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VC++: 108. DLL에 정의된 C++ template 클래스의 복사 생성자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1153

VC++: 109. DLL에서 STL 객체를 인자/반환값으로 갖는 함수를 제공할 때, 그 함수를 외부에서 사용하는 경우 비정상 종료한다면?
; https://www.sysnet.pe.kr/2/0/11154

VC++: 115. Visual Studio에서 C++ DLL을 대상으로 단위 테스트할 때 비정상 종료한다면?
; https://www.sysnet.pe.kr/2/0/11173

오류 유형: 683. Visual C++ - error LNK2038: mismatch detected for 'RuntimeLibrary': value 'MT_StaticRelease' doesn't match value 'MDd_DynamicDebug'
; https://www.sysnet.pe.kr/2/0/12418




DLL에서 STL 객체를 인자/반환값으로 갖는 함수를 제공할 때, 그 함수를 외부에서 사용하는 경우 비정상 종료한다면?

제목이 복잡하니, 이해를 돕기 위해 예제를 한번 들어볼까요? ^^

DLL에서 다음과 같은 함수를 export하고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include <string>
using namespace std;

__declspec(dllexport) int GetLength1(wstring text);

int GetLength1(wstring text)
{
    return text.length();
}

이 함수를 EXE 또는 다른 DLL 프로젝트에서 이렇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int main()
{
    wstring txt = L"1.0";
    GetLength1(txt);
}

그런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Debug Assertion Failed!

Program: ...\test.exe
File: f:\dd\vctools\crt\crtw32\misc\dbgdel.cpp
Line: 52

Expression: _BLOCK_TYPE_IS_VALID(pHead->nBlockUse)

또는 메시지가 이렇게도 나옵니다.

Debug Assertion Failed!

Program: ...\test.dll
File: minkernel\crts\ucrt\src\appcrt\heap\debug_heap.cpp
Line: 980

Expression: __acrt_first_block == header

실제로 위의 문제는 콘솔 프로젝트를 Debug 모드로, DLL 프로젝트를 Release 모드로 빌드했을 때(또는 그 반대로) 재현이 가능하고, Platform Toolset을 변경하는 경우, 구 버전의 Visual Studio로 빌드한 DLL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은 이전의 글에 자세하게 설명했습니다.

DLL에 정의된 C++ template 클래스의 복사 생성자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1153

즉, STL 객체(이 글의 예제에서는 wstring)가 근본적으로 template 클래스이고 내부에 new/delete 대상이 되는 멤버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것을 DLL 너머로 전달했을 때 MSVCRT DLL의 불일치로 발생하는 것입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문제 관련해서 검색해 보니 다음과 같은 글이 나오는군요.

DLL내부에서 메모리 할당하고 DLL외부에서 메모리 해제
; http://jglee.egloos.com/1015547

해결책은 맞는데, STL 객체 내의 static data 멤버로 발생한다는 원인 분석이 살짝 아쉽군요. ^^ 참고로 위의 블로그에 소개된 마이크로소프트의 KB 자료가 재미있습니다.

How to export an instantiation of a Standard Template Library (STL) class and a class that contains a data member that is an STL object
; http://support.microsoft.com/kb/168958/

You may experience an access violation when you access an STL object through a pointer or reference in a different DLL or EXE
; http://support.microsoft.com/kb/q172396/

어지간히 많이도 문의가 왔던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5/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03-08 01시42분
[spowner] 요즘 C++으로 프로그래밍 하시나봐요.. ^^;
[guest]
2017-03-09 12시31분
C++:C#의 비율이 2:8 정도 됩니다. ^^

------------------

The move constructor that you have to declare, even though you don’t want anyone to actually call it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30612-00/?p=108329
정성태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26정성태5/16/201824571.NET Framework: 752. C# 7.2 - 메서드의 반환값 및 로컬 변수에 ref readonly 기능 추가파일 다운로드1
11525정성태5/16/201829206.NET Framework: 751. C# 7.2 - 메서드의 매개 변수에 in 변경자 추가 [3]파일 다운로드1
11524정성태5/15/201828394.NET Framework: 750. C# 7.2 - readonly 구조체 [5]파일 다운로드1
11523정성태5/15/201824336.NET Framework: 749. C# - 값 형식의 readonly 인스턴스에 대한 메서드 호출 시 defensive copy 발생 [1]파일 다운로드1
11522정성태5/15/201823536개발 환경 구성: 378. Azure - VM 진단 설정 화면의 "This subscription is not registered with the Microsoft.Insights resource provider."
11521정성태5/15/201820720개발 환경 구성: 377. Azure - 원하는 성능 데이터로 모니터링 대시보드 구성
11520정성태5/12/201823597.NET Framework: 748. C# 7.1 - 참조 어셈블리(Ref Assemblies)
11519정성태5/12/201826062개발 환경 구성: 376. ASP.NET Web Application 프로젝트의 FileSystem 배포(Publish) 시 Before/After Task 설정 방법 [1]
11518정성태5/10/201824005.NET Framework: 747. C# 7.0에서도 부분적으로 가능해진 "타입 추론을 통한 튜플의 변수명 자동 지정"
11517정성태5/10/201821281.NET Framework: 746. Azure runbook 예제 - 6시간 동안 수행 중인 VM을 중지 [1]파일 다운로드1
11516정성태5/9/201822799.NET Framework: 745. Azure runbook을 PowerShell 또는 C# 코드로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15정성태5/9/201825435.NET Framework: 744. C# 6 - Expression bodied function [1]
11514정성태5/3/201823233오류 유형: 466. Bitvise - Error in component session/transport/kexHandler [2]
11513정성태5/3/201831052.NET Framework: 743. C# 언어의 공변성과 반공변성 [9]파일 다운로드2
11512정성태5/2/201822779개발 환경 구성: 375. Azure runbook 실행 시 "Errors", "All Logs"에 오류 메시지가 출력되는 경우
11511정성태5/2/201823343개발 환경 구성: 374. Azure - Runbook 기능 소개
11510정성태4/30/201824382.NET Framework: 742. windbg로 확인하는 Finalizer를 가진 객체의 GC 과정파일 다운로드1
11509정성태4/28/201822267.NET Framework: 741. windbg로 확인하는 객체의 GC 여부
11508정성태4/23/201824451개발 환경 구성: 373. MSBuild를 이용해 프로젝트 배포 후 결과물을 zip 파일로 압축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07정성태4/20/201825835개발 환경 구성: 372. MSBuild - 빌드 전/후, 배포 전/후 실행하고 싶은 Task 정의
11506정성태4/20/201829770.NET Framework: 740. C#에서 enum을 boxing 없이 int로 변환하기 - 두 번째 이야기 [7]파일 다운로드1
11505정성태4/19/201822885개발 환경 구성: 371. Azure Web App 확장 예제 - Simple WebSite Extension
11504정성태4/19/201824439오류 유형: 465. Azure Web App 확장 - Extplorer File manager 적용 시 오류
11503정성태4/19/201822326오류 유형: 464. PowerShell - Start-Service 명령 오류 (Service 'xxx' cannot be started)
11502정성태4/17/201825346개발 환경 구성: 370. Azure VM/App Services(Web Apps)에 Let's Encrypt 무료 인증서 적용 방법 [3]
11501정성태4/17/201823223개발 환경 구성: 369. New-AzureRmADServicePrincipal로 생성한 계정의 clientSecret, key 값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