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정식으로 말씀드리자면, 저도 아직 방법은 잘 모릅니다.하지만, 다들 느낌이 있으시겠지만 이런 경우 레지스트리를 한번 검색해 보게 되죠.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VisualStudio\8.0\Bis\Domains위의 키에 담긴 항목들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삭제하시면 됩니다.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http://211.236.184.175/dotnetguru/Body/Board/BoardType05_View.aspx?idx=11&gotopage=&sc_field=&sc_text=&category= 위의 사이트에서 질문 후 받은 답변입니다. 아래에 그대로 복사해 봅니다. ------------ 박미라 :: 2005.01.19 02:40 -------------------- 네. 수작업으로 지우는 방법이 있습니다. Client 머신에서 command line 에서 PrivateAssemblies 폴더를 찾은후에(...\Common7\IDE\PrivateAssemblies) deleteteamproject.exe /? 를 타입하셔서 deleteteamproject.exe 유틸리티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나오고 원하시는 project 를 삭제하실수 있습니다. 이것을 삭제하면 sharepoint site 에서부터 특정 project 에 관련된 파일을 다 지워줍니다. [다음 글] VS.NET IDE: 13. VS.NET 2005 Beta 1 - Portfolio Explorer 에 등록된 Team Server 항목 삭제 방법[이전 글] VS.NET IDE: 12. [시나리오]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을 Virtual Server에 설치 [최초 등록일: 1/19/2005] [최종 수정일: 1/19/2005]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202정성태12/21/202216312기타: 84. 직렬화로 설명하는 Little/Big Endian113201정성태12/20/202217707오류 유형: 835. PyCharm 사용 시 C 드라이브 용량 부족13200정성태12/19/202215082오류 유형: 834. 이벤트 로그 - SSL Certificate Settings created by an admin process for endpoint13199정성태12/19/202215387개발 환경 구성: 656. Internal Network 유형의 스위치로 공유한 Hyper-V의 VM과 호스트가 통신이 안 되는 경우13198정성태12/18/202215708.NET Framework: 2080. C# - Microsoft.XmlSerializer.Generator 처리 없이 XmlSerializer 생성자를 예외 없이 사용하고 싶다면?113197정성태12/17/202214922.NET Framework: 2079. .NET Core/5+ 환경에서 XmlSerializer 사용 시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예외 발생하는 경우113196정성태12/16/202216037.NET Framework: 2078. .NET Core/5+를 위한 SGen(Microsoft.XmlSerializer.Generator) 사용법13195정성태12/15/202215967개발 환경 구성: 655. docker - bridge 네트워크 모드에서 컨테이너 간 통신 시 --link 옵션 권장 이유13194정성태12/14/202215358오류 유형: 833. warning C4747: Calling managed 'DllMain': Managed code may not be run under loader lock113193정성태12/14/202216167오류 유형: 832. error C7681: two-phase name lookup is not supported for C++/CLI or C++/CX; use /Zc:twoPhase-13192정성태12/13/202216111Linux: 55. 리눅스 - bash shell에서 실수 연산13191정성태12/11/202217507.NET Framework: 2077. C# - 직접 만들어 보는 SynchronizationContext113190정성태12/9/202220270.NET Framework: 2076. C# - SynchronizationContext 기본 사용법113189정성태12/9/202218755오류 유형: 831. Visual Studio - Windows Forms 디자이너의 도구 상자에 컨트롤이 보이지 않는 문제13188정성태12/9/202219417.NET Framework: 2075. C# - 직접 만들어 보는 TaskScheduler 실습 (SingleThreadTaskScheduler) [1]113187정성태12/8/202218120개발 환경 구성: 654. openssl - CA로부터 인증받은 새로운 인증서를 생성하는 방법 (2)13186정성태12/6/202216266오류 유형: 831. The framework 'Microsoft.AspNetCore.App', version '...' was not found.13185정성태12/6/202217077개발 환경 구성: 653. Windows 환경에서의 Hello World x64 어셈블리 예제 (NASM 버전)13184정성태12/5/202214355개발 환경 구성: 652. ml64.exe와 link.exe x64 실행 환경 구성 [1]13183정성태12/4/202214234오류 유형: 830. MASM + CRT 함수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컴파일 오류 정리 [1]13182정성태12/4/202216318Windows: 217. Windows 환경에서의 Hello World x64 어셈블리 예제 (MASM 버전)13181정성태12/3/202215124Linux: 54. 리눅스/WSL - hello world 어셈블리 코드 x86/x64 (nasm)13180정성태12/2/202216872.NET Framework: 2074. C# - 스택 메모리에 대한 여유 공간 확인하는 방법113179정성태12/2/202215162Windows: 216. Windows 11 - 22H2 업데이트 이후 Terminal 대신 cmd 창이 뜨는 경우13178정성태12/1/202216348Windows: 215. Win32 API 금지된 함수 - IsBadXxxPtr 유의 함수들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113177정성태11/30/202217126오류 유형: 829. uwsgi 설치 시 fatal error: Python.h: No such file or directory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