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2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326. 유니코드와 한글 - 유니코드와 닷넷을 이용한 한글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294

.NET Framework: 411. 유니코드의 "compatibility character"가 뭘까요?
; https://www.sysnet.pe.kr/2/0/1607

.NET Framework: 429. C# - 유니코드 한글 문자열을 ks_c_5601-1987로 변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657

개발 환경 구성: 230. 유니코드의 Surrogate Pair, Supplementary Characters가 뭘까요?
; https://www.sysnet.pe.kr/2/0/1710

.NET Framework: 450. 영문 윈도우에서 C# 콘솔 프로그램의 유니코드 출력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12

.NET Framework: 794. C# - 같은 모양, 다른 값의 한글 자음을 비교하는 호환 분해
; https://www.sysnet.pe.kr/2/0/11710

개발 환경 구성: 407. 유니코드와 한글 - "Hangul Compatibility Jamo"
; https://www.sysnet.pe.kr/2/0/11724

Windows: 176. Raymond Chen이 한글날에 밝히는 윈도우의 한글 자모 분리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2369

닷넷: 2307.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794

개발 환경 구성: 731. 유니코드 - 출력 예시 및 폰트 찾기
; https://www.sysnet.pe.kr/2/0/13798

개발 환경 구성: 732.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 유니코드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3799

닷넷: 2310. .NET의 Rune 타입과 emoji 표현
; https://www.sysnet.pe.kr/2/0/13813




C# - 같은 모양, 다른 값의 한글 자음을 비교하는 호환 분해

다음과 같은 질문이 있군요. ^^

문자 질문입니다.
; https://www.sysnet.pe.kr/3/0/5065

위 질문에 링크된 글이 재미있습니다.

같은 모양, 다른 값의 한글 자음
; http://winplz.tistory.com/entry/%ED%95%9C%EA%B8%80-%EC%9E%90%EC%9D%8C-%EB%B9%84%EA%B5%90%EA%B0%99%EC%A7%80%EB%A7%8C-%EB%8B%A4%EB%A5%B8-%EC%9E%90%EC%9D%8C%EB%93%A4

위의 글은 iOS의 Objective C나 Swift 환경으로 설명하는 것 같은데, 닷넷 환경으로 질문을 다시 옮겨 보면 이렇습니다.

{
    string txt1 = "ㄱ";
    string txt2 = "각";

    String nfd = txt1.Normalize(System.Text.NormalizationForm.FormD);
    String nfc = txt2.Normalize(System.Text.NormalizationForm.FormD);

    Console.WriteLine(nfd + ": " + (int)nfd[0]);
    Console.WriteLine(nfc[0] + ": " + (int)nfc[0]);
}

/*
출력 결과:

ㄱ: 12593
ㄱ: 4352
*/

출력 결과가 상이한데, 처음의 'ㄱ'은 한글 자음을 나타내는 문자(유니코드 심벌 명은 "Hangul Letter Kiyeok")이고 두 번째 줄의 경우는 약간 '위 첨자' 식으로 상단에 살짝 떠 있는 초성에서의 'ㄱ'(유니코드 심벌 명은 "Hangul Choseong Kiyeok")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어찌 보면 당연히 달라야 하지만 '자음 입력에 따른 검색 엔진'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이 결과가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2개의 문자가 속한 "Unicode Group"입니다.

[그림: "Hangul Jamo"에 속한 "Hangul Letter Kiyeok"]
hangul_unicode_jamo_0.png

[그림: "Hangul Compatibility Jamo"에 속한 "Hangul Choseong Kiyeok"]
hangul_unicode_jamo_1.png

"Hangul Compatibility Jamo"의 wikipedia 설명을 보면,

Hangul Compatibility Jamo
; https://en.wikipedia.org/wiki/Hangul_Compatibility_Jamo

Hangul Compatibility Jamo is a Unicode block containing Hangul characters for compatibility with Korean Standard KS X 1001:1998.

"Hangul Compatibility Jamo" 영역의 문자들은 KS X 1001:1998 표준과 호환하는 글자를 포함한다고 합니다.

KS X 1001
; https://en.wikipedia.org/wiki/KS_X_1001

위의 문서를 보면, KS X 1001은 "KSC-5601"로 불렸던 한글 문자 셋의 새 이름인데, KSC-5601 문자 셋과의 호환을 위해 특별히 유니코드에서 별도로 "Hangul Compatibility Jamo" 그룹에 배치했다는 정도로 받아들이면 되겠습니다.




다시 문제로 돌아와서, 그러니까 텍스트 박스에 글자를 입력할 때 'ㄱ' 글자만을 입력한 경우 유니코드 상의 값은 12593(0x3131: 한글 호환 자모의 'ㄱ')인 반면 검색해야 할 문자열에 포함된 글자들은 초성으로써의 'ㄱ'이기 때문에 값의 비교를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당연히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정규화'를 해야 하고, 정규화 시 글자의 분해를 '정준 분해'가 아닌 '호환 분해'를 하면 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코딩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
    string txt1 = "ㄱ";
    string txt2 = "각";

    String nfd = txt1.Normalize(System.Text.NormalizationForm.FormKD);
    String nfc = txt2.Normalize(System.Text.NormalizationForm.FormKD);

    Console.WriteLine(nfd + ": " + (int)nfd[0]);
    Console.WriteLine(nfc[0] + ": " + (int)nfc[0]);
}

/*
출력 결과:

ㄱ: 4352
ㄱ: 4352
*/

보는 바와 같이 2개 모두 (단 자음으로서의 'ㄱ'이 아닌) '초성'으로서의 'ㄱ'으로 값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자바의 경우에도 Normalizer.normalize 메서드를 지원하므로 Normalizer.Form.NFD 옵션으로 분해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5/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8-10-04 12시33분
[키모] 혹시 반대로 4352의 값을 12593으로 할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string txt2 = "각"을
String nfc = txt2.Normalize(System.Text.NormalizationForm.FormD);을 했을경우 4352로
나오던데 혹시 반대로 할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guest]
2018-10-04 01시04분
[정환] "각"을 초성 중성 종성으로 분리해서 유니코드로 캐스팅하면 되지 않을까요?
[guest]
2018-10-04 06시45분
[키모] 저 자체가 같은 유니코드인데 값이 다르다는 말씀이신거 같은거 같은데 캐스팅이랑은 다르지 않을까요?
[guest]
2018-10-05 10시43분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유니코드와 한글 - "Hangul Compatibility Jamo"
; http://www.sysnet.pe.kr/2/0/11724
정성태
2018-10-07 03시56분
[키모] 아 감사합니다 확인해보겠습니다. :)
[guest]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78정성태5/8/201226139오류 유형: 153. Visual Studio 디버깅 - Unable to break execution. This process is not currently executing the type of code that you selected to debug.
1277정성태5/8/201231288오류 유형: 152. cmd.exe - The system cannot write to the specified device. [2]
1276정성태4/28/201223129Phone: 5. 모든 Marketplace에 윈폰 앱을 등록하는 방법 [1]
1275정성태4/28/201227010개발 환경 구성: 150. 프로세스 실행으로 잠긴 파일이지만, 이름은 변경가능하다는 사실! 아셨나요? [7]
1274정성태4/17/201221583Phone: 4. "Holiday Calendar" 윈폰 응용 프로그램 등록
1273정성태4/6/201224818Phone: 3. 윈도우 폰을 위한 Holiyday Calendar 앱 개발파일 다운로드1
1272정성태4/5/201226302오류 유형: 151. ASP.NET - EcbGetUnicodeServerVariables 코드에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 예외 발생
1271정성태4/3/201228979Math: 6. 동전을 여러 더미로 나누는 경우의 수 세기 [1]
1270정성태3/29/201222972오류 유형: 150. Visual Studio 2010 원격 디버깅 오류 - Kerberos authentication failed
1269정성태3/27/201236758오류 유형: 149. ODP.NET 오류 - The provider is not compatible with the version of Oracle client
1268정성태3/27/201233234오류 유형: 148. WCF svc 호출 시 HTTP Error 404.17 - Not Found [1]
1267정성태3/16/201231226.NET Framework: 314. C++의 inline asm 사용을 .NET으로 포팅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66정성태3/14/201234426개발 환경 구성: 149. RAID 1 구성 시 하드 디스크 장애 발생 해결에 대한 경험담
1265정성태3/13/201224773VC++: 61. 아이태니엄(IA64: Itanium) 에서 겪은 C++ 포인터 연산 문제 [2]
1264정성태3/10/201244122.NET Framework: 313. WELL512 난수 발생 알고리즘 - C# [5]파일 다운로드1
1263정성태3/9/201222935개발 환경 구성: 148. tinyget 사용법
1262정성태3/8/201243810개발 환경 구성: 147. .keystore 파일에 저장된 개인키 추출 방법과 인증기관으로부터 온 공개키를 합친 pfx 파일 만드는 방법 [1]
1261정성태3/7/201224512Phone: 2. 개발자용 윈도우 폰 7 기기 등록하는 방법
1260정성태3/6/201224379Phone: 1. 윈도폰 7 개발자 (회사) 등록하는 방법 [3]
1259정성태3/4/201235896Windows: 57. 새로 추가된 네트워크 커널 디버깅 및 PowerShell 3.0 [1]
1258정성태3/3/201237489개발 환경 구성: 146. SQL Server 2012에 포함된 LocalDB 기능 소개 [3]파일 다운로드1
1257정성태3/3/201225714.NET Framework: 312. Native 스레드와 Managed 스레드 개체의 상태 관계 [1]파일 다운로드1
1256정성태3/3/201229220Math: 5. Euler's totient function - C#파일 다운로드1
1255정성태3/3/201231597Math: 4. 소수 판정 및 소인수 분해 소스 코드 - C# [1]파일 다운로드1
1254정성태3/1/201226577Windows: 56. Windows 8 Consumer Preview를 사용해 보고... [1]
1253정성태3/1/201228049VS.NET IDE: 71. Visual Studio 11 Ultimate 베타 설치 [3]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