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블로그"가 많이 유행하고 있지요. 음... 요즘이 아니라 좀 되었군요. ^^;
사실, 블로그가 일반 게시판과 크게 다른 것은 없습니다. 일기장 형식, 댓글 기능까지 모두 기존 게시판에서도 동일하게 지원하던 것들인데, 왜 그리 "뜨는"지 궁금해지더군요. ^
무엇보다도 블로그가 기존 게시판과 다른 면이 "RSS" 표준을 지원한다는 것이죠.
RSS에 대해서 잘 모르시겠지만, 어디든지 블로그 페이지에 가보면, "XML" 또는 "RSS"라는 버튼이나 링크를 보셨을 것입니다. 즉, 해당 게시물을 사이트 방문을 통해서 읽는 기능 이외에 그러한 "RSS"만 RssReader에 등록해 두고 "사이트 방문 없이" 읽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입니다.
저 같은 경우에. 개발을 하다 보니 항상 신기술에 대한 습득과 현재 개발에 대한 지식들을 같이 얻기 위해서 많은 사이트를 돌아다녀야 했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돌아다녔었습니다. 최근에는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안 들어가거나, 아예 하루에 1~2개 정도의 웹 사이트만 고정적으로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한마디로, 지친 거죠. 그런데, Rss를 지원하는 블로그의 탄생은, 그러한 저에게 신선하게 다가왔습니다. 해당 사이트를 굳이 방문하지 않아도 RSS Reader 프로그램이 주기적으로 새로운 게시물을 받아오니까, 저로서는 별 수고로움 없이 그 글을 읽게 되어 "편해진" 것입니다.
그렇다고, 블로그가 만능은 아닙니다. 사용자들과의 상호 작용이 없다는 단점이 있지요. 여전히 사용자들은 해당 블로그를 쓴 사람과 의견 교환을 하려면 그 사이트를 방문해서 글을 남겨야 합니다. 아마도, 앞으로의 RSS 표준은 그에 관한 지원을 포함해야 할 것입니다.
아무튼, 제가 이용하는 RSS Reader는 다음의 URL에 있습니다.
http://www.rssreader.com/download.htm
여러분들도 직접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해 보세요. 그런 후, 자신이 좋아하는 블로그 사이트에서 "XML" 또는 "RSS"라고 씌여진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XML 파일의 "URL"을 RssReader에 등록을 하십시오.
그럼, 해당 사이트에 방문하지 않고도 글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나름대로 잘만 사용하면, ^^ 웹 서핑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