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디버깅 기술: 27. Windbg - Local Kernel Debug 모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562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3. 원격 컴퓨터 디버깅 - VPC 설정
; https://www.sysnet.pe.kr/2/0/265

디버깅 기술: 3.1. Managed 원격 디버깅과 WinDBG 원격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314

디버깅 기술: 27. Windbg - Local Kernel Debug 모드
; https://www.sysnet.pe.kr/2/0/934

디버깅 기술: 29. Windbg - Hyper-V 윈도우 7 원격 디버깅 구성
; https://www.sysnet.pe.kr/2/0/938

Windows: 57. 새로 추가된 네트워크 커널 디버깅 및 PowerShell 3.0
; https://www.sysnet.pe.kr/2/0/1259

디버깅 기술: 62. windbg - 사용자 모드 원격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602

디버깅 기술: 192. Windbg - Hyper-V VM으로 이더넷 원격 디버깅 연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43

디버깅 기술: 211. Windbg - 커널 모드 디버깅 상태에서 사용자 프로그램을 디버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51




Windbg - Local Kernel Debug 모드

windbg 가지고 실습을 하는데, 일단 notepad.exe 켜고 디버거를 붙였습니다. 그리고는 책에 나온 대로 "!process" 명령을 실행하는데, ^^; 처음부터 막히는군요.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합니다.

0:002> !process
No export process found

너무 일반적인 단어들로 이뤄진 오류 메시지라서, 원인을 찾기 힘들었는데요. 다음의 글에서 ^^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Windbg:how can I load a process from LKD? - Sysinternals Forums
; http://84.45.57.224/windbghow-can-i-load-a-process-from-lkd_topic868_post2547.html

그러니까, "!process" 명령어가 실행되려면 커널 모드로 진입된 상태여야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커널 모드로 BP 상태를 진행시키기 위해 ".attach -k" 명령을 내리고 "g" 명령을 연이어 해주면 해결됩니다.

.attach -k
Attach will occur on next execution
||0:0:002> g
Connected to Windows 7 7600 x64 target at (Sun Oct 10 20:07:28.437 2010 (GMT+9)), ptr64 TRUE
Symbol search path is: ...[생략]...
Executable search path is: 
Windows 7 Kernel Version 7600 MP (8 procs) Free x64
Product: ...
Built by: ...
Machine Name:
Kernel base = 0xfffff800`03053000 PsLoadedModuleList = 0xfffff800`03290e50
Debug session time: Sun Oct 10 20:07:38.156 2010 (GMT+9)
System Uptime: 0 days 0:10:16.280

자... ^^ 이제 커널로 진입한 상태이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process" 명령이 통하게 됩니다.

||1:lkd> !process
PROCESS fffffa800761fb30
    SessionId: 1  Cid: 0dd4    Peb: 7fffffd5000  ParentCid: 0878
    DirBase: 7a1d3000  ObjectTable: fffff8a004701480  HandleCount: 317.
    Image: notepad.exe
    VadRoot fffffa80070a16a0 Vads 168 Clone 0 Private 6805. Modified 2840. Locked 1.
    DeviceMap fffff8a002ce0700
    Token                             fffff8a004ff84d0
    ElapsedTime                       00:10:43.548
    UserTime                          00:00:00.000
    KernelTime                        00:00:00.000
    QuotaPoolUsage[PagedPool]         0
    QuotaPoolUsage[NonPagedPool]      0
    Working Set Sizes (now,min,max)  (10622, 50, 345) (42488KB, 200KB, 1380KB)
    PeakWorkingSetSize                10626
    VirtualSize                       155 Mb
    PeakVirtualSize                   155 Mb
    PageFaultCount                    14688
    MemoryPriority                    BACKGROUND
    BasePriority                      13
    CommitCharge                      7422
... [생략] ...

참고로, ".attach -k" 명령은 윈도우가 "-debug on" 모드로 부팅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Vista 이상의 운영체제에서는 미리 관리자 권한의 명령행에서 "bcdedit -debug on" 실행하고 재부팅해야 합니다. 또한, WOW64 지원을 하지 못하므로 64비트에서 32비트 응용 프로그램을 대상으로는 ".attach -k" 명령어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만약, 이런 제약이 걸리는 상황에서 ".attach -k" 명령을 내리면 다음과 같이 친절하게 오류 메시지를 출력해 줍니다. ^^

0:014> .attach -k
The system does not support local kernel debugging.
Local kernel debugging requires Windows XP, Administrative privileges.
Local kernel debugging dose not support WOW64, please run local kernel debugging from 64-bit native debugger.
Only a single local kernel debugging session can run at a time.
Local kernel debugging is disabled by default since Windows Vista, you must run "bcdedit -debug on" and reboot to enable it.
Unable to initialize target, HRESULT 0x80004001

또는 메뉴를 통해 "Attach to kernel"를 선택했다면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The debugging session could not be started: FAILURE HR=0x80004001: Failed to AttachKernel




특정 프로세스에 attach 시킨 후에 커널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해야 하지만, Windbg 실행 후 처음부터 커널 모드로 진입하는 간단한 방법도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File" / "Kernel Debug..."를 선택하고,

windbg_kernel_debug_mode_1.png

"Local" 탭을 선택 후 "OK"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windbg_kernel_debug_mode_2.png

그럼, Windbg 명령창의 프롬프트가 "lkd>"라고 "local kernel debugging"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windbg_kernel_debug_mode_3.png

LKD 기능은 Windows XP 이상의 운영체제에서 제공되는데, Windows 2000을 실습 대상으로 설명하는 책에서는 당연히 windbg로 테스트 할 때 2대 이상의 PC에서 하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No export process found"와 같은 오류가 발생할 일이 없어서 그와 관련된 설명이 없었던 것입니다.

끝으로 중요한 점 하나!
LKD를 활성화하기 위해 "bcdedit -debug on" 모드로 부팅되고 나면, Visual Studio에서 ".NET 응용 프로그램(Managed App)"들에 대해서 디버깅이 불가능해집니다.




(2025-02-22 업데이트) "bcdedit -debug on" 명령어에서 이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C:\Windows\System32> bcdedit -debug on
디버거 설정을 수정하는 동안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값은 보안 부팅 정책에 의해 보호되며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없습니다.

An error has occurred setting the element data.
The value is protected by Secure Boot policy and cannot be modified or deleted.

한글 오류 메시지에는 나오지 않지만, 영문 오류 메시지에서는 유추할 수 있듯이 BIOS 또는 VM 설정창의 "Secure Boot"을 해제하면 됩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2/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04-03 11시51분
정성태
2020-07-08 01시14분
Hardware breakpoints and exceptions on Windows
; https://ling.re/hardware-breakpoints/

#WinDbg tip: edit %LOCALAPPDATA%\DBG\DbgX.xml and change CommandWindowExperimental -> CommandIntellisense2 from false to true, and get a nice helper menu when typing your command in #WinDbgX
; https://twitter.com/windbgtips/status/1631810570239332358?s=20
정성태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436정성태11/7/202313710닷넷: 2155. C# - .NET 8 런타임부터 (Reflection 없이) 특성을 이용해 public이 아닌 멤버 호출 가능
13435정성태11/6/202311933닷넷: 2154. C# - 네이티브 자원을 포함한 관리 개체(예: 스레드)의 GC 정리
13434정성태11/1/202312881스크립트: 62. 파이썬 - class의 정적 함수를 동적으로 교체
13433정성태11/1/202311149스크립트: 61. 파이썬 - 함수 오버로딩 미지원
13432정성태10/31/202312498오류 유형: 878. 탐색기의 WSL 디렉터리 접근 시 "Attempt to access invalid address." 오류 발생
13431정성태10/31/202312623스크립트: 60. 파이썬 - 비동기 FastAPI 앱을 gunicorn으로 호스팅
13430정성태10/30/202313314닷넷: 2153. C# - 사용자가 빌드한 ICU dll 파일을 사용하는 방법
13429정성태10/27/202313284닷넷: 2152. Win32 Interop - C/C++ DLL로부터 이중 포인터 버퍼를 C#으로 받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428정성태10/25/202313672닷넷: 2151. C# 12 - ref readonly 매개변수
13427정성태10/18/202311939닷넷: 2150. C# 12 - 정적 문맥에서 인스턴스 멤버에 대한 nameof 접근 허용(Allow nameof to always access instance members from static context)
13426정성태10/13/202313003스크립트: 59. 파이썬 - 비동기 호출 함수(run_until_complete, run_in_executor, create_task, run_in_threadpool)
13425정성태10/11/202313510닷넷: 2149. C# - PLinq의 Partitioner<T>를 이용한 사용자 정의 분할파일 다운로드1
13423정성태10/6/202313279스크립트: 58. 파이썬 - async/await 기본 사용법
13422정성태10/5/202311956닷넷: 2148. C# - async 유무에 따른 awaitable 메서드의 병렬 및 예외 처리 [1]
13421정성태10/4/202312418닷넷: 2147. C# - 비동기 메서드의 async 예약어 유무에 따른 차이
13420정성태9/26/202322742스크립트: 57. 파이썬 - UnboundLocalError: cannot access local variable '...' where it is not associated with a value
13419정성태9/25/202313114스크립트: 56. 파이썬 - RuntimeError: dictionary changed size during iteration
13418정성태9/25/202313992닷넷: 2146. C# - ConcurrentDictionary 자료 구조의 동기화 방식
13417정성태9/19/202313816닷넷: 2145. C# - 제네릭의 형식 매개변수에 속한 (매개변수를 가진) 생성자를 호출하는 방법
13416정성태9/19/202311359오류 유형: 877. redis-py - MISCONF Redis is configured to save RDB snapshots, ...
13415정성태9/18/202313433닷넷: 2144. C# 12 - 컬렉션 식(Collection Expressions) [2]
13414정성태9/16/202312795디버깅 기술: 193. Windbg - ThreadStatic 필드 값을 조사하는 방법
13413정성태9/14/202314545닷넷: 2143. C# - 시스템 Time Zone 변경 시 이벤트 알림을 받는 방법
13412정성태9/14/202317967닷넷: 2142. C# 12 - 인라인 배열(Inline Arrays) [1]
13411정성태9/12/202313662Windows: 252. 권한 상승 전/후 따로 관리되는 공유 네트워크 드라이브 정보 [1]
13410정성태9/11/202314906닷넷: 2141. C# 12 - Interceptor (컴파일 시에 메서드 호출 재작성)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