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윈도우7과 XP의 DLL후킹 처리에 관해서 질문입니다.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367
글쓴 사람
루로니
홈페이지
첨부 파일
 

안녕하세요~ DLL 관련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메신저 프로그램에 탭컨트롤을 붙이려고 합니다.
version.dll을 후킹해서 처리를 하고 있습니다.
메신저가 실행될때 후킹된 version.dll에서 정보를 약간 바꿔서 탭컨트롤을 붙이게끔 했습니다.

개발환경은 VS2010이고 32비트입니다. UNICODE 프로젝트구요~
윈도우7과 윈도우XP에 전부 따로 따로 설치해서 빌드하고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윈도우7에서는 후킹한 version.dll을 메신저의 실행파일 폴더에 넣어두고 하면 탭컨트롤이 잘 부착되어 실행이 됩니다.
하지만 XP에서는 메신저 실행파일안에 있는 version.dll을 로드하지 않고 system32에 있는 version.dll을 로드하더군요.

 
디펜던스 워커로 확인을 해도 윈도우7은 메신저 폴더안에 있는 version.dll을...
XP는 system32 폴더안에 있는 version.dll을 로드합니다.

 
XP에서 <실행파일.exe.local> 파일을 만들어 현재 폴더안에 있는 dll을 먼저 찾게해서
실행시키니까 진입 application fail initilalize properly(0x00000005) 에러가 나더군요..;;
dll 디버깅을 해봐도 DLLMain()안에 들어 오기전에 저 에러가 뜹니다.

 
XP와 윈도우7의 DLL을 찾는 순서등은 차이가 없는걸로 알고 있는데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감이 잘 안잡혀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3/2011]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12-14 12시05분
^^ ".local"이라는 우회 방법이 있는지 님의 글을 읽고 처음 알았습니다. 우선, 그 점에 대해 감사드리고.

글쎄요. 저도 잘 감이 안 오는군요. 정리하면, XP 의 경우 프로그램이 있는 폴더안에 system32 폴더에 있는 version.dll 을 복사하고 실행하니까 오류가 발생했다는 것인가요?

그리고, depends.exe 보다는 실제로 실행 시에 system32 의 version.dll 을 로드하는지 "Process Explorer"를 통해서 알아보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마지막으로... "application fail initilalize properly" 다음에 나온 0x5 는 보통 "ERROR_ACCESS_DENIED" 에 대한 에러 코드입니다. XP 쪽에서 오히려 권한 관련 오류가 발생하다는 것이 다소 이상하긴 하지만 그와 관련해서 먼저 조사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보통, 다른 사람이 개발한 모듈에다 후킹을 하는 것은... 고생길로 접어들었음을 의미하는 것인데... 아시죠? ^^)
정성태
2011-12-14 09시54분
제가 만든 후킹한 version.dll을 메신저 폴더안에 두고서 system32의 dll보다
메신저 폴더안에 있는 dll을 로드하게끔 하는게 의도입니다.^^;;

혹시나 제가 만든 version.dll이 잘못된건가 싶어 system32안에 있는 version.dll을 복사해서 해도
.local을 설정하지 않는한 system32안에 있는 version.dll을 로드합니다.
근데 윈도우7에서는 무조건 메신저 실행폴더 안에 있는 dll을 먼저 로드를 해서 탭컨트롤을 붙이는데 성공하더군요.

말씀하신대로 process explorer로 version.dll을 살펴보니
윈7에서는 실행폴더안에 있는 dll과 system32안에 있는 dll이 같이 로드된걸로 나옵니다.
XP에서는 system32안에 있는 dll만 로드되어 있네요.

DLL 로드 순서가 아니라 언급하신대로 권한때문에 로드하다 실패하고 system32의 dll만 로드된것일까요?
만약 그렇다면 역시 XP에서 권한때문에 로드가 실패한다는게 이상하긴 하군요.
VS2010의 빌드 환경이나 그런것과 연관이 있는지 그쪽으로도 알아봐야 할거 같아요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아 정말...고생길에 접어든건가요...ㅎㅎ


노현철
2011-12-20 12시03분
(Win 7에서) 테스트를 잠깐 해봤는데요. 재미있는 현상이 하나 있군요. 특정 폴더에 있는 (version.dll 을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 무조건 system32 폴더에 있는 version.dll 을 로드하는 반면,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폴더명을 바꾸었더니 .exe.local 규칙이 적용되어 같은 폴더에 있는 version.dll을 로드했습니다.

허긴, (COM 개체를 포함하고 있는) 메신저의 경우에는 폴더명을 바꾸기는 힘들겠군요. ^^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5968orion4/30/2025253winform DataSet.xsd의 암호화 된 ConnectionString 사용 질문 [2]
5966GM B4/30/2025271C#과 python 연동 질문 [1]
5962SunN...4/21/2025559Contextmenu margin 조절 [1]파일 다운로드2
5961GM B4/10/2025961winform => wpf 마이그레이션 방법 질문 [4]파일 다운로드1
5960Kim ...4/9/20251210안녕하세요.. 혹 AI & C# 에 대해서도 다루시나요? [1]
5959vict...2/10/20251904비주얼 스투디오 CLR 코드 탑색 질문입니다. [1]
5958Supe...1/18/20252901C#으로 DLL을 만들때 WebVeiw2을 이용하여 Vb6에서 사용할수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2]
5956fc1/11/20252891한국투자증권 KIS Developers OpenAPI의 C# 래퍼 버전 - eFriendOpenAPI NuGet 패키지 [1]
5955tree...11/8/20244521C#12 책 179 페이지 문의 사항 [2]
5954SunN...10/10/20244988textbox에서 글자입력후 textBox1_KeyUp함수에서listBox1_SelectedIndexChanged 강제호출방법 [1]
5953Roya10/4/20244978c# com host dll을 c++에서 사용할 때, sdk 관련 runtime 을 설치 안하고 제공할수 있을까요?? [1]
5952우광현9/5/20246099서버용 소켓 포트 동적포트 적용시 클라이언트가 호출하는 방법? [2]
5951Kun ...8/21/20245702c++에서 복합데이터 Struct를 .NET Framework에서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2]
5950SunN...8/18/20246269정석대로 한다면 response.Close() 해야되는지요? [4]
5949SunN...8/16/20246374SqlConnection Open()에서 에러가나면 Close()하는 시점 [3]
5948SunN...8/14/20246236WebRequestMethods.Ftp.MakeDirectory 해제 [3]
5947Roya8/7/20247004c# dll을 cpp lib에서 사용을 할려고 하는데요. CoCreateInstance 에서 지정된 파일을 찾을수 없다고 나오는대요. [4]
5946SunN...8/5/20247116TaskDefinition 에서 사용저가로그온상관없이실행 [3]파일 다운로드1
5945SunN...8/3/20246988윈도우 작업스케줄러 [1]
5944roya8/1/20246929C# dll을 C++ 프로젝트에서 사용을 하고 싶은데, 레지스트리 등록 없이 가능한걸까요?? [2]
5943SunN...8/1/20246806윈도우C#에서 리눅스FTP로 업로드 및 리눅스에 폴더생성(WindowsOS에서C#으로) [3]
5942vict...7/24/20246838dll 을 c#에서 쓰고 싶습니다 [1]
5941vict...7/17/20248338DependencyObject와 같은 스레드에서 DependencySource를 만들어야 합니다. 오류 [2]
5940ckm7/16/20248752선생님 안녕하세요 async await 교착 관련 질문입니다 [1]
5939괴물신인7/9/20248450템플릿 대체할수있는방법이 있을까요? [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