로드를 막는 웹 브라우저13210정성태1/5/202315288Windows: 219. 윈도우 x64의 경우 0x00000000`7ffe0000 아래의 주소는 왜 사용하지 않을까요?13209정성태1/4/202313119Windows: 218. 왜 윈도우에서 가상 메모리 공간은 64KB 정렬이 된 걸까요?13208정성태1/3/202315208.NET Framework: 2086. C# - Windows 운영체제의 2MB Large 페이지 크기 할당 방법113207정성태12/26/202216101.NET Framework: 2085. C# - gpedit.msc의 "User Rights Assignment" 특권을 코드로 설정/해제하는 방법 [1]113206정성태12/24/202216161.NET Framework: 2084. C# - GetTokenInformation으로 사용자 SID(Security identifiers) 구하는 방법 [4]113205정성태12/24/202214191.NET Framework: 2083. C# - C++과의 연동을 위한 구조체의 fixed 배열 필드 사용 (2)113204정성태12/22/202213344.NET Framework: 2082. C# - (LSA_UNICODE_STRING 예제로) CustomMarshaler 사용법113203정성태12/22/202213391.NET Framework: 2081. C# Interop 예제 - (LSA_UNICODE_STRING 예제로) 구조체를 C++에 전달하는 방법113202정성태12/21/202216301기타: 84. 직렬화로 설명하는 Little/Big Endian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