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680. C# - 작업자(Worker) 스레드와 UI 스레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738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7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1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612. UWP(유니버설 윈도우 플랫폼) 앱에서 콜백 함수 내에서의 UI 요소 접근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71

.NET Framework: 680. C# - 작업자(Worker) 스레드와 UI 스레드
; https://www.sysnet.pe.kr/2/0/11287

.NET Framework: 777.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 https://www.sysnet.pe.kr/2/0/11561

.NET Framework: 805. 두 개의 윈도우를 각각 실행하는 방법(Windows Forms, WPF)
; https://www.sysnet.pe.kr/2/0/11802

.NET Framework: 886. C# - Console 응용 프로그램에서 UI 스레드 구현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139

.NET Framework: 911. Console/Service Application을 위한 SynchronizationContext - AsyncContext
; https://www.sysnet.pe.kr/2/0/12231

.NET Framework: 1022.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537

.NET Framework: 2076. C# - SynchronizationContext 기본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3190

.NET Framework: 2077. C# - 직접 만들어 보는 SynchronizationContext
; https://www.sysnet.pe.kr/2/0/13191

닷넷: 2278. WPF - 스레드에 종속되는 DependencyObject
; https://www.sysnet.pe.kr/2/0/13682

닷넷: 2298. C# - Console 프로젝트에서의 await 대상으로 Main 스레드 활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743




C# - 작업자(Worker) 스레드와 UI 스레드

작업자 스레드는 보통 UI 요소를 갖지 않는 스레드를 일컫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경우의 스레드는 보통 작업자 스레드라고 합니다.

Thread thread = new Thread(threadFunc);
thread.Start();

private void threadFunc()
{
    // 스레드 작업
}

이런 것도 작업자 스레드입니다.

ThreadPool.QueueUserWorkItem(
    (arg) =>
    {
        // 스레드 작업
    }, null);

반면 UI 스레드는 스레드에서 UI 요소를 생성해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런데, UI 요소를 생성했다고 UI 스레드가 아닙니다. 그 UI 요소가 잘 동작하려면 메시지 펌프를 위한 메시지 루프 처리가 있어야 합니다. Win32에서는 다음과 같이 처리하던 코드입니다.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winmsg/using-messages-and-message-queues
while( (bRet = GetMessage( &msg, NULL, 0, 0 )) != 0)
{ 
    if (bRet == -1)
    {
        // handle the error and possibly exit
    }
    else
    {
        TranslateMessage(&msg); 
        DispatchMessage(&msg); 
    }
} 

// If threads are created without a message queue, why can I post to them immediately upon creation?
//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41009-00/?p=110354

닷넷에서는 이러한 메시지 펌프를 Application.Run 함수에서 해줍니다. 따라서 다음의 스레드는 UI 스레드가 되는 것입니다.

Thread thread = new Thread(threadFunc);
thread.Start();

private void threadFunc()
{
    Application.Run(...[생략]...);
}

물론, 스레드 풀에서 빌려온 스레드일지라도 메시지 루프를 가지면 UI 스레드가 됩니다.

ThreadPool.QueueUserWorkItem(
    (arg) =>
    {
        Application.Run(...);
    }, null);




실제로 테스트를 해볼까요? ^^ Form2 윈도우 코드를 다음과 같이 만듭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Windows.Forms;

namespace WindowsFormsApp1
{
    public partial class Form2 : Form
    {
        Timer _timer = new Timer(); // System.Windows.Forms.Timer는 타이머 처리를 
                                    // 내부적으로 윈도우 이벤트를 사용합니다.

        public Form2()
        {
            InitializeComponent();

            _timer.Interval = 1000;
            _timer.Tick += Timer_Tick;

            _timer.Start();
        }

        // 따라서, 아래의 함수는 이벤트 처리가 안되면 실행되지 않습니다.
        private void Timer_T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this.textBox1.Text = DateTime.Now.ToString();
        }
    }
}

위의 윈도우를 다음과 같이 작업자 스레드에서 실행해 봅니다.

ThreadPool.QueueUserWorkItem(
    (arg) =>
    {
        Form2 form = new Form2();
        form.Show();
    }, null);

그럼 윈도우까지는 뜨는데 텍스트 박스에 있는 시간이 업데이트가 안됩니다. 물론 그 외에도 WM_PAINT 같은 이벤트도 처리가 안되므로 화면이 마치 hang이 걸린 듯한 현상이 발생합니다.

반면, 다음과 같이 UI 스레드에서 실행하면,

ThreadPool.QueueUserWorkItem(
    (arg) =>
    {
        Form2 form = new Form2();
        Application.Run(form);
    }, null);

이번에는 타이머 처리가 잘 되어 텍스트 박스가 1초마다 내용이 업데이트됩니다.




자, 그럼 여기서 윈도우 프로젝트에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Program.cs를 한번 열어봅니다.

static class Program
{
    [STAThread]
    static void Main()
    {
        Application.EnableVisualStyles();
        Application.SetCompatibleTextRenderingDefault(false);
        Application.Run(new Form1());
    }
}

바로 저 코드! 이제는 이해가 되시겠죠? 바로 메시지 루프이며 덕분에 UI 스레드로써 기능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1/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09-04 12시16분
[이봉호] Main Thread가 아닌 UI Thread라는 것이 별도로 존재하나요? Main Thread에서 Message Loop로 처리되는 것이 아닌가요?
[guest]
2017-09-04 12시22분
글에서도 나오지만, Main Thread도 Application.Run을 하니까 Message Loop가 동작하는 것입니다. 그걸 빼고 Form.Show만 하면 Main Thread도 UI 처리를 못합니다.
정성태
2019-01-29 01시04분
[민지홍] Application.Run 과 UI스레드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Program.cs 코드에서 Application.Run(new Form1()); 호출을 한 뒤에
Form1.cs 코드에서 위의 예제와 같이
{
  Form2 form = new Form2();
  Application.Run(form);
}

UI 스레드가 유니크 한 걸로 알고 있는데, 호출하게 되면 UI 스레드가 2개가 되는 건가요?
[guest]
2019-01-29 01시20분
UI 스레드는 하나가 아닙니다. Message Loop를 가지고 있다면 UI 스레드가 되는 것입니다. (간혹, 순수 메시지 통신만을 위해 메시지 루프만 구현하고 UI는 생성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정성태
2019-01-29 01시31분
[민지홍] 아 그러면 UI에 접근할 수 있는 스레드가 예제에서 Form1, Form2를 생성한 스레드가 될 수 있고,
Form2를 생성한 UI스레드가 동작한다고 이전의 스레드(From1 생성 스레드)가 종료되지 않고 같이 UI를 접근할 수 있다는 것 맞나요?

죄송하지만.. 하나만 더 질문하고 싶습니다.
UI 스레드가 2개 이상일 때 두 스레드가 동시에 UI요소를 업데이트하려고 하면 오류가 발생하나요?
[guest]
2019-01-29 06시46분
@민지홍 질문하신 분이 직접 답변을 하셔도 좋을 것 같은데요. ^^ 이 글의 내용에 이미 답이 있고, 또는 간단하게 코드를 만들어 실습해도 금방 답이 나올 것입니다.
정성태
2019-01-30 02시58분
[민지홍] 다시 읽어보니 이해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guest]
2020-10-20 02시53분
[Jireh] 업무 중 원인을 몰라서 연구하는 도중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guest]
2022-09-09 07시43분
[한예지] 선생님 혹시
ThreadPool.QueueUserWorkItem(
    (arg) =>
    {
        Form2 form = new Form2();
        Application.Run(form);
    }, null); 를 어디에 넣어야 할까요?
보통 winform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Form1이 자동 생성되는데
Form2도 추가해서 띄우나요?
[guest]
2022-09-09 09시05분
네, 어디다 두어도 상관없습니다. 해당 코드는 Form2를 별도의 스레드에서 띄우기 위한 테스트 용도일 뿐입니다.
정성태
2022-09-10 10시22분
[한예지] 좋은 글, 좋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명절 잘 보내세요~!
[gues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43정성태12/13/20244381오류 유형: 938. Docker container 내에서 빌드 시 error MSB3021: Unable to copy file "..." to "...". Access to the path '...' is denied.
13842정성태12/12/20244523디버깅 기술: 205. Windbg - KPCR, KPRCB
13841정성태12/11/20244855오류 유형: 937. error MSB4044: The "ValidateValidArchitecture" task was not given a value for the required parameter "RemoteTarget"
13840정성태12/11/20244428오류 유형: 936. msbuild - Your project file doesn't list 'win' as a "RuntimeIdentifier"
13839정성태12/11/20244857오류 유형: 936. msbuild - error CS1617: Invalid option '12.0' for /langversion. Use '/langversion:?' to list supported values.
13838정성태12/4/20244595오류 유형: 935. Windbg - Breakpoint 0's offset expression evaluation failed.
13837정성태12/3/20245054디버깅 기술: 204. Windbg - 윈도우 핸들 테이블 (3) - Windows 10 이상인 경우
13836정성태12/3/20244623디버깅 기술: 203. Windbg - x64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 (페이지 크기가 2MB인 경우)
13835정성태12/2/20245055오류 유형: 934. Azure - rm: cannot remove '...': Directory not empty
13834정성태11/29/20245285Windows: 275. C# - CUI 애플리케이션과 Console 윈도우 (Windows 10 미만의 Classic Console 모드인 경우) [1]파일 다운로드1
13833정성태11/29/20244965개발 환경 구성: 737. Azure Web App에서 Scale-out으로 늘어난 리눅스 인스턴스에 SSH 접속하는 방법
13832정성태11/27/20244902Windows: 274. Windows 7부터 도입한 conhost.exe
13831정성태11/27/20244381Linux: 111. eBPF - BPF_MAP_TYPE_PERF_EVENT_ARRAY, BPF_MAP_TYPE_RINGBUF에 대한 다양한 용어들
13830정성태11/25/20245184개발 환경 구성: 736. 파이썬 웹 앱을 Azure App Service에 배포하기
13829정성태11/25/20245154스크립트: 67. 파이썬 - Windows 버전에서 함께 설치되는 py.exe
13828정성태11/25/20244439개발 환경 구성: 735. Azure - 압축 파일을 이용한 web app 배포 시 디렉터리 구분이 안 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3827정성태11/25/20245091Windows: 273. Windows 환경의 파일 압축 방법 (tar, Compress-Archive)
13826정성태11/21/20245320닷넷: 2313. C# - (비밀번호 등의) Console로부터 입력받을 때 문자열 출력 숨기기(echo 끄기)파일 다운로드1
13825정성태11/21/20245652Linux: 110. eBPF / bpf2go - BPF_RINGBUF_OUTPUT / BPF_MAP_TYPE_RINGBUF 사용법
13824정성태11/20/20244750Linux: 109. eBPF / bpf2go - BPF_PERF_OUTPUT / BPF_MAP_TYPE_PERF_EVENT_ARRAY 사용법
13823정성태11/20/20245288개발 환경 구성: 734. Ubuntu에 docker, kubernetes (k3s) 설치
13822정성태11/20/20245151개발 환경 구성: 733. Windbg - VirtualBox VM의 커널 디버거 연결 시 COM 포트가 없는 경우
13821정성태11/18/20245079Linux: 108. Linux와 Windows의 프로세스/스레드 ID 관리 방식
13820정성태11/18/20245249VS.NET IDE: 195. Visual C++ - C# 프로젝트처럼 CopyToOutputDirectory 항목을 추가하는 방법
13819정성태11/15/20244477Linux: 107. eBPF - libbpf CO-RE의 CONFIG_DEBUG_INFO_BTF 빌드 여부에 대한 의존성
13818정성태11/15/20245267Windows: 272. Windows 11 24H2 - sudo 추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