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mins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가능하면 정말 질문 안올리려 했는데 저의 머리에 한계가 와서 올리게 되었습니다. ㅠㅠ
델파이 dll이라 질문해도 될까 염려스럽지만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답변 부탁드려요.

먼저 델파이 dll은 수정이 안된다는 것을 알립니다

해당 델파이 dll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함수의 형태는

function DLLGet(AData: PWData) : boolean; stdcall;

입니다.

PWData 타입은 word 타입의 배열 [0..47, 0..127] 의 형태로 포인터를 가리킵니다.
c#으로 따지면 ushort[,] aData = new ushort[48, 128]; -> &aData 라고 할까요.
즉 저 매개변수에는 해당 배열의 주소가 들어가야 합니다.

해당 함수가 보아하니 매개변수로 주소가 들어가서 그 주소를 참조한 다음에 각 배열의 위치에 값을 셋팅해주는 듯 합니다. 그리고 셋팅이 정상적이면 true를 리턴하고 아니면 false를 리턴하고요.

델파이에서 DLLGet의 사용예시는

data := array[0..47, 0..127] of word
DLLGet(@data);

입니다.

이 함수를 C#에서 사용하려 합니다. 그러다보니 속성에서 안전하지 않은 코드 사용 체크를 했습니다. 그 후 코드를 작성하는데요.

[DllImport("GetDataFile.dll", CallingConvention = CallingConvention.StdCall, CharSet = CharSet.Auto)]
public static unsafe extern bool DLLGet(ushort* AData);

private unsafe void button1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ushort[,] data = new ushort[48, 128];
            fixed (ushort* dataPtr = data)
            {
                bool isSussess = false;
                bool isOk = DLLGet(*&dataPtr);
                //bool isOk = DLLGetData(dataPtr);
                //bool isOk = DLLGetData((ushort*)*dataPtr);
                Delay(1000);
                if (!isOk)
                {
                    MessageBox.Show("실패");
                    return;
                }
                for(int idx = 0; idx< 48; idx++)
                {
                    for(int jdx = 0; jdx< 128; jdx++)
                    {
                        if (data[idx, jdx] != 0)
                        {
                            isSussess = true;
                            Console.WriteLine("x : {0}, y : {1}, value : {2}", idx, jdx, data[idx, jdx]);
                        }
                    }
                }
                if (!isSussess) MessageBox.Show("변화 없음");
            }
        }

public void Delay(int ms)
        {
            DateTime dateTimeNow = DateTime.Now;
            TimeSpan duration = new TimeSpan(0, 0, 0, 0, ms);
            DateTime dateTimeAdd = dateTimeNow.Add(duration);
            while (dateTimeAdd >= dateTimeNow)
            {
                System.Windows.Forms.Application.DoEvents();
                dateTimeNow = DateTime.Now;
            }
            return;
        }

Dll 내부에서 다른 스레드로 작업하는 듯 하여 딜레이 함수를 사용해서 넣었습니다.(확실하진 않습니다. dll 내부를 볼 수 없어서요 ㅠㅠ)
button1_Click 함수를 보시면 주석 처리한
//bool isOk = DLLGetData(dataPtr);
//bool isOk = DLLGetData((ushort*)*dataPtr);
이 부분이 있는데 뭘 해도 data에 값이 변하지 않더라고요.

다만 여기서 bool isOk = DLLGetData((ushort*)*dataPtr); 이걸로 해봤을 때는
'보호된 메모리를 읽거나 쓰려고 했습니다. 대부분 이렇나 경우는 다른 메모리가 손상되었음을 나타냅니다.' 라고 오류가 나타납니다.

결론은 델파이에서 한 것과 같이 주소를 넘겨서 data 배열 변수에서 변경된 값을 받고 싶다는 것 입니다.






c#에서 포인터를 쓰지 않는 것을 권장해서 아무리 검색을 해도 찾기가 힘드네요. 이젠 여기 말고 도움 받을 곳이 없습니다. ㅠㅠ
부디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 혹시나 싶어서 public static unsafe extern bool DLLGet(ushort* AData); 여기에 ref를 넣은
public static extern bool DLLGet(ref ushort[,] AData); 를 했을 때는 그냥 디버깅이 오류 하나 없이 종료되었습니다. 아마 dll 에서 문제가 있었던 듯 하여 ref는 사용하기 힘들 듯 합니다. ㅠㅠ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4/2022]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10-14 05시59분
잘 하셨습니다. 그냥 dataPtr로 호출해도 되고, *&dataPtr로 해도 됩니다. 값이 변하지 않은 것은, 실제로 C/C++ 측에서 값을 변화시키지 않아서 그럴 것입니다. 따라서, C/C++ 측에 대한 호출 준비가 정상적으로 된 것인지 그와 관련해서 확인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참고로, (ushort *)*dataPtr로 했을 때 오류가 발생하는 것은 "*dataPtr" 값이 0이고 그것을 포인터 주소로 변환했으니, C/C++ 측에서는 0 주소에 값을 쓰려고 했기 때문에 예외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정성태
2022-10-17 11시21분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in,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141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5650김기헌4/19/202210567WPF 리소스 관련 질문드립니다 [3]
5649주니어4/15/202210160ffmpeg 질문 있습니다! [2]
5648주니어개...4/13/202210359컴파일된 코드를 원시코드로 바꾸려면 어떻게해야하나요? [1]파일 다운로드1
5647장성욱4/7/202210332코어지정 CPU사용률 관련 질문 [1]
5646서형주4/6/202210543List에 여러개의 class 객체를 만들어 넣을때, 객체의 method들도 같이 생성되어 메모리를 차지하나요? [1]
5645김인태4/6/20229944윈도우즈 서버의 AD 계정 생성 조건이 있을까요? [1]
5644ㅇㅇ4/6/202210924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리눅스상에 파일 생성이 가능한가요? [1]
5643유필재4/5/202210991TCP클라이언트 연결 및 통신관련하여 문의드려요 [1]
5642차가워4/4/202211414UdpClient 패킷 수신 문의 [4]
5641장성욱4/4/202211342코어 할당 및 cpu 부하테스트 질문 [7]
5640icoo...4/4/202211523웹가든에서 메모리 동적 업데이트 방법 [1]
5639차가워4/4/202211488c++ 서버 c# 클라이언트 호환 문의 [1]
5638초급4/3/202211958c# sql server 연동 [1]
5637따봉이4/1/202212681Winform Form Load 후 자동 캡쳐관련 [1]파일 다운로드1
5636김철순3/31/202212106WPF에서 Richtext의 View 문의 [5]
5635guest3/30/202211473안정적인 pinning이 가능하네요. [3]파일 다운로드1
5633꿀주세요3/30/202211313선생님 마우스 클릭이벤트 질문이 있습니다. [4]
5632김현수3/30/202211803Remote Desktop으로 접속시 WPF UI 가 다시 그려지는 이벤트를 막을 수 없을까요? [3]
5631김기헌3/24/202211376WPF 컨트롤의 그래픽 처리관련 질문드립니다 [2]파일 다운로드1
5630장성욱3/24/202211139로깅관련 질문입니다. [2]
5629감사합니...3/23/202211815함수에서 예외가 발생하면 try ~ catch처리기를 찾을 때 까지 상위 함수로 계속 올라가나요? [2]
5628홍길동3/23/202212578질문드립니다. [2]파일 다운로드1
5626연준혁3/21/202211620안녕하세요. [3]
5625jaew...3/18/202212422c# 8.0 도서를 구입한 사람입니다. [1]
5624초보자3/17/202211286람다 캡처 관련 문의 [2]
5623한예지 donator3/15/202211067인터프리터 원리가 궁금합니다. [4]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