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catch(Exception ex)의 line번호를 쉽게 알 수 없는지요?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2713
글쓴 사람
검은콩
홈페이지
첨부 파일
 

StackTrace를 이용한 방법도 사용해봤으나 pdb파일이 있음을 전제로 하네요.
(출처: https://icodebroker.tistory.com/12613 )

근데 MS에서 왜 이걸 이렇게 한 이유를 모르겠네요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3/2023]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3-02-13 02시55분
어느 것을 사용하든 pdb 파일은 있어야 합니다. 만약 pdb 파일이 별도로 나오는 것을 원치 않는다면 DebugType을 이용해 embedded 시키면 됩니다. (.NET Framework 프로젝트 제외)

C# - PublishSingleFile과 관련된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3159#pdb

C# Compiler Options that control code generation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sharp/language-reference/compiler-options/code-generation
정성태
2023-02-13 03시19분
[검은콩] 빠른 답변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또 다른 질문은
디버깅이 초기 유입되는 VS 사용자에게 대단히 중요한 기본 기능인데
왜 굳이 복잡한 옵션 설정을 추가를 해야 bug line number를 얻을 수
있도록 했을까요? 다른 더 복잡한 기능은 구현해 놓았으면서요
[guest]
2023-02-13 03시38분
"초기 유입되는" Visual Studio 사용자 입장에서 왜 pdb 파일이 분리되는 것이 중요하죠? Visual Studio를 사용해 개발하는 동안에는 어차피 로컬에서 테스트하므로 pdb 유무를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문제는, 배포인데 배포할 때도 (모르면) 그냥 포함해서 배포하면 됩니다.

...라는 생각이지 않을까요? ^^ 검은콩 님의 지금 PC에서 C:\Program Files 디렉터리를 살펴보시면 아마 exe/dll은 포함해도 그것의 pdb 파일은 없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게 용량이 좀 큽니다. 그걸 exe에 포함했으면... 아마 어떤 분은 왜 마이크로소프트가 만든 exe는 용량이 크냐고 물었을 것입니다.

참고로, 잘 조직된 개발팀이라면 Symbol Server를 운영하기도 합니다.

Symbol Server 생성
; https://www.sysnet.pe.kr/2/0/323

그런 경우, pdb 파일을 함께 배포할 필요가 없어 배포 파일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장점을 누리면서, 배포한 바이너리와 함께 생성한 PDB 파일만 별도로 서버에서 제공하기 때문에 개발자가 디버깅하는 데 불편함이 없습니다. (실제로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운영체제 및 닷넷 등의 바이너리에 대해 symbol server를 운영합니다.)
정성태
2023-02-13 03시50분
[검은콩] 좀 더 깊은 세계가 있네요 ㅎㅎ
캄사합니다
버그 라인 찾는 프로세스가 생각보다 쉬운 작업이 아니라고 이해하겠습니다
근데 여전히 MS가 catch(Exception ex) ex.errorline이렇게 만들어 주기를 기대해봅니다
[guest]
2023-02-13 04시31분
[검은콩] Symbol Server는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 user에게는 쓸 수
없는 것 아닌지요? 하여간 MS를 원망해봅니다ㅎ
[guest]
2023-02-13 06시06분
아니... ^^; 1) pdb 포함 옵션도 줬고 2) pdb 파일을 같이 배포하는 방법도 있고 3) symbol server로 뺄 수도 있게 다양한 옵션을 줬는데... 딱히 원망할 일은... ^^;;;
정성태
2023-02-13 07시04분
[검은콩] 오잉 ^^
대화를 나누던 중 catch(Exception ex){ ex.ToString();
을 시도했습니다 그랬더니 줄번호가 나오면서 에러메시지도 나오네요
이게 ex.Message보다 효자네요

전 이 정도면 만족합니다
감사합니다
[guest]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2유창우11/16/201327464자마린이 궁금... [8]
1181허관11/11/201317028책 샀습니다! [1]
1180김형지11/6/201321288안녕하십니까.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아 여쭙고자 합니다ㅠ [1]파일 다운로드1
1179이민석11/4/201321260[긴급질문] [in,out] 배열을 C# 에서 C/C++ 로 넘기는 방법 - 두번째 이야기 관련 질문.. [6]파일 다운로드1
1178박진영11/1/201320591[급질문] IIS 하위 가상폴더 구성 문의 [4]
1177Jeon...10/28/201317018안녕하세요~ 어머니께 물어서 사이트를 찾아왔어요 [2]
1176김태훈10/25/201317108AxWebBrowser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1175서경희10/20/201322070netscape 지원이 되지 않는다는 문구.. [2]파일 다운로드1
1174임동찬10/16/201321337프리징 현상에 대한 고민 [5]
1173김재영10/8/201316172인터페이스에 대해 기초적 질문이 있습니다. [2]파일 다운로드1
1172박진영10/2/201319183웹사이트 연결시 AJAX 어셈블리 오류 문의드립니다. [5]파일 다운로드1
1171링거8/30/201327397ClickOnce 업데이트 문제. [4]
1170임동찬8/28/201318422비동기적 이벤트 핸들링 방법 [2]
1167나종식8/20/201317434win7 에서 LSP 가 DNS Client 에 인젝션 안되는 문제 [6]
1165임동찬8/19/201316774오류 발생시 로깅 문제.. [3]
1164박철8/19/201317440모바일 게임서버를 작성 하려면 무엇부터 시작하여야 하나요? [2]
1163안연준8/2/201316790음... 안녕하세요 ^^ 윈도우즈 폼에 대해서 잠시 물어볼께요 [3]
1162박진영7/23/2013152601개의 PC에서 동일사이트 접속제한을 어떻게 하죠? [1]
1161Ji Y...7/12/201317995안녕하세요? 음성인식 관련해서 질문있습니다, [2]
1160이상식7/12/201318281웹서비스 커넥션 풀 오류입니다. [6]
1159김덕성7/4/201326972C# 마샬링 관련 문의입니다 [3]
1157이상식6/26/201320245빌드시 오류인데 원인을 모르겠네요. [2]파일 다운로드1
1156정환나라6/20/201317619In-Process Side-By-Side 동작 원리는 어떻게 되는걸까요? [3]
1155MD워시퍼6/20/201316632안녕하세요. 한가지 궁금한 것이 있어서 문의를 드립니다. [1]
1154it 대...6/13/201319821무선 패킷 스니핑 프로그램 [1]
1153이상헌6/8/201317272죄송합니다;; 또다시 의문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