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0개 있습니다.)
VS.NET IDE: 60. Output 경로에 매크로 상수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688

개발 환경 구성: 91.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플랫폼(x86/x64)별 빌드
; https://www.sysnet.pe.kr/2/0/963

개발 환경 구성: 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
; https://www.sysnet.pe.kr/2/0/965

개발 환경 구성: 102. MSBuild - DefineConstants에 다중 전처리 값 설정
; https://www.sysnet.pe.kr/2/0/988

개발 환경 구성: 115. MSBuild - x86/x64, .NET 2/4, debug/release 빌드에 대한 배치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017

개발 환경 구성: 372. MSBuild - 빌드 전/후, 배포 전/후 실행하고 싶은 Task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1507

개발 환경 구성: 452. msbuild - csproj에 환경 변수 조건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1985

개발 환경 구성: 580. msbuild의 Exec Task에 robocopy를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16

개발 환경 구성: 693. msbuild - .NET Core/5+ 프로젝트에서 resgen을 이용한 리소스 파일 생성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1

닷넷: 2235. MSBuild - AccelerateBuildsInVisualStudio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3593




MSBuild - x86/x64, .NET 2/4, debug/release 빌드에 대한 배치 처리

예전에 기록해 두었던 빌드 스크립트 관련해서 먼저 몇 가지 소개하고, ^^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플랫폼(x86/x64) 별 빌드
; https://www.sysnet.pe.kr/2/0/96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
; https://www.sysnet.pe.kr/2/0/965

하나의 WPF 프로젝트를 WinExe / Library로 빌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993

MSBuild를 이용한 VC++ 프로젝트 빌드
; https://www.sysnet.pe.kr/2/0/871

빌드 스크립트에 Code Coverage 추가
; https://www.sysnet.pe.kr/2/0/926

배치 파일로 팀 빌드 구성
; https://www.sysnet.pe.kr/2/0/905

그래도 여전히 소개되지 않은 빌드 타겟이 있었군요. 바로 ".NET 3.5" / ".NET 4.0"용 빌드 결과물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기왕 이렇게 된거, ^^ 이참에 정리도 할 겸 다음과 같은 모든 빌드 결과물을 산출해내는 배치 파일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 x86 debug .NET 3.5
  • x86 release .NET 3.5
  • x64 debug .NET 3.5
  • x64 release .NET 3.5
  • x86 debug .NET 4.0
  • x86 release .NET 4.0
  • x64 debug .NET 4.0
  • x64 release .NET 4.0

테스트 유효성 검사를 위해 콘솔 프로그램을 하나 만들고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코드를 추가해 보았습니다.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f (IntPtr.Size == 4)
        {
            Console.Write("x86 ");
            Trace.Assert(args[0] == "x86");
        }
        else
        {
            Console.Write("x64 ");
            Trace.Assert(args[0] == "x64");
        }

#if DEBUG
        Console.Write("debug ");
        Trace.Assert(args[2] == "debug");
#else
        Console.Write("release ");
        Trace.Assert(args[2] == "release");
#endif

        Console.WriteLine(".NET Framework: " + Environment.Version.ToString());

        if (Environment.Version.Major == 4)
        {
            Trace.Assert(args[1] == "4");
        }
        else
        {
            Trace.Assert(args[1] == "2");
        }
    }
}

이렇게 한 번에 빌드를 하는 결과물을 만들어 내려면 우선 app.config에서 supportedRuntime 설정을 제거해야 합니다.

<?xml version="1.0"?>
<configuration>
    <!--<startup><supportedRuntime version="v4.0" sku=".NETFramework,Version=v4.0"/></startup>-->
</configuration>

그런 후, 다음과 같이 PlatformTarget, Platform, TargetFrameworkVersion 속성값을 조정해서 빌드를 시원하게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FOR /F %%I IN ("%0") DO SET CURRENTDIR=%%~dpI
SET SOLUTIONDIR=%CURRENTDIR%

SET PROJECTPATH=%SOLUTIONDIR%ConsoleApplication1\ConsoleApplication1.csproj

REM ================== .NET 3.5 ======================

REM x86 / Debug
msbuild "%PROJECTPATH%" /t:rebuild /p:Configuration=Debug /p:PlatformTarget=x86;Platform=x86;TargetFrameworkVersion=v3.5

:Net35x86Release
REM x86 / Release
msbuild "%PROJECTPATH%" /t:rebuild /p:Configuration=Release /p:PlatformTarget=x86;Platform=x86;TargetFrameworkVersion=v3.5

:Net35x64Debug
REM x64 / Debug
msbuild "%PROJECTPATH%" /t:rebuild /p:Configuration=Debug /p:PlatformTarget=x64;Platform=x64;TargetFrameworkVersion=v3.5 

:Net35x64Release
REM x64 / Release
msbuild "%PROJECTPATH%" /t:rebuild /p:Configuration=Release /p:PlatformTarget=x64;Platform=x64;TargetFrameworkVersion=v3.5 

"%SOLUTIONDIR%ConsoleApplication1\bin\Debug\ConsoleApplication1.exe" x86 2 debug
"%SOLUTIONDIR%ConsoleApplication1\bin\Release\ConsoleApplication1.exe" x86 2 release
"%SOLUTIONDIR%ConsoleApplication1\bin\x64\Debug\ConsoleApplication1.exe" x64 2 debug
"%SOLUTIONDIR%ConsoleApplication1\bin\x64\Release\ConsoleApplication1.exe" x64 2 release

pause

REM ================== .NET 4.0 ======================

:Net40x86Debug
REM x86 / Debug
msbuild "%PROJECTPATH%" /t:rebuild /p:Configuration=Debug /p:PlatformTarget=x86;Platform=x86;TargetFrameworkVersion=v4.0

:Net40x86Release
REM x86 / Release
msbuild "%PROJECTPATH%" /t:rebuild /p:Configuration=Release /p:PlatformTarget=x86;Platform=x86;TargetFrameworkVersion=v4.0

:Net40x64Debug
REM x64 / Debug
msbuild "%PROJECTPATH%" /t:rebuild /p:Configuration=Debug /p:PlatformTarget=x64;Platform=x64;TargetFrameworkVersion=v4.0

:Net40x64Release
REM x64 / Release
msbuild "%PROJECTPATH%" /t:rebuild /p:Configuration=Release /p:PlatformTarget=x64;Platform=x64;TargetFrameworkVersion=v4.0

"%SOLUTIONDIR%ConsoleApplication1\bin\Debug\ConsoleApplication1.exe" x86 4 debug
"%SOLUTIONDIR%ConsoleApplication1\bin\Release\ConsoleApplication1.exe" x86 4 release
"%SOLUTIONDIR%ConsoleApplication1\bin\x64\Debug\ConsoleApplication1.exe" x64 4 debug
"%SOLUTIONDIR%ConsoleApplication1\bin\x64\Release\ConsoleApplication1.exe" x64 4 release

:EndOfBuild

위의 스크립트에 문제가 하나 있다면? bin 폴더 하위에 .NET 3.5 결과물과 .NET 4.0 결과물이 모두 덮어써지게 됩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을 보시고 개선해 주시면 됩니다. (SolutionDir 속성을 정의하고 외부에서 지정)

Output 경로에 매크로 상수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688

첨부된 파일은 이에 대한 테스트용 프로젝트 및 배치파일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정성태3/7/200515304    답변글 VS.NET IDE: 28.1. [추가] SQL 2005 /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이 올라왔네요. [1]
112정성태11/14/200516548        답변글 VS.NET IDE: 28.2. [추가]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 VC++ )
127정성태3/29/200514594        답변글 VS.NET IDE: 28.4. [추가] SQL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123정성태3/25/200518498    답변글 .NET Framework: 28.3. Uninstalling software without using Add Remove Programs...
108정성태3/4/200517947.NET Framework: 27. 시스템 이벤트 로그에 쌓이는 {00020906-0000-0000-C000-000000000046} 보안에러
107정성태3/1/200518162COM 개체 관련: 15. COM: Control 유형인 경우, IObjectWithSite 를 구현해도 SetSite/GetSite 가 호출이 안됨
106정성태2/28/200517472COM 개체 관련: 14. 탐색기 "처럼" 파일 열기
105정성태2/28/200516524.NET Framework: 26. VS.NET 2005 : 설치 프로젝트 - .NET Framework 설치 강제화
139정성태11/14/200514715    답변글 .NET Framework: 26.1. ^^ 역시, 배려가 되어 있네요. 제가 못 찾은 것이었습니다.
104정성태2/27/200517412VS.NET IDE: 23. MSI 설치 중에 GetLocalTime / GetSystemTime API 사용
132정성태3/30/200517034    답변글 VS.NET IDE: 23.1. [추가]: MSI 설치 동작 원리
102정성태2/16/200519686.NET Framework: 25. Verify that you are a member of the 'Debugger Users' group on the server. [2]
101정성태2/15/200517413.NET Framework: 24. WMI Win32_NTLogEvent 관리 이벤트를 Windows 2000 에서는 "Access Denied" 가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00정성태2/15/200523503VS.NET IDE: 22. 방화벽 환경에서의 WMI 연결을 위한 포트 설정 [2]
99정성태2/15/200521519COM 개체 관련: 13. 비동기 Drag & Drop 구현 : IAsyncOperation
103정성태2/23/200517732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3.1. [관련 자료] 그외 Drag & Drop 링크파일 다운로드1
97정성태2/14/200520690VS.NET IDE: 21. 설치된 Platform SDK 버전확인 방법
96정성태2/14/200522704기타: 9. http://www.google.com/webhp?complete=1&hl=en 검색에 관해서.
95정성태2/14/200532047VS.NET IDE: 20. Win32 특권 정리 [1]
94정성태1/29/200523332VC++: 13. VS.NET 2005 VC++ 컴파일러 에러 : cannot instantiate abstract class
93정성태1/29/200519239VS.NET IDE: 19. 혹시 VS.NET 2005 Beta2(2004/12 CTP Team System 버전)이 다운이 자주 되나요? [2]
92정성태1/29/200518060.NET Framework: 23. Unmanaged 환경에서 Managed DLL에 정의된 메서드 호출 시 오류 확인하는 방법
91정성태11/14/200518678VC++: 12. VS.NET 2005 VC++ Debug: Expression: ( (state != ST_INVALID ) )
90정성태1/27/200519479.NET Framework: 22. Debug: The underlying connection was closed: Unable to connect to the remote server.
89정성태1/26/200523974VC++: 11. Delay Loaded DLL
87정성태1/23/200517548VS.NET IDE: 18. VS.NET 2005 Beta 1 - VC++ 프로젝트에서 Connection Point 구현시 버그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