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0개 있습니다.)
VS.NET IDE: 60. Output 경로에 매크로 상수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688

개발 환경 구성: 91.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플랫폼(x86/x64)별 빌드
; https://www.sysnet.pe.kr/2/0/963

개발 환경 구성: 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
; https://www.sysnet.pe.kr/2/0/965

개발 환경 구성: 102. MSBuild - DefineConstants에 다중 전처리 값 설정
; https://www.sysnet.pe.kr/2/0/988

개발 환경 구성: 115. MSBuild - x86/x64, .NET 2/4, debug/release 빌드에 대한 배치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017

개발 환경 구성: 372. MSBuild - 빌드 전/후, 배포 전/후 실행하고 싶은 Task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1507

개발 환경 구성: 452. msbuild - csproj에 환경 변수 조건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1985

개발 환경 구성: 580. msbuild의 Exec Task에 robocopy를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16

개발 환경 구성: 693. msbuild - .NET Core/5+ 프로젝트에서 resgen을 이용한 리소스 파일 생성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1

닷넷: 2235. MSBuild - AccelerateBuildsInVisualStudio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35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

우선, 다음의 글을 읽고 나서 이번 글을 보시길 바랍니다.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플랫폼(x86/x64) 별 빌드
; https://www.sysnet.pe.kr/2/0/963

종종 개발을 하다 보면, 플랫폼만 구분단위가 되지는 않습니다. 가령 .NET 응용 프로그램을 만드는 중에 흔한 경우가 있다면 특정 버전의 .NET Framework이 설치된 경우에 따라 어셈블리 생성을 달리해야 할 수 가 있습니다.

대개, 그런 경우 전처리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대략 아래와 같이 되겠지요.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this.Text += ": " + ((IntPtr.Size == 4) ? "x86" : "x64");

#if ISNET35
        MessageBox.Show(".NET 3.5");
#endif
    }
}

그런 다음, 2가지 버전이 한꺼번에 빌드될 수 있도록, 스크립트를 다음과 같이 변경해 주어야 합니다.

FOR /F %%I IN ("%0") DO SET CURRENTDIR=%%~dpI
SET SOLUTIONDIR=%CURRENTDIR%

msbuild MyTest.csproj /property:MyAssemblyName=MyTest32.Clr20;PlatformTarget=x86;Platform=x86;SolutionDir=%SOLUTIONDIR%
msbuild MyTest.csproj /property:MyAssemblyName=MyTest32.Clr35;DefineConstants=ISNET35;PlatformTarget=x86;Platform=x86;SolutionDir=%SOLUTIONDIR%

하지만, 기대했던 결과와는 달리 아래와 같이 대상 폴더에는 MyTest32.Clr20.exe 파일이 보이지 않습니다.

.\bin\Debug\MyTest32.Clr35.exe
            MyTest32.Clr35.pdb

도대체 이유가 뭘까요?

명령행에서 MSBuild를 해보면 다음과 같이 "IncrementalClean" 단계에서 이전에 했던 msbuild 결과물들을 모두 삭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ncrementalClean:
  Deleting file "D:\...\obj\x86\Debug\MyTest32.Clr20.exe".
  Deleting file "D:\...\obj\x86\Debug\MyTest32.Clr20.pdb".
  Deleting file "D:\...\bin\Debug\MyTest32.Clr20.exe".
  Deleting file "D:\...\bin\Debug\MyTest32.Clr20.pdb".

오~~~ 쪼끔 신기합니다. ^^ 도대체 이전에 빌드했던 DLL들의 파일명을 어떻게 일일이 기억하고 저렇게 싸~~~악 지워버리는지?
검색을 좀 해본 결과 아래의 글에 힌트가 있더군요.

MSBuild is not copying the assembly to the output directory.
; http://social.msdn.microsoft.com/forums/en-US/msbuild/thread/ae00d3f7-a1c4-4378-96b6-9a4099c74b2a/

즉, msbuild는 빌드를 할 때마다 ".\obj\[platform]\Debug\MyTest32.csproj.FileListAbsolute.txt"와 같이 "FileListAbsolute.txt" 확장자를 가진 파일에 해당 빌드가 이뤄지는 동안 생성된 파일들의 목록을 기록해 둡니다. 그리고, 다음번 빌드가 수행될 때 "FileListAbsolute.txt" 파일에 있는 모든 파일을 삭제하고 새롭게 빌드를 해주는 것입니다.

검색을 좀 더 해보았으나, 마이크로소프프트에서 공식적으로 권장하는 MSBuild 옵션은 찾을 수 없었습니다. 위의 글에서 나온 것처럼 수작업으로 "FileListAbsolute.txt" 파일을 지워주는 것이 최선인데요. 그래서 빌드 스크립트를 다음과 같이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FOR /F %%I IN ("%0") DO SET CURRENTDIR=%%~dpI
SET SOLUTIONDIR=%CURRENTDIR%

msbuild MyTest.csproj /property:MyAssemblyName=MyTest32.Clr20;PlatformTarget=x86;Platform=x86;SolutionDir=%SOLUTIONDIR%
del .\*.FileListAbsolute.txt /s
msbuild MyTest.csproj /property:MyAssemblyName=MyTest32.Clr35;DefineConstants=ISNET35;PlatformTarget=x86;Platform=x86;SolutionDir=%SOLUTIONDIR%

솔직히, 어쩔 수 없이 위와 같이 처리를 하긴 했지만 왠지 개운하지 않은 느낌이 듭니다. 혹시 좀 더 좋은 방법을 제시해주시는 분이 있을까요? ^^

* 첨부한 파일은 위의 빌드 스크립트가 포함된 예제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646정성태6/14/2024244오류 유형: 908. Process Explorer - "Error configuring dump resources: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13645정성태6/13/2024486개발 환경 구성: 711. Visual Studio로 개발 시 기본 등록하는 dev tag 이미지로 Docker Desktop k8s에서 실행하는 방법
13644정성태6/12/2024508닷넷: 2265. C# - System.Text.Json의 기본적인 (한글 등에서의) escape 처리
13643정성태6/12/2024489오류 유형: 907. MySqlConnector 사용 시 System.IO.FileLoadException 오류
13642정성태6/11/2024517스크립트: 65. 파이썬 - asgi 버전(2, 3)에 따라 달라지는 uvicorn 호스팅
13641정성태6/11/2024543Linux: 71. Ubuntu 20.04를 22.04로 업데이트
13640정성태6/10/2024793Phone: 21. C# MAUI - Android 환경에서의 파일 다운로드(DownloadManager)
13639정성태6/8/2024767오류 유형: 906. C# MAUI - Android Emulator에서 "Waiting For Debugger"로 무한 대기
13638정성태6/8/2024934오류 유형: 905. C# MAUI - 추가한 layout XML 파일이 Resource.Layout 멤버로 나오지 않는 문제
13637정성태6/6/20241058Phone: 20. C# MAUI - 유튜브 동영상을 MediaElement로 재생하는 방법
13636정성태5/30/20241093닷넷: 2264. C# - 형식 인자로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네릭 타입으로의 형변환파일 다운로드1
13635정성태5/29/2024920Phone: 19. C# MAUI - 안드로이드 "Share" 대상으로 등록하는 방법
13634정성태5/24/20241180Phone: 18. C# MAUI -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의 Activity 제어
13633정성태5/22/20241123스크립트: 64. 파이썬 - ASGI를 만족하는 최소한의 구현 코드
13632정성태5/20/20241234Phone: 17. C# MAUI - Android 내에 Web 서비스 호스팅
13631정성태5/19/20241222Phone: 16. C# MAUI - /Download 등의 공용 디렉터리에 접근하는 방법
13630정성태5/19/20241583닷넷: 2263. C# - Thread가 Task보다 더 빠르다는 어떤 예제(?)
13629정성태5/18/20241402개발 환경 구성: 710. Android - adb.exe를 이용한 파일 전송
13628정성태5/17/20241387개발 환경 구성: 709. Windows - WHPX(Windows Hypervisor Platform)를 이용한 Android Emulator 가속
13627정성태5/17/20241371오류 유형: 904. 파이썬 - UnicodeEncodeError: 'ascii' codec can't encode character '...' in position ...: ordinal not in range(128)
13626정성태5/15/20241493Phone: 15. C# MAUI - MediaElement Source 경로 지정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25정성태5/14/20241770닷넷: 2262. C# - Exception Filter 조건(when)을 갖는 catch 절의 IL 구조
13624정성태5/12/20241954Phone: 14. C# - MAUI에서 MediaElement 사용파일 다운로드1
13623정성태5/11/20242138닷넷: 2261. C# - 구글 OAuth의 JWT (JSON Web Tokens) 해석파일 다운로드1
13622정성태5/10/20242061닷넷: 2260. C# - Google 로그인 연동 (ASP.NET 예제)파일 다운로드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