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524. .NET 4.0과 .NET 4.5의 컴파일 결과 차이점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000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NET 4.0과 .NET 4.5의 컴파일 결과 차이점

C# 프로젝트를 만들고, 프로젝트 속성 창의 "Target framework" 값을 ".NET Framework 4"로 하면 app.config에 다음과 같은 값이 추가되고,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figuration>
    <startup> 
        <supportedRuntime version="v4.0" sku=".NETFramework,Version=v4.0"/>
    </startup>
</configuration>

".NET Framework 4.5"로 설정하면 Version 속성 값만 살짝 4.5로 바뀝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figuration>
    <startup> 
        <supportedRuntime version="v4.0" sku=".NETFramework,Version=v4.5"/>
    </startup>
</configuration>

그런데, .NET 수준에서 알려지지 않은 변화들이 있습니다. 이것은 dumpbin.exe를 이용해야 확인할 수 있는 것들인데요. 실제로 ^^ .NET 4.0과 .NET 4.5로 컴파일된 C# EXE 파일을 dumpbin.exe로 살펴보면 다음의 2가지 주요 차이점이 나옵니다.

=========== .NET 4.0

Subsystem version: 4.00
DLL Characteristics: 8540

=========== .NET 4.5

Subsystem version: 6.00
DLL Characteristics: 8560
    추가 - High Entropy Virtual Addresses

Subsystem은 다음의 문서에 적힌 바,

/subsystemversion (C# Compiler Option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sharp/language-reference/compiler-options/subsystemversion-compiler-option

Store App 또는 ARM 지원 응용 프로그램이 아닌 동시에 .NET 4.5로 지정하지 않은 모든 C# 응용 프로그램의 기본 Subsystem 버전이 4.0입니다. 그리고, .NET 4.5로 지정된 경우에는 Subsystem 버전이 6.0으로 바뀐다고 문서에 잘 적혀 있습니다.

Subsystem 6.0이 의미하는 운영체제는 Windows Vista인데, 따라서 .NET 4.5용 응용 프로그램들은 비스타 이전의 운영체제에서는 실행할 수 없습니다. 이 제한은 .NET Framework 4.5가 요구하는 시스템 사양과도 일치합니다.

Microsoft .NET Framework 4.5 
; http://www.microsoft.com/en-us/download/details.aspx?id=30653

Supported Operating System

Windows 7 Service Pack 1, Windows Server 2008 R2 SP1, Windows Server 2008 Service Pack 2, Windows Vista Service Pack 2 

그리고 또 한가지의 변화는 DLL 특징에 "High Entropy Virtual Addresses" 옵션이 추가된 점입니다.

/highentropyva (C# Compiler Option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sharp/language-reference/compiler-options/highentropyva-compiler-option

ASLR(Address Space Layout Randomization) 기능을 좀 더 강화해서 64비트 응용 프로그램일 때는 기본적으로 4GB 너머로 메모리 주소를 흩어버리는 것입니다. 이 기능을 확인하고 싶다면 unsafe 특성을 이용해 보면 됩니다. .NET 4.0 + x64로 콘솔 EXE를 다음의 코드로 만들어 (Allow unsafe code 옵션과 함께 컴파일해) 실행해 보면,

using System;

class Program
{
    static unsafe void Main(string[] args)
    {
        byte[] contents = new byte[1024];
        fixed (byte* ptr = &contents[0])
        {
            IntPtr pVoid = new IntPtr(ptr);
            Console.WriteLine("Addr of ptr: 0x" + pVoid.ToInt64().ToString("x"));
            // 출력 결과: Addr of ptr: 0x2d54560
        }
    }
}

출력된 주소 위치가 4GB 하위(< 0xffffffff)에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반면, .NET 4.5로 대상 프레임워크를 맞추고 동일한 소스코드를 재컴파일만해도 출력 결과가 4GB 너머(> 0xffffffff)의 주소로 바뀌고 실행할 때마다 주소의 변화가 큽니다.

Addr of ptr: 0x5e09884560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6/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01-22 05시53분
정성태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59정성태6/25/201828652개발 환경 구성: 384. 영문 설정의 Windows 10 명령행 창(cmd.exe)의 한글 지원 [6]
11558정성태6/24/201822292.NET Framework: 775. C# 7.3 - unmanaged(blittable) 제네릭 제약파일 다운로드1
11557정성태6/22/201821758.NET Framework: 774. C# - blittable 타입이란?파일 다운로드1
11556정성태6/19/201828624.NET Framework: 773. C# 7.3 - 구조체의 고정 크기를 갖는 fixed 배열 필드에 대한 직접 접근 가능 [1]파일 다운로드1
11555정성태6/18/201820302.NET Framework: 772. C# 7.3 - 사용자 정의 타입에 fixed 적용 가능(Custom fixed)파일 다운로드1
11554정성태6/17/201822341.NET Framework: 771. C# 7.3 - 자동 구현 속성에 특성 적용 가능(Attribute on backing field)
11553정성태6/15/201821902.NET Framework: 770. C# 7.3 - 개선된 메서드 선택 규칙 3가지(Improved overload candidates)파일 다운로드1
11552정성태6/15/201823904.NET Framework: 769. C# 7.3에서 개선된 문법 4개(Support == and != for tuples, Ref Reassignment, Constraints, Stackalloc initializers)파일 다운로드1
11551정성태6/14/201820501개발 환경 구성: 383. BenchmarkDotNet 사용 시 주의 사항
11550정성태6/13/201820399.NET Framework: 768. BenchmarkDotNet으로 Span<T> 성능 측정 [2]
11549정성태6/13/201822087개발 환경 구성: 382. BenchmarkDotNet에서 생성한 BuildPlots.R 파일을 실행하는 방법
11548정성태6/13/201819294오류 유형: 470. .NET Core + BenchmarkDotNet 실행 시 프레임워크를 찾지 못하는 문제
11547정성태6/13/201824404.NET Framework: 767. BenchmarkDotNet 라이브러리 소개파일 다운로드1
11546정성태6/12/201824550.NET Framework: 766. C# 7.2의 특징 - GC 및 메모리 복사 방지를 위한 struct 타입 개선 [9]파일 다운로드1
11545정성태6/11/201822806오류 유형: 469. .NET Core 프로젝트를 Visual Studio에서 실행 시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발생하는 경우 [1]
11544정성태6/10/201822388.NET Framework: 765. C# 7.2 - 숫자 리터럴의 선행 밑줄과 뒤에 오지 않는 명명된 인수
11543정성태6/9/201821965.NET Framework: 764. C# 7.2 - private protected 접근자 추가파일 다운로드1
11542정성태6/9/201860380개발 환경 구성: 381. Azure Web App 확장 예제 - Remove Custom Headers
11541정성태6/9/201819525개발 환경 구성: 380. Azure Web App 확장 배포 방법 [1]
11540정성태6/9/201820295개발 환경 구성: 379. Azure Web App 확장 예제 제작 [2]
11539정성태6/8/201820123.NET Framework: 763. .NET Core 2.1 - Tiered Compilation 도입파일 다운로드1
11538정성태6/8/201819412.NET Framework: 762. .NET Core 2.1 - 확장 도구(Tools) 관리 [1]
11537정성태6/8/201823916.NET Framework: 761. C# - SmtpClient로 SMTP + SSL/TLS 서버를 이용하는 방법 [5]
11536정성태6/7/201821569.NET Framework: 760. Microsoft Build 2018 - The future of C# 동영상 내용 정리 [1]파일 다운로드1
11535정성태6/7/201823376.NET Framework: 759. C# - System.Span<T> 성능 [1]
11534정성태6/6/201829117.NET Framework: 758. C# 7.2 - Span<T> [6]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