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우분투 설치 시 "CHS: Error 2001 reading sector ..." 오류 발생 우분투 설치를 위해, How to Create Ubuntu, Linux OS Bootable USB in Windows ; https://www.debugpoint.com/2018/09/how-to-create-ubuntu-linux-os-bootable-usb-in-windows/ 윈도우에서 USB 장치에 Rufus를 이용해 준비했습니다. Rufus ; https://rufus.ie/ Rufus 3.11 Portable ; https://github.com/pbatard/rufus/releases/download/v3.11/rufus-3.11p.exe 대상 컴퓨터에 해당 USB를 연결한 후 BIOS 설정에서 부팅 우선순위를 바꾸고 우분투 설치 화면 전의 로딩 화면으로 진입을 했는데, [출처: https://askubuntu.com/questions/162075/my-computer-boots-to-a-black-screen-what-options-do-i-have-to-fix-it] 한참을 멈춰 있더니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생략]... CHS: Error 2001 reading sector 4160159 (259/21/50) EDD: Error 2000 reading sector 4162207 ...[생략]... 설마... 하는 마음으로 Rufus의 "Check device for bad blocks" 옵션을 켜고 다시 USB 장치를 굽는데, 보는 바와 같이 진짜로 "Bad Blocks"가 있습니다. (32GB USB라 꽤 아끼던 거였는데... ^^;) 다른 USB로 교체 후 정상적으로 설치 끝!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오류 유형: 655. 코어 모드의 윈도우는 GUI 모드의 윈도우로 교체가 안 됩니다.[이전 글] 오류 유형: 653. Windows - Time zone 설정을 바꿔도 반영이 안 되는 경우 [최초 등록일: 9/21/2020 ] [최종 수정일: 9/21/2020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쓴 사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404정성태11/22/2020721.NET Framework: 964. C# 9.0 - (13) 모듈 이니셜라이저(Module initializers)112403정성태11/22/2020798.NET Framework: 963. C# 9.0 - (12) foreach 루프에 대한 GetEnumerator 확장 메서드 지원(Extension GetEnumerator)112402정성태11/22/20201009.NET Framework: 962. C# 9.0 - (11) 공변 반환 형식(Covariant return types) [1]112401정성태11/5/2020651VS.NET IDE: 153.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의 "My Code" 범위와 "Enable Just My Code"의 역할12400정성태11/5/2020584오류 유형: 679. Visual Studio - "Source Not Found" 창에 "Decompile source code" 링크가 없는 경우12399정성태11/22/2020715.NET Framework: 961. C# 9.0 - (10) 대상으로 형식화된 조건식(Target-typed conditional expressions)112398정성태11/4/2020581오류 유형: 678. Windows Server 2008 R2 환경에서 Powershell을 psexec로 원격 실행할 때 hang이 발생하는 문제12397정성태11/4/2020692.NET Framework: 960. C# - 조건 연산자(?:)를 사용하는 경우 달라지는 메서드 선택 사례112396정성태11/3/2020613VS.NET IDE: 152. Visual Studio - "Tools" / "External Tools..."에 등록된 외부 명령어에 대한 단축키 설정 방법12395정성태11/3/2020447오류 유형: 677. SSMS로 DB 접근 시 The server principal "..." is not able to access the database "..." under the current security context.12394정성태11/3/2020483오류 유형: 676. cacls - The Recycle Bin on ... is corrupted. Do you want to empty the Recycle Bin for this drive?12393정성태11/3/2020641오류 유형: 675. Visual Studio - 닷넷 응용 프로그램 디버깅 시 Disassembly 창에서 BP 설정할 때 "Error while processing breakpoint." 오류12392정성태11/22/20201000.NET Framework: 959. C# 9.0 - (9) 레코드(Records) [3]112390정성태11/1/2020654디버깅 기술: 173. windbg - 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ErrorsException 예외 분석 방법12389정성태11/22/2020878.NET Framework: 958. C# 9.0 - (8) 정적 익명 함수 (static anonymous functions)112388정성태10/29/2020597오류 유형: 674. 어느 순간부터 닷넷 응용 프로그램 실행 시 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ErrorsException 예외가 발생한다면?12387정성태10/29/2020780.NET Framework: 957. C# - static 필드의 정보가 GC Heap에 저장될까요?112386정성태10/28/2020711Linux: 34. 사용자 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리눅스의 ps 명령어 사용 방법12385정성태10/28/2020549오류 유형: 673. openssl - req: No value provided for Subject Attribute CN, skipped12384정성태10/27/2020618오류 유형: 672. AllowPartiallyTrustedCallers 특성이 적용된 어셈블리의 struct 멤버 메서드를 재정의하면 System.Security.VerificationException 예외 발생12383정성태11/22/2020917.NET Framework: 956. C# 9.0 - (7) 패턴 일치 개선 사항(Pattern matching enhancements) [1]112382정성태11/13/2020677오류 유형: 671. dotnet build - The local source '...' doesn't exist12381정성태10/26/2020716VC++: 137. C++ stl map의 사용자 정의 타입을 key로 사용하는 방법112380정성태10/26/2020488오류 유형: 670. Visual Studio - Squash_FailureCommitsReset12379정성태10/26/2020830.NET Framework: 955. .NET 메서드의 Signature 바이트 코드 분석212378정성태10/20/2020875.NET Framework: 954. C# - x86/x64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P/Invoke 함수의 export 이름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