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92. 윈도우 환경에서 curl.exe를 이용한 elasticsearch 6.x 기본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1663

개발 환경 구성: 393. 윈도우 환경에서 elasticsearch의 한글 형태소 분석기 설치
; https://www.sysnet.pe.kr/2/0/11664

개발 환경 구성: 394. 윈도우 환경에서 elasticsearch의 한글 블로그 검색 인덱스 구성
; https://www.sysnet.pe.kr/2/0/11669

.NET Framework: 791. C# - ElasticSearch를 위한 Client 라이브러리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1676

개발 환경 구성: 507. Elasticsearch 6.6부터 기본 추가된 한글 형태소 분석기 노리(nori)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309




윈도우 환경에서 curl.exe를 이용한 elasticsearch 6.x 기본 사용법

사용을 위해 elasticsearch를 설치해야겠죠? ^^ 윈도우 10 운영체제에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1. Java 8 (x64) 설치 (JDK 또는 JRE)

2. https://www.elastic.co/downloads/elasticsearch로부터 ".zip" 파일 다운로드
 
    6.3.2 버전
    https://artifacts.elastic.co/downloads/elasticsearch/elasticsearch-6.3.2.zip

3. bin\elasticsearch.bat 파일을 메모장에서 편집(자신의 환경에 맞게 경로 설정)

    SET JAVA_HOME=C:\Program Files\Java\jdk1.8.0_131

4. bin\elasticsearch.bat 파일 실행

5. 다음의 명령어를 실행해서 정상 동작하는지 확인

    curl http://localhost:9200/

    그 결과로 아래와 같은 식의 내용이 출력되면 OK!

    {
      "name" : "Vld1Cby",
      "cluster_name" : "elasticsearch",
      "cluster_uuid" : "WYC...[생략]...WXQ",
      "version" : {
        "number" : "6.3.2",
        "build_flavor" : "default",
        "build_type" : "zip",
        "build_hash" : "053779d",
        "build_date" : "2018-07-20T05:20:23.451332Z",
        "build_snapshot" : false,
        "lucene_version" : "7.3.1",
        "minimum_wire_compatibility_version" : "5.6.0",
        "minimum_index_compatibility_version" : "5.0.0"
      },
      "tagline" : "You Know, for Search"
    }

이것으로 설치가 모두 끝났습니다. ^^




이제 사용법을 알아야 하겠죠? ^^

근데, 사용법이 정말 쉽습니다. 약간의 웹 검색만 해보면 대충 알 수 있을 정도입니다. 물론 고급 사용자의 위치까지 가려면 어느 정도 더 공부를 해야겠지만 초기 개념만 잡는 식이라면 쉽게 테스트하면서 익힐 수 있습니다.

기존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를 위해 DB와 비교해서 설명하면 대충 다음과 같습니다.

elasticsearch의 index == DB의 데이터베이스
elasticsearch의 type == DB의 테이블

그리고 이를 위한 RESTful 쿼리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제공됩니다.

http://host:port/(index)/(type)/(action|id)

여기서 host:port는 elasticsearch를 localhost에서 테스트하는 경우 (특별히 바꾸지 않았다면) 다음과 같이 정해집니다.

http://localhost:9200/

(index)와 (type)은 명시적으로 생성해 주거나 아니면, 그냥 데이터를 전달해서 스키마를 elasticsearch가 자동으로 추론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들이 가진 데이터 중에 "회원 목록"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회원에 대한 DB 스키마는 다음과 같습니다.

name: string
age: int
address: string
registered: date

자동 추론 방법으로 (index)/(type)을 생성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그냥 데이터를 HTTP PUT 메서드를 이용해 elasticsearch에 던지면 됩니다.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1"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name" : "tester", 
    "age": 16, 
    "address": "seoul KOREA", 
    "registered" : "2017-04-29T10:16:00" 
}"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1"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name\" : \"tester\", \"age\": 16, \"address\": \"seoul KOREA\", \"registered\" : \"2017-04-29T10:16:00\" }"

{"_index":"my_org","_type":"member","_id":"1","_version":1,"result":"created","_shards":{"total":2,"successful":1,"failed":0},"_seq_no":0,"_primary_term":1}

// 서버 로그
[2018-08-09T09:26:19,168][INFO ][o.e.c.m.MetaDataMappingService] [Vld1Cby] [my_org/g55350WDSDaHKWMBm9Yi8Q] create_mapping [member]

그럼, elasticsearch는 URL의 (index)에 해당하는 "my_org" 인덱스가 있는지 검사하고 없으면 생성합니다. 그다음 URL의 (type)에 해당하는 스키마가 있는지 역시 검사해 보고 없으면 HTTP PUT의 Body로 들어온 JSON 데이터를 보고 스키마를 유추해 "member"라는 이름으로 생성해 둡니다. 마지막의 (action|id)는 해당 데이터에 대한 식별자가 됩니다.

혹시 저 회원의 주소(address)가 변경되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당연히 (index), (type), (action|id)만 알고 있다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덮어쓰는 것이 가능합니다.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1"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name" : "tester", 
    "age": 16, 
    "address": "daejeon KOREA", 
    "registered":"2017-04-29T10:16:00" 
}"

C:\temp>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1"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name\" : \"tester\", \"age\": 16, \"address\": \"daejeon KOREA\", \"registered\":\"2017-04-29T10:16:00\" }"

{"_index":"my_org","_type":"member","_id":"1","_version":2,"result":"updated","_shards":{"total":2,"successful":1,"failed":0},"_seq_no":1,"_primary_term":1}

혹은, 특정 필드만 변경되었다면 그것만 전달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1"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address\": \"dae3jeon KOREA\" }"

{"_index":"my_org","_type":"member","_id":"1","_version":2,"result":"updated","_shards":{"total":2,"successful":1,"failed":0},"_seq_no":1,"_primary_term":1}

정보를 가져오는 것도 GET 명령어로 가능합니다.

curl -XGE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1"

{"_index":"my_org","_type":"member","_id":"1","_version":1,"found":true,"_source":{ "name" : "tester", "age": 16, "address": "dae3jeon KOREA", "registered":"2017-04-29T10:16:00" }}

대충 어떤 식인지 아시겠죠? ^^




elasticsearch가 추론 기능이 있다고는 하지만 당연히 완벽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text 타입으로 판정되는 field에 대해서는 색인 작업을 하는 것이 기본 설정입니다. 따라서, "member" 타입의 경우 "name", "address"는 모두 색인 작업을 거치게 됩니다. 그런데, 만약 여기서 "name" 필드가 색인 작업이 필요 없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렇다면 성능을 위해서는 당연히 "name" 필드의 문자열에 대해서는 색인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런 식으로 개발자가 이미 해당 스키마를 잘 알고 있는 경우 최적화된 (type)을 지정해 주는 것이 가능합니다.

실습을 위해 이전에 설정한 인덱스(DB)를 삭제해 보겠습니다.

curl -XDELETE "http://localhost:9200/my_org/"

{"acknowledged":true}

// 서버 로그
[2018-08-09T09:39:46,322][INFO ][o.e.c.m.MetaDataDeleteIndexService] [Vld1Cby] [my_org/g55350WDSDaHKWMBm9Yi8Q] deleting index

자, 다시 처음부터 시작한다고 가정하고 (index)를 먼저 생성합니다. (아래는 기본값으로 index를 생성하는데, 고급 사용자라면 좀 더 사용자 정의할 수 있는 설정들이 있습니다.)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my_org": {
        "settings" : {
            "index" : {
            }
        }
    }
}"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my_org\": { \"settings\" : { \"index\" : { } } } }"

{"acknowledged":true,"shards_acknowledged":true,"index":"my_org"}

// 서버 로그
[2018-08-09T10:05:33,163][INFO ][o.e.c.m.MetaDataCreateIndexService] [Vld1Cby] [my_org] creating index, cause [api], templates [], shards [5]/[1], mappings []

그다음 해당 (index)에 소속된 (type)인 member에 대해 스키마를 지정해 줍니다.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_mapping"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member" : {
        "properties" : {
            "name" : {"type" : "text", "index" : "false"},
            "age" : {"type" : "integer"},
            "address" : {"type" : "text"},
            "registered" : {"type" : "date"}
        }
    }
}"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_mapping"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member\" : { \"properties\" : { \"name\" : {\"type\" : \"text\", \"index\" : \"false\"}, \"age\" : {\"type\" : \"integer\"}, \"address\" : {\"type\" : \"text\"}, \"registered\" : {\"type\" : \"date\"} } } }"

{"acknowledged":true}

// 서버 로그
[2018-08-09T10:20:05,995][INFO ][o.e.c.m.MetaDataMappingService] [Vld1Cby] [my_org/RNr83v64ROSaqqTcvamZoA] create_mapping [member]

해당 type이 잘 정의가 되었는지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curl -XGE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_mapping"

{"my_org":{"mappings":{"member":{"properties":{"address":{"type":"text"},"age":{"type":"integer"},"name":{"type":"text","index":false},"registered":{"type":"date"}}}}}}

// 없는 경우,
{
    "error":
        {
            "root_cause":
                [
                    {
                        "type":"type_missing_exception",
                        "reason":"type[[member]] missing",
                        "index_uuid":"_na_","index":"_all"
                    }
                ],
                "type":"type_missing_exception",
                "reason":"type[[member]] missing",
                "index_uuid":"_na_",
                "index":"_all"
        },
        "status":404
}

(index)와 (type) 스키마가 생성되었으니, 이제 예전과 똑같이 데이터를 넣어주면 됩니다.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1"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name" : "tester",
    "age": 16,
    "address": "daejeon KOREA",
    "registered":"2017-04-29T10:16:00"
}"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1"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name\" : \"tester\", \"age\": 16, \"address\": \"daejeon KOREA\", \"registered\":\"2017-04-29T10:16:00\" }"

{"_index":"my_org","_type":"member","_id":"1","_version":1,"result":"created","_shards":{"total":2,"successful":1,"failed":0},"_seq_no":0,"_primary_term":1}

참고로, 타입(type)을 삭제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Delete Mapping
; https://www.elastic.co/guide/en/elasticsearch/reference/current/indices-delete-mapping.html

It is no longer possible to delete the mapping for a type. Instead you should delete the index and recreate it with the new mappings.

삭제하려고 했을 때의 반환 메시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curl -XDELETE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_mapping"

{
    "error":"Incorrect HTTP method for uri [/my_org/member/_mapping] and method [DELETE], allowed: [GET, PUT, POST]",
    "status":405
}

curl -XDELETE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
{
    "error":"Incorrect HTTP method for uri [/my_org/member] and method [DELETE], allowed: [POST]",
    "status":405
}

어차피 index 하나에 type 하나만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type을 지울 의도라면 index를 지우는 걸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검색 엔진을 설치한 최종 목적인 "검색"을 해봐야 할 것입니다.

가령, 주소(address)가 "daejon"을 포함하고 있는 사람을 검색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HTTP 쿼리를 날리면 됩니다.

curl -XGE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_search"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query": {
        "match": { "address": "daejeon" }
    }
}"

curl -XGE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_search"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query\": { \"match\": { \"address\": \"daejeon\" } } }"

{"took":87,"timed_out":false,"_shards":{"total":5,"successful":5,"skipped":0,"failed":0},"hits":{"total":1,"max_score":0.2876821,"hits":[{"_index":"my_org","_type":"member","_id":"1","_score":0.2876821,"_source":{ "name" : "tester", "age": 16, "address": "daejeon KOREA", "registered":"2017-04-29T10:16:00" }}]}}

보는 바와 같이 "hits"의 "total" 속성을 통해 몇 건의 데이터가 검색되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반면, 검색 결과가 없다면 다음과 같은 응답을 받게 됩니다.

curl -XGE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_search"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query\": { \"match\": { \"address\": \"dae3jeon\" } } }"

{"took":9,"timed_out":false,"_shards":{"total":5,"successful":5,"skipped":0,"failed":0},"hits":{"total":0,"max_score":null,"hits":[]}}

보다 자세한 검색 옵션은 다음의 글을 참조하세요. ^^

엘라스틱서치 쿼리 DSL 기초
; http://bakyeono.net/post/2016-08-20-elasticsearch-querydsl-basic.html

이것으로 전체적인 CRUD 작업을 한 번씩 해봤으니 감이 잡히실 거라고 봅니다. ^^ 생각보다 그다지 어렵지 않죠? 아마도 그래서 더 ElasticSearch가 유명해진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외에, 웹 UI로 ElasticSearch를 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ElasticSearch plug-in이 있습니다. (도움말로 봐서는 Elasticsearch 버전 6 이후는 지원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ElasticSearch 5.0 Plugin Head 설치
; http://jjig810906.tistory.com/5




(이하의 글은 오류나 시행착오 내용입니다.)

제 컴퓨터에 다음과 같은 설정을 했더니,

영문 설정의 Windows 10 명령행 창(cmd.exe)의 한글 지원
; https://www.sysnet.pe.kr/2/0/11559

elasticsearch.bat 실행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2018-08-09 09:06:00,629 main ERROR Unable to inject fields into builder class for plugin type class org.apache.logging.log4j.core.appender.ConsoleAppender, element Console. java.nio.charset.UnsupportedCharsetException: cp65001
        at java.nio.charset.Charset.forName(Charset.java:531)
        at org.apache.logging.log4j.util.PropertiesUtil.getCharsetProperty(PropertiesUtil.java:146)
        at org.apache.logging.log4j.util.PropertiesUtil.getCharsetProperty(PropertiesUtil.java:134)
        at org.apache.logging.log4j.core.appender.ConsoleAppender$Target.getCharset(ConsoleAppender.java:85)
        at org.apache.logging.log4j.core.appender.ConsoleAppender$Target$1.getDefaultCharset(ConsoleAppender.java:71)
        ...[생략]...
        at org.elasticsearch.bootstrap.Elasticsearch.main(Elasticsearch.java:91)
        at org.elasticsearch.bootstrap.Elasticsearch.main(Elasticsearch.java:84)

Unable to get Charset 'sun.stdout.encoding', using default UTF-8
java.nio.charset.UnsupportedCharsetException: cp65001
        at java.nio.charset.Charset.forName(Charset.java:531)
        at org.apache.logging.log4j.util.PropertiesUtil.getCharsetProperty(PropertiesUtil.java:172)
        at org.apache.logging.log4j.core.appender.ConsoleAppender$Target.getCharset(ConsoleAppender.java:89)
        ...[생략]...
        at org.elasticsearch.bootstrap.Elasticsearch.main(Elasticsearch.java:93)
        at org.elasticsearch.bootstrap.Elasticsearch.main(Elasticsearch.java:86)

윈도우에서의 65001 지원을 아직 모르는 것 같습니다. ^^ 일단, 다음과 같이 elasticsearch.bat 파일을 수정하는 걸로 임시 조치할 수 있습니다.

@echo off

chcp 949
SET JAVA_HOME=C:\Program Files\Java\jdk1.8.0_161

SETLOCAL enabledelayedexpansion
TITLE Elasticsearch 5.4.0

SET params='%*'
...[생략]...




오픈 소스 쪽 응용 프로그램을 다루다 보면, 마이크로소프트의 "하위 호환성"을 지켜주는 것이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를 알게 되는데요. elasticsearch를 5.x 버전에서 다루다가 6.x로 올렸더니 예전에 작성해 둔 스크립트들을 실행 중에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error": 
    {
        "root_cause":
            [
                {
                    "type":"mapper_parsing_exception",
                    "reason":"No handler for type [string] declared on field [name]"
                }
            ],
            "type":"mapper_parsing_exception",
            "reason":"No handler for type [string] declared on field [name]"},
            "status":400
    }"

"error":
    {
        "root_cause":
            [
                {
                    "type":"illegal_argument_exception",
                    "reason":"Could not convert [name.index] to boolean"
                }
            ],
            "type":"illegal_argument_exception",
            "reason":"Could not convert [name.index] to boolean",
            "caused_by":
                {
                    "type":"illegal_argument_exception",
                    "reason":"Failed to parse value [not_analyzed] as only [true] or [false] are allowed."
                }
        },
        "status":400
    }

물론, 검색하면 다 나옵니다.

No handler for type [string] declared on field [name]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7452770/no-handler-for-type-string-declared-on-field-name

index 지정의 string 타입이 없어졌으니 "text"를 사용하라는 것과, "not_analyzed" 대신 false를 사용하라는 식입니다.




하위 호환성이 깨진 것 중 또 하나 의미 있는 것이 있습니다. 본문에서 index == db, type == table이라고 설명했는데요, 그래서 index 하나에 다중 type을 정의할 수 있어 보이지만 이 정책이 ES 버전 6부터 index 하나에 type 하나만을 정의할 수 있도록 바뀌었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my_org 인덱스에 member를 생성했다면,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my_org\": { \"settings\" : { \"index\" : { } } } }"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_mapping"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member\" : { \"properties\" : { \"name\" : {\"type\" : \"text\", \"index\" : \"false\"}, \"age\" : {\"type\" : \"integer\"}, \"address\" : {\"type\" : \"text\"}, \"registered\" : {\"type\" : \"date\"} } } }"

이후, 동일한 인덱스에 다른 type을 생성하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test/_mapping?pretty"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test\" : { \"properties\" : { \"qwer\" : {\"type\" : \"text\", \"index\" : \"false\"} } } }"

{
  "error" : {
    "root_cause" : [
      {
        "type" : "illegal_argument_exception",
        "reason" : "Rejecting mapping update to [my_org] as the final mapping would have more than 1 type: [test, member]"
      }
    ],
    "type" : "illegal_argument_exception",
    "reason" : "Rejecting mapping update to [my_org] as the final mapping would have more than 1 type: [test, member]"
  },
  "status" : 400
}

Can't create two Types to same index elasticsearch & Kibana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7632846/cant-create-two-types-to-same-index-elasticsearch-kibana

누가 알겠습니까? 향후에는 index, table 따로 정의하던 것을 하나로 합칠지도 모릅니다. 그러다 다시 index 따로 table 따로 정의할 수 있게 만들어 서로 조합할 수 있게 할지도.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6/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296정성태9/8/201722740웹: 36. Edge - "이 웹 사이트는 이전 기술에서 실행되며 Internet Explorer에서만 작동합니다." 끄는 방법
11295정성태9/7/201720090디버깅 기술: 95. Windbg - .foreach 사용법
11294정성태9/4/201719906개발 환경 구성: 329.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 빌드 방법 [1]
11293정성태9/4/201720417개발 환경 구성: 328. Visual Studio(devenv.exe)를 배치 파일(.bat)을 통해 실행하는 방법
11292정성태9/4/201718693오류 유형: 419. Cannot connect to WMI provider - Invalid class [0x80041010]
11291정성태9/3/201720542개발 환경 구성: 327. 아파치 서버 2.4를 위한 mod_aspdotnet 마이그레이션
11290정성태9/3/201723744개발 환경 구성: 326. 아파치 서버에서 ASP.NET을 실행하는 mod_aspdotnet 모듈 [2]
11289정성태9/3/201721383개발 환경 구성: 325. GAC에 어셈블리 등록을 위해 gacutil.exe을 사용하는 경우 주의 사항
11288정성태9/3/201718208개발 환경 구성: 324. 윈도우용 XAMPP의 아파치 서버 구성 방법
11287정성태9/1/201727429.NET Framework: 680. C# - 작업자(Worker) 스레드와 UI 스레드 [11]
11286정성태8/28/201714770기타: 67. App Privacy Policy
11285정성태8/28/201723337.NET Framework: 679. C# - 개인 키 보안의 SFTP를 이용한 파일 업로드파일 다운로드1
11284정성태8/27/201721360.NET Framework: 678. 데스크톱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서 UWP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비디오 장치 열람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283정성태8/27/201717137오류 유형: 418. CSS3117: @font-face failed cross-origin request. Resource access is restricted.
11282정성태8/26/201719591Math: 22. 행렬로 바라보는 피보나치 수열
11281정성태8/26/201721431.NET Framework: 677. Visual Studio 2017 - NuGet 패키지를 직접 참조하는 PackageReference 지원 [2]
11280정성태8/24/201718400디버깅 기술: 94. windbg - 풀 덤프에 포함된 모든 모듈을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
11279정성태8/23/201730052.NET Framework: 676. C# Thread가 Running 상태인지 아는 방법
11278정성태8/23/201718234오류 유형: 417. TFS - Warning - Unable to refresh ... because you have a pending edit. [1]
11277정성태8/23/201719454오류 유형: 416. msbuild - error MSB4062: The "TransformXml" task could not be loaded from the assembly
11276정성태8/23/201723755.NET Framework: 675. C# - (파일) 확장자와 연결된 실행 파일 경로 찾기 [2]파일 다운로드1
11275정성태8/23/201732744개발 환경 구성: 323. Visual Studio 설치 없이 빌드 환경 구성 - Visual Studio 2017용 Build Tools [1]
11274정성태8/22/201719313.NET Framework: 674. Thread 타입의 Suspend/Resume/Join 사용 관련 예외 처리
11273정성태8/22/201721612오류 유형: 415. 윈도우 업데이트 에러 Error 0x80070643
11272정성태8/21/201724725VS.NET IDE: 120. 비주얼 스튜디오 2017 버전 15.3.1 - C# 7.1 공개 [2]
11271정성태8/19/201719142VS.NET IDE: 119. Visual Studio 2017에서 .NET Core 2.0 프로젝트 환경 구성하는 방법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