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796. C# - 인증서를 윈도우에 설치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75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8개 있습니다.)

C# - 인증서를 윈도우에 설치하는 방법

요즘 SSL/TLS가 대두되면서 인증서를 꽤나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문제는 이게 일반 윈도우 사용자 입장에서는 은근히 복잡하다는 것인데요.

우선 대표적으로 인증서는 2군데 저장소가 있습니다. 하나는 현재 로그인 한 사용자의 저장소이고, 하나는 컴퓨터 전역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저장소입니다. 전자의 경우로 설치한 인증서를 보고 싶다면 명령행에 "certmgr"이라고 입력하고 후자의 인증서를 보고 싶다면 "certlm"이라고 입력하면 됩니다. 그럼 각각의 저장소에 대한 인증서 관리자가 실행되어 개별 영역에 인증서를 추가/삭제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또다시 문제가 있습니다. 저장소마다 다른 세부 저장소가 있다는 점입니다.

  • Personal
  • Trusted Root Certification Authorities
  • Intermediate Certification Authorities
  • Trusted Publishers
  • Untrusted Certificates
  • Third-Party Root Certification Authorities
  • Trusted People
  • Remote Desktop
  • Smart Card Trusted Roots
  • ...기타 등등...

대개의 경우, 테스트 인증서와 같은 자신이 직접 만든 것들은 "Trusted Root Certification Authorities"에 설치합니다. 그 외의 경우에는 응용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위치에 인증서가 등록되어야 하는데 가령 예전에 만든 Outlook 확장의 경우,

아웃룩 사용자를 위한 중국어 스팸 필터 Add-in
; https://www.sysnet.pe.kr/2/0/11306

(certlm으로 관리되는) "Local Computer" 영역의 저장소 중 "Trusted Root Certification Authorities"와 "Trusted Publishers"에 저장되는 것을 요구합니다. (물론, 정식 인증 기관으로부터 발급받은 경우라면 설치가 필요 없습니다.)

certmgr2_1.png

그런데, 저런 절차를 사용자에게 맡길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으로 처리를 해야 하는데, 명령행에서 이를 수행할 수 있는 certmgr.exe가 있지만,

CertMgr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desktop/seccrypto/certmgr

아쉽게도 Windows SDK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경우 역시, 사용자에게 Windows SDK를 설치해야 한다고 가이드 할 수는 없습니다. 어쩔 수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코딩을 할 수밖에. ^^

다행히, .NET 2.0부터 제공하던 X509Store 타입을 이용하면 이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X509Store  Clas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security.cryptography.x509certificates.x509store

How to programmatically install a certificate using C#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2337721/how-to-programmatically-install-a-certificate-using-c-sharp

예를 들어, "아웃룩 사용자를 위한 중국어 스팸 필터 Add-in" 글에서 사용한 인증서를 설치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코딩하면 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IO;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Net;
using System.Security.Cryptography.X509Certificates;
using System.Text;

namespace CertMgr2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certUrl = "http://sysnet.blob.core.windows.net/temp/stjeong.cer";
            string certFilePath = null;

            try
            {
                certFilePath = DownloadCertifcate(certUrl);

                InstallCertificate(StoreLocation.LocalMachine, StoreName.Root, certFilePath);
                InstallCertificate(StoreLocation.LocalMachine, StoreName.TrustedPublisher, certFilePath);

                Console.WriteLine("Installed: " + certUrl);
            }
            finally
            {
                if (File.Exists(certFilePath) == true)
                {
                    File.Decrypt(certFilePath);
                }
            }
        }

        private static string DownloadCertifcate(string certUrl)
        {
            string tempFilePath = Path.GetTempFileName();

            WebClient wc = new WebClient();
            wc.DownloadFile(certUrl, tempFilePath);

            return tempFilePath;
        }

        private static void InstallCertificate(StoreLocation storeLocation, StoreName storeName, string certFilePath)
        {
            X509Store store = new X509Store(storeName, storeLocation);
            store.Open(OpenFlags.ReadWrite);
            store.Add(new X509Certificate2(X509Certificate2.CreateFromCertFile(certFilePath)));
            store.Close();
        }
    }
}
그리고 StoreLocation.LocalMachine에 인증서를 설치하기 때문에 관리자 권한을 요구하므로 manifest 파일을 다음과 같이 구성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assembly manifestVersion="1.0"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1">
  <assemblyIdentity version="1.0.0.0" name="MyApplication.app"/>
  <trustInfo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2">
    <security>
      <requestedPrivileges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3">
        <requestedExecutionLevel level="requireAdministrator" uiAccess="false" />
      </requestedPrivileges>
    </security>
  </trustInfo>
</assembly>

(이 글의 소스 코드는 https://github.com/stjeong/CharacterRangeFilter에 올렸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6/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84정성태7/5/201818309Math: 35. GeoGebra 기하 (12) - 삼각형의 내심과 내접하는 원파일 다운로드1
11583정성태7/5/201818159.NET Framework: 785. public으로 노출되지 않은 다른 어셈블리의 delegate 인스턴스를 Reflection으로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82정성태7/5/201824735.NET Framework: 784. C# - 제네릭 인자를 가진 타입을 생성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581정성태7/4/201821437Math: 34. GeoGebra 기하 (11) - 3대 작도 불능 문제의 하나인 임의 각의 3등분파일 다운로드1
11580정성태7/4/201818260Math: 33. GeoGebra 기하 (10) - 직각의 3등분파일 다운로드1
11579정성태7/4/201817292Math: 32. GeoGebra 기하 (9) - 임의의 선분을 한 변으로 갖는 정삼각형파일 다운로드1
11578정성태7/3/201817439Math: 31. GeoGebra 기하 (8) - 호(Arc)의 이등분파일 다운로드1
11577정성태7/3/201817410Math: 30. GeoGebra 기하 (7) - 각의 이등분파일 다운로드1
11576정성태7/3/201819597Math: 29. GeoGebra 기하 (6) - 대수의 4칙 연산파일 다운로드1
11575정성태7/2/201820029Math: 28. GeoGebra 기하 (5) - 선분을 n 등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74정성태7/2/201818550Math: 27. GeoGebra 기하 (4) - 선분을 n 배 늘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73정성태7/2/201817882Math: 26. GeoGebra 기하 (3) - 평행선
11572정성태7/1/201817179.NET Framework: 783. C# 컴파일러가 허용하지 않는 (유효한) 코드를 컴파일해 테스트하는 방법
11571정성태7/1/201818653.NET Framework: 782. C# - JIRA에 등록된 Project의 Version 항목 추가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70정성태7/1/201818856Math: 25. GeoGebra 기하 (2) - 임의의 선분과 특정 점을 지나는 수직선파일 다운로드1
11569정성태7/1/201818064Math: 24. GeoGebra 기하 (1) - 수직 이등분선파일 다운로드1
11568정성태7/1/201830270Math: 23. GeoGebra 기하 - 컴퍼스와 자를 이용한 작도 프로그램 [1]
11567정성태6/28/201819586.NET Framework: 781. C# - OpenCvSharp 사용 시 포인터를 이용한 속도 향상파일 다운로드1
11566정성태6/28/201825244.NET Framework: 780. C# - JIRA REST API 사용 정리 (1) Basic 인증 [4]파일 다운로드1
11565정성태6/28/201822111.NET Framework: 779. C# 7.3에서 enum을 boxing 없이 int로 변환하기 - 세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1564정성태6/27/201820591.NET Framework: 778. (Unity가 사용하는) 모노 런타임의 __makeref 오류
11563정성태6/27/201819406개발 환경 구성: 386. .NET Framework Native compiler 프리뷰 버전 사용법 [2]
11562정성태6/26/201818846개발 환경 구성: 385.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원격지 스크립트 COM 객체 실행 방법
11561정성태6/26/201830150.NET Framework: 777.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8]파일 다운로드1
11560정성태6/25/201821471.NET Framework: 776. C# 7.3 - 초기화 식에서 변수 사용 가능(expression variables in initializers)파일 다운로드1
11559정성태6/25/201828648개발 환경 구성: 384. 영문 설정의 Windows 10 명령행 창(cmd.exe)의 한글 지원 [6]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