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522. 닷넷의 어셈블리 서명 데이터 확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816

.NET Framework: 667. bypassTrustedAppStrongNames 옵션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1257

.NET Framework: 668. 지연 서명된 DLL과 서명된 DLL의 차이점
; https://www.sysnet.pe.kr/2/0/11258

.NET Framework: 669. 지연 서명된 어셈블리를 sn.exe -Vr 등록 없이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59

디버깅 기술: 91.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강력한 이름의 어셈블리 추출 후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61

개발 환경 구성: 390. C# - 컴파일러 옵션 OSS signing / Public Signing
; https://www.sysnet.pe.kr/2/0/11627




지연 서명된 어셈블리를 sn.exe -Vr 등록 없이 사용하는 방법

지난 글에서,

지연 서명된 DLL과 서명된 DLL의 차이점
; https://www.sysnet.pe.kr/2/0/11258

지연 어셈블리를 참조한 EXE를 실행하려면 "sn.exe -Vr [어셈블리 경로]"와 같은 명령어를 이용해 서명 확인 작업을 생략하도록 명시해야만 정상적으로 동작한다고 했습니다.

혹시,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없으면 이 글을 안 썼겠지요. ^^

지난번 글을 잘 읽어보신 분들이라면 눈치채셨을 수도 있을 텐데요,

bypassTrustedAppStrongNames 옵션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1257

간단하게, 지연 서명된 어셈블리의 "Flags" 값을 "0x01"에서 "0x09"로 바꿔 지연 서명된 것이 아닌, 서명된 어셈블리라고 CLR에게 알려주면 됩니다. 실제로, CFF Explorer 같은 도구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직접 "Flags" 값을 바꾼 후,

delay_signed_to_signed_1.png

실행하면 bypassTrustedAppStrongNames의 기본값(true) 덕분에 EXE 파일에서 그냥 실행이 됩니다.




그렇다면, 반대로도 가능하겠지요? ^^

서명된 어셈블리의 "Flags" 값을 "0x01"로 바꾸면 이는 '지연 서명된 어셈블리'와 같게 됩니다. 그래도 서명 데이터는 올바르기 때문에 이를 참조한 EXE 실행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또한, 이렇게 바뀐 DLL을 변조하면 서명 데이터가 올바르지 않기 때문에 "System.Security.SecurityException: Strong name validation failed." 예외가 발생합니다. 왜냐하면, '지연 서명된 어셈블리'이기 때문에 bypassTrustedAppStrongNames의 혜택을 받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그 대신 sn.exe -Vr 등록을 하면 정상적으로 실행됩니다.

정리해 보면, 해당 어셈블리가 지연 서명 또는 서명되었느냐에 대한 여부는 Flags 값에 의해 좌우된다는 점입니다.




참고로, Flags 값을 변경해주는 "CorFlags" 도구가 있지만,

CorFlags.exe (CorFlags Conversion Tool)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framework/tools/corflags-exe-corflags-conversion-tool

아쉽게도 지원되는 옵션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Options:
/ILONLY+ /ILONLY-       Sets/clears the ILONLY flag
/32BITREQ+ /32BITREQ-   Sets/clears the bits indicating 32-bit x86 only
/32BITPREF+ /32BITPREF- Sets/clears the bits indicating 32-bit preferred
/UpgradeCLRHeader       Upgrade the CLR Header to version 2.5
/RevertCLRHeader        Revert the CLR Header to version 2.0

이 글에서 실습한 StrongNameSigned 값을 설정하는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511정성태6/25/200729690.NET Framework: 90. XmlSerializer 생성자의 실행 속도를 올리는 방법 [2]
510정성태6/25/200744730디버깅 기술: 15. First-Chance Exception
508정성태6/21/200727723Team Foundation Server: 18. Team Build에 사용되는 각종 Property 값 [4]
507정성태6/11/200725305VS.NET IDE: 50. Orcas - UAC 설정 관련
506정성태6/9/200720353오류 유형: 39. VC Package not available or not registered
505정성태6/9/200719956오류 유형: 38. Visual SourceSafe - DB 잠김 오류
504정성태6/9/200725331오류 유형: 37. Visual SourceSafe - Anaylze 도중 비정상 종료
503정성태6/7/200728140VS.NET IDE: 49. Orcas - VC++ 다중 소스 동시 컴파일 옵션: /MP
502정성태6/7/200722791VS.NET IDE: 48. Orcas - VC++ 프로젝트 마이그레이션
500정성태6/4/200731369VS.NET IDE: 47. Orcas - Web Browser Debugger를 이용한 보호 모드의 ActiveX 컨트롤 디버깅
499정성태6/3/200724260VS.NET IDE: 46. Orcas - ComUtil로 인한 증분(/INCREMENTAL) 링크 옵션 사용 제한파일 다운로드1
498정성태5/31/200718625Windows: 26. 스마트 카드 암호 바꾸는 방법.
497정성태5/31/200722019오류 유형: 36. SQL 2005 - DB 속성창 띄울 때 오류
496정성태5/29/200719942VS.NET IDE: 45. VS.NET 2005/Orcas 솔루션 파일과 UAC
495정성태5/28/200722425VS.NET IDE: 44. Orcas와 VS.NET 2005의 혼합 개발 [1]
494정성태5/26/200726647오류 유형: 35. 비스타 탐색기 - 특정 파일을 오른쪽 마우스 클릭했을 때, 비정상 종료되는 문제
493정성태5/26/200725825오류 유형: 34. Windows Server 2008 : CA 인증서 발급 실패
492정성태5/23/200725382.NET Framework: 89. ManagedThreadId - 두 번째 이야기 [5]파일 다운로드1
491정성태5/21/200725440.NET Framework: 88. ManagedThreadId ? [4]
490정성태5/19/200733953오류 유형: 33. error MSB6003: SxS DLL 로딩 오류 [2]
489정성태5/14/200721802.NET Framework: 87. .NET 2.0에서 C# 3.0 기능 사용하기
488정성태5/14/200720418Windows: 25. Multiple Input Queues
487정성태4/24/200725889VC++: 32. VC++에서 bool이 가지는 의미 [3]
486정성태3/22/200724926Windows: 24. DreamScene과 DWM(Desktop Window Manager)의 관계 [1]
485정성태3/17/200720305오류 유형: 32. VS.NET 2005 - x64 환경에서의 mixed 디버깅 환경 구성
484정성태3/17/200719485오류 유형: 31. SQL Compact Edition 설치 후 오류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