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ube(유튜브) 버퍼링 문제 해결
PARKOZ 게시판에서 아주 좋은 팁이 올라왔습니다.
[통신] KT 및 파워콤용 Youtube(유튜브) 버퍼링 문제 해결 (hosts변경, #수정3)
;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my_tips&no=13903
사실, 저는 느린지도 모르고 그 동안 Youtube 동영상을 봤었는데요. 혹시나 싶었는데 위의 게시판 글을 보고 적용을 해보니 차이가 너무 분명해서 놀랐습니다.
위의 글에도 나오지만 제공되고 있는 DNS IP 목록이 효과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제 경우가 그랬는데요. 그래서, 댓글에서 조언해 주는 데로 DNS IP 목록에서 74.125.175.* 목록을 전부 74.125.102.* 로 바꿔보았더니 차이가 분명해졌습니다. 아바타 HD 트레일러 테스트에서 1080p 동영상이 아주 매끄럽게 재생되었습니다.
(참고로, 목록을 HOSTS 파일에 저장한 후 실행되어 있던 IE 를 모두 종료하고 "ipconfig /flushdns" 명령을 관리자 권한으로 해주었습니다.)
부가적으로, 검색을 해봤더니 아래와 같은 글들도 나왔습니다.
유투브(Youtube) 영상 버퍼링을 완벽하게 해결하는 방법
; http://www.ahngun.com/87
위에서 제시하는 데로 구글의 OpenDNS를 적용해 보았더니 PARKOZ 글에서 공개한 복잡한 IP목록을 설정하지 않아도 Youtube 동영상이 아주 매끄럽게 재생이 되었습니다.
문제는 ^^ 국내 사이트 - 일례로 Naver 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의 이미지가 "blogimgs.naver.com" 로부터 다운되는데 이 DNS를 풀이하지 못하더군요. ping을 해보면 "a62.g.akamai.net [96.17.8.169]" 로 나옵니다.
그래서, 일단 구글의 OpenDNS는 포기!
아래의 글도 재미있습니다.
YouTube<유투브> 버퍼링 속도 높이기 최종판
; http://greenwings.tistory.com/243
아예, Youtube 동영상 볼 때와 그렇지 않을 때를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제가 선택한 방법은? 첫번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