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Xamarin - 기존 리모컨 기능을 핸드폰의 적외선 송신으로 구현

집에 있는 리모컨의 기능을 핸드폰으로 복사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기존 리모컨들의 신호 값을 알아야 하는데, 다음의 글에 따라 아두이노를 이용하면 가능합니다.

아두이노에서 적외선 수신기 기본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1670

사실 송신 기능도 핸드폰 대신 아두이노를 이용한 송신기로 구현할 수는 있습니다.

아두이노에서 적외선 송신기 기본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1671

문제는 저런 식으로 아두이노로 구현하는 것은 불편한 면이 많습니다. 가령, 현실적으로 쓰기 위해선 기능에 따른 버튼도 더 늘려야 하고 브레드보드가 아닌 만능 기판에, ... 케이스까지 만들기 위해 3D 프린터라든가 기타 여러 도구들까지 장만을 해야 합니다. (사실, 언젠가는 저도 ^^ 그렇게까지 해보고 싶습니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마감 잘 된 도구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휴대폰입니다. 검색해 보면 마침 API 19(KitKat)부터 적외선 송신 기능도 제공한다고 합니다.

Using Infrared port
; https://forums.xamarin.com/discussion/12205/using-infrared-port

Xamarin의 경우 ConsumerIrManager 타입을 이용해,

Android.Hardware.ConsumerIrManager Class
; https://developer.xamarin.com/api/type/Android.Hardware.ConsumerIrManager/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그럼 뭐, 다 준비된 거죠. ^^ Visual Studio에서 Xamarin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해당 App에서 적외선 송신 기능을 사용하겠다는 요구를 manifest에 기록하고,

<?xml version="1.0" encoding="utf-8"?>
<manifes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android:versionCode="1"
          android:versionName="1.0"
          package="IRController.IRController">
    <uses-sdk android:minSdkVersion="21" android:targetSdkVersion="27" />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TRANSMIT_IR"></uses-permission>

    <application android:allowBackup="true" android:icon="@mipmap/ic_launcher" android:label="@string/app_name" android:roundIcon="@mipmap/ic_launcher_round" android:supportsRtl="true" android:theme="@style/AppTheme">
    </application>

</manifest>

다음과 같이 리모컨 기능을 대신할 버튼을 만든 다음,

<?xml version="1.0" encoding="utf-8"?>
<RelativeLayou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xmlns:app="http://schemas.android.com/apk/res-auto"
    xmlns:tools="http://schemas.android.com/tools"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match_parent">
    <Button
        android:text="Button"
        android:layout_width="wrap_content"
        android:layout_height="wrap_content"
        android:minWidth="25px"
        android:minHeight="25px"
        android:id="@+id/btnTurnLightOnOff"
    />
</RelativeLayout>

이것을 누르면 그에 해당하는 적외선 송신을 하면 됩니다.

using Android.App;
using Android.OS;
using Android.Support.V7.App;
using Android.Runtime;
using Android.Widget;
using Android.Content;

namespace IRController
{
    [Activity(Label = "@string/app_name", Theme = "@style/AppTheme", MainLauncher = true)]
    public class MainActivity : AppCompatActivity
    {
        Android.Hardware.ConsumerIrManager _ir;

        protected override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base.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esource.Layout.activity_main);

            Button button = FindViewById<Button>(Resource.Id.btnTurnLightOnOff);
            button.Click += btnTurnLightOnOff_Click;

        }

        private void btnTurnLightOnOff_Click(object sender, System.EventArgs e)
        {
            _ir = ApplicationContext.GetSystemService(Context.ConsumerIrService)
                as Android.Hardware.ConsumerIrManager;

            int [] light_onoff_signal_buf = { 3550, 1750, 600, 400, 600, 1800, 550, 450, 600, 450, 600, 1800, 550, 450, 600, 450, 600, 500, 600, 450, 600, 400, 650, 400, 550 };
            _ir.Transmit(38, light_onoff_signal_buf);
        }
    }
}

위의 코드에서 Transmit 메서드를 보면,

Android.Hardware.ConsumerIrManager.Transmit Method
; https://developer.xamarin.com/api/member/Android.Hardware.ConsumerIrManager.Transmit/p/System.Int32/System.Int32[]/

지난번 "아두이노에서 적외선 송신기 기본 사용법"의 코드와 거의 똑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Raw Data와 함께 주파수만 지정하면 되는 것입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핸드폰이 LG V20인데 다행히 적외선 송신 기능이 있는 제품입니다. 위의 앱을 설치해서 실행해 보면, 와~~~ ^^ 정말 핸드폰으로 형광등을 On/Off 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있습니다. V20 핸드폰의 적외선 송신기가 원래의 형광등을 제어하던 리모컨의 출력보다 약한 것 같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동일 높이의 정면에서 하면 핸드폰으로 잘 동작을 하는데 높이가 달라지거나 사잇각이 커지면 핸드폰으로는 대상 수신기에서 잘 잡아내지 못합니다.

종합해 보면, 어떤 적외선 수신 제품을 (현실적으로) 제어하고 싶은 경우라면 직접 핸드폰에서 신호를 보내는 것보다는 네트워크 기능이 있는 아두이노를 상시 켜 놓고 그 아두이노의 적외선 송신기를 (잘 수신이 되도록 위치를 잡아 놓고)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암튼, 좀 아쉽군요. ^^ 핸드폰 하나로 다 될 것 같아서 기대에 부풀었는데.

(첨부 파일은 이 글의 Android/Xamarin 프로젝트입니다.)




적외선 통신을 다루면서 왜 38Khz를 고정 상수로 전달할까... 하는 의문이 있었는데요, 다음의 글에서 이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적외선 통신을 알아보자.
; http://dokkodai.tistory.com/106

즉, 적외선 통신은 37 ~ 42 Khz로 변조를 한다는데, 리모컨의 경우 38Khz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합니다.




참고로,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한다면?

Unhandled Exception:

Java.Lang.SecurityException: <Timeout exceeded getting exception details> occurred

"Timeout"이긴 하지만 예외의 종류가 SecurityException인 것이 더 중요합니다. 즉, IR 기능 사용에 대한 사용자 허락을 받을 수 있도록 manifest에 "android.permission.TRANSMIT_IR" 권한 요구를 명시하지 않아서 그런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9/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18정성태11/15/20245272Windows: 272. Windows 11 24H2 - sudo 추가
13817정성태11/14/20244929Linux: 106. eBPF / bpf2go - (BPF_MAP_TYPE_HASH) Map을 이용한 전역 변수 구현
13816정성태11/14/20245386닷넷: 2312. C#, C++ - Windows / Linux 환경의 Thread Name 설정파일 다운로드1
13815정성태11/13/20244809Linux: 105. eBPF - bpf2go에서 전역 변수 설정 방법
13814정성태11/13/20245283닷넷: 2311.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파일 다운로드1
13813정성태11/12/20245031닷넷: 2310. .NET의 Rune 타입과 emoji 표현파일 다운로드1
13812정성태11/11/20245264오류 유형: 933. Active Directory - The forest functional level is not supported.
13811정성태11/11/20244848Linux: 104. Linux - COLUMNS 환경변수가 언제나 80으로 설정되는 환경
13810정성태11/10/20245374Linux: 103. eBPF (bpf2go) - Tracepoint를 이용한 트레이스 (BPF_PROG_TYPE_TRACEPOINT)
13809정성태11/10/20245261Windows: 271. 윈도우 서버 2025 마이그레이션
13808정성태11/9/20245257오류 유형: 932. Linux - 커널 업그레이드 후 "error: bad shim signature" 오류 발생
13807정성태11/9/20244994Linux: 102. Linux - 커널 이미지 파일 서명 (Ubuntu 환경)
13806정성태11/8/20244902Windows: 270. 어댑터 상세 정보(Network Connection Details) 창의 내용이 비어 있는 경우
13805정성태11/8/20244736오류 유형: 931. Active Directory의 adprep 또는 복제가 안 되는 경우
13804정성태11/7/20245366Linux: 101. eBPF 함수의 인자를 다루는 방법
13803정성태11/7/20245319닷넷: 2309. C# - .NET Core에서 바뀐 DateTime.Ticks의 정밀도
13802정성태11/6/20245701Windows: 269. GetSystemTimeAsFileTime과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801정성태11/5/20245481Linux: 100. eBPF의 2가지 방식 - libbcc와 libbpf(CO-RE)
13800정성태11/3/20246321닷넷: 2308. C# - ICU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문자열의 대소문자 변환 [2]파일 다운로드1
13799정성태11/2/20244907개발 환경 구성: 732.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 유니코드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13798정성태11/2/20245505개발 환경 구성: 731. 유니코드 - 출력 예시 및 폰트 찾기
13797정성태11/1/20245493C/C++: 185. C++ -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transform + std::tolower/toupper 방식의 문제점파일 다운로드1
13796정성태10/31/20245382C/C++: 184. C++ - ICU dll을 이용하는 예제 코드 (Windows)파일 다운로드1
13795정성태10/31/20245164Windows: 268. Windows - 리눅스 환경처럼 공백으로 끝나는 프롬프트 만들기
13794정성태10/30/20245261닷넷: 2307.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3정성태10/28/20245134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