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Windows: 120.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1) - GetTickCount와 timeGetTime의 차이점
; https://www.sysnet.pe.kr/2/0/11063

Windows: 121.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2) - Sleep 함수의 동작 방식
; https://www.sysnet.pe.kr/2/0/11065

Windows: 122.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3) - QueryInterruptTimePrecise, QueryInterruptTime 함수
; https://www.sysnet.pe.kr/2/0/11066

Windows: 123.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4) - RTC, TSC, PM Clock, HPET Timer
; https://www.sysnet.pe.kr/2/0/11067

Windows: 124.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5) - TSC(Time Stamp Counter)와 QueryPerformanceCounter
; https://www.sysnet.pe.kr/2/0/11068

Windows: 269. GetSystemTimeAsFileTime과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의 차이점
; https://www.sysnet.pe.kr/2/0/13802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3) - QueryInterruptTimePrecise, QueryInterruptTime 함수

지난 글을 통해, GetTickCount와 timeGetTime의 동작 방식을 살펴봤는데요. GetTickCount와 timeGetTime의 문제는 결국 운영체제가 메모리에 인터럽트가 발생할 때마다 그 횟수를 저장해 둔 변수의 값을 읽어온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왜 그런 식으로 동작해야 할까요? 그냥 타이머 장치의 시간 값을 직접 구하는 Win32 API를 제공해주면 되는 것 아닐까요?

물론 이런 API가 있지만 아쉽게도 Windows 10부터 제공합니다.

QueryInterruptTimePrecise function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realtimeapiset/nf-realtimeapiset-queryinterrupttimeprecise

lpInterruptTimePrecise [out]
A pointer to a ULONGLONG in which to receive the interrupt-time count in system time units of 100 nanoseconds. Divide by ten million, or 1e7, to get seconds (there are 1e9 nanoseconds in a second, so there are 1e7 100-nanoseconds in a second).


100 나노초 단위라고 하니, 만약 이 함수의 반환 값이 1,000이라고 했을 때 밀리 초로 환산하려면 10,000으로 나누어 0.1ms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주기적인 타이머 인터럽트에 영향을 안 받는지... 실제로 다음의 예제로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include "stdafx.h"
#include <Windows.h>
// #include <realtimeapiset.h>

#pragma comment(lib, "winmm.lib")

typedef VOID (WINAPI *FuncQueryInterruptTimePrecise)(_Out_ PULONGLONG lpInterruptTimePrecise);

int main()
{
    int count = 0;

    HMODULE hModule = ::LoadLibrary(L"KernelBase.dll");

    FuncQueryInterruptTimePrecise func_QueryInterruptTimePrecise = 
        (FuncQueryInterruptTimePrecise)::GetProcAddress(hModule, "QueryInterruptTimePrecise");

    if (func_QueryInterruptTimePrecise == nullptr)
    {
        printf("Not a Windows 10 PC\n");
        return 0;
    }

    __int64 currentTime;
    __int64 gap[1000];

    count = -1;
    int maxCount = 100;
    __int64 diff = 0;

    printf("QueryInterruptTimePrecise\n");
    while (count ++ < maxCount)
    {
        func_QueryInterruptTimePrecise((PULONGLONG)&currentTime);
        gap[count] = currentTime;
        printf("%I64d\n", currentTime);
    }

    currentTime = gap[0];
    diff = 0;
    for (int i = 1; i < maxCount; i++)
    {
        diff = gap[i] - currentTime;
        printf("%I64d, %0.4f\n", diff, diff / 10000.0);
        currentTime = gap[i];
    }

    return 0;
}

while 반복문에서 QueryInterruptTimePrecise 함수로 시간 값을 보관한 그 간격을 출력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2294, 0.2294
2612, 0.2612
2514, 0.2514
2473, 0.2473
2463, 0.2463
2499, 0.2499
2461, 0.2461
2445, 0.2445
3450, 0.3450
2648, 0.2648
2508, 0.2508
2436, 0.2436
2421, 0.2421
2424, 0.2424
2421, 0.2421
2449, 0.2449
2418, 0.2418
2415, 0.2415
2397, 0.2397
...[생략]...

timeBeginPeriod + timeGetTime의 조합도 1ms 단위의 변화만 감지할 수 있었던 것에 비하면, 타이머 장치에 직접 접근하는 덕분에 정밀도는 훨씬 높아졌습니다.

그런데, 왜 이 좋은 것을 그동안 제공하지 않았던 것일까요? 제 생각이지만, 윈도우 PC 환경에서 1ms 미만의 정밀도를 요구하는 작업이 그다지 크게 중요하다고 생각지는 않았던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 외에 또 하나 이유라면, 사실 QueryInterruptTimePrecise는 타이머 디바이스로부터 직접 값을 읽어오기 때문에 호출 시간이 timeGetTime에 비해 더 느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즉, 시간 정밀도를 높이려고 호출한 API 자체가 시간이 더 걸려 버리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와 유사한 함수의 이름으로 QueryInterruptTime이 있는데 역시 Windows 10부터 제공됩니다. 이 함수는 timeGetTime과 동작 방식은 유사하나 대신 값이 64비트 변수에 담겨있고 100ns 단위의 시간 값을 제공합니다.

실제로 기본 타이머 설정인 15.625ms로 테스트를 해보면,

#include "stdafx.h"
#include <Windows.h>
// #include <realtimeapiset.h>

#pragma comment(lib, "winmm.lib")

typedef VOID (WINAPI *FuncQueryInterruptTime)(_Out_ PULONGLONG lpInterruptTime);

int main()
{
    int count = 0;

    HMODULE hModule = ::LoadLibrary(L"KernelBase.dll");

    FuncQueryInterruptTime func_QueryInterruptTime =
        (FuncQueryInterruptTime)::GetProcAddress(hModule, "QueryInterruptTime");

    if (func_QueryInterruptTime == nullptr)
    {
        printf("Not a Windows 10 PC\n");
        return 0;
    }

    __int64 currentTime;
    __int64 gap[1000];

    count = -1;
    int maxCount = 100;
    __int64 diff = 0;

    printf("QueryInterruptTime\n");
    while (count++ < mxunt)
    {
        func_QueryInterruptTime((PULONGLONG)&curentTime);
        gap[count] = currentTime;
        printf("%I64d\n", currentTime);
    }

    currentTime = gap[0];
    diff = 0;
    for (int i = 1; i < maxCount; i++)
    {
        diff = gap[i] - currentTime;
        printf("%I64d, %0.4f\n", diff, diff / 10000.0);
        currentTime = gap[i];
    }

    return 0;
}

출력된 시간 간격은 GetTickCount 때의 결과와 유사하게 약 15.625ms 간격으로 변화가 발생합니다.

0, 0.0000
...[생략: 수십 번 반복]...
156319, 15.6319
...[생략]...

물론, 위의 소스 코드에서 timeBeginPeriod(1) 코드를 한 번 호출해 주면 QueryInterruptTime은 1ms 단위로 변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소스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4/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11정성태2/11/201920921오류 유형: 510. 서버 운영체제에 NVIDIA GeForce Experience 실행 시 wlanapi.dll 누락 문제
11810정성태2/11/201918525.NET Framework: 808. .NET Profiler - GAC 모듈에서 GAC 비-등록 모듈을 참조하는 경우의 문제
11809정성태2/11/201920746.NET Framework: 807. ClrMD를 이용해 메모리 덤프 파일로부터 특정 인스턴스를 참조하고 있는 소유자 확인
11808정성태2/8/201922063디버깅 기술: 123. windbg - 닷넷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누수 분석
11807정성태1/29/201919963Windows: 156. 가상 디스크의 용량을 복구 파티션으로 인해 늘리지 못하는 경우 [4]
11806정성태1/29/201919598디버깅 기술: 122.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PID와 환경 변수 등의 정보를 구하는 방법
11805정성태1/28/201921762.NET Framework: 806. C# - int []와 object []의 차이로 이해하는 제네릭의 필요성 [4]파일 다운로드1
11804정성태1/24/201919623Windows: 155. diskpart - remove letter 이후 재부팅 시 다시 드라이브 문자가 할당되는 경우
11803정성태1/10/201918482디버깅 기술: 121. windbg - 닷넷 Finalizer 스레드가 멈춰있는 현상
11802정성태1/7/201920202.NET Framework: 805. 두 개의 윈도우를 각각 실행하는 방법(Windows Forms, WPF)파일 다운로드1
11801정성태1/1/201921471개발 환경 구성: 427. Netsh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기능 [3]
11800정성태12/28/201820595오류 유형: 509. WCF 호출 오류 메시지 - System.ServiceModel.CommunicationException: Internal Server Error
11799정성태12/19/201822329.NET Framework: 804. WPF(또는 WinForm)에서 UWP UI 구성 요소 사용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798정성태12/19/201821165개발 환경 구성: 426. vcpkg - "Building vcpkg.exe failed. Please ensure you have installed Visual Studio with the Desktop C++ workload and the Windows SDK for Desktop C++"
11797정성태12/19/201817142개발 환경 구성: 425. vcpkg - CMake Error: Problem with archive_write_header(): Can't create '' 빌드 오류
11796정성태12/19/201817455개발 환경 구성: 424. vcpkg - "File does not have expected hash" 오류를 무시하는 방법
11795정성태12/19/201820709Windows: 154. PowerShell - Zone 별로 DNS 레코드 유형 정보 조회 [1]
11794정성태12/16/201816832오류 유형: 508. Get-AzureWebsite : Request to a downlevel service failed.
11793정성태12/16/201819355개발 환경 구성: 423. NuGet 패키지 제작 - Native와 Managed DLL을 분리하는 방법 [1]
11792정성태12/11/201819163Graphics: 34.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11) - Per-Pixel Lighting파일 다운로드1
11791정성태12/11/201819154VS.NET IDE: 130. C/C++ 프로젝트의 시작 프로그램으로 .NET Core EXE를 지정하는 경우 닷넷 디버깅이 안 되는 문제 [1]
11790정성태12/11/201817630오류 유형: 507. Could not save daemon configuration to C:\ProgramData\Docker\config\daemon.json: Access to the path 'C:\ProgramData\Docker\config' is denied.
11789정성태12/10/201831262Windows: 153. C# - USB 장치의 연결 및 해제 알림을 위한 WM_DEVICECHANGE 메시지 처리 [2]파일 다운로드2
11788정성태12/4/201817532오류 유형: 506. SqlClient - Value was either too large or too small for an Int32.Couldn't store <2151292191> in ... Column
11787정성태11/29/201821694Graphics: 33.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9), (10) - OBJ File Format, Loading 3D Models파일 다운로드1
11786정성태11/29/201818663오류 유형: 505. OpenGL.NET 예제 실행 시 "Managed Debugging Assistant 'CallbackOnCollectedDelegate'" 예외 발생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